$\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생육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Microstructure of Fruit Body in the Basidiomycetes, Pleurotus ostreatu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6 no.2 = no.75, 2006년, pp.225 - 230  

윤선미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주영철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서건식 (한국농업전문학교) ,  지정현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육온도가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생육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온도를 $7^{\circ}C,\;15^{\circ}C,\;23^{\circ}C$로 달리하여 생육시키고, 자실체의 특성 및 조직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 한 결과,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갓의 두께는 얇아지고, 대의 두께 및 대의 길이는 길어졌으며, 버섯의 갓 색깔이 백색에 가깝게 변화하였다. 생육온도에 따른 자실체의 미세구조변화는 생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주름에 있어서 담자포자의 비산이 빠르고, 노화현상이 두드러졌다. 생육온도별로 느타리버섯 대부위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경도는 낮아졌는데 이는 세포의 노화 및 균사의 밀도가 낮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의 세포학적인 특정으로 액포화가 두드러져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생육일수는 빨라지나 그만큼 노화가 쉽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lucidat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fruit body growth and structure of pleurotus ostreatus cultivar Chunchu No.2, microstructures were observed with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ileocystidia were well developed on the surface of pileus in the fruit body cultivated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버섯의 생육환경요인 즉, 버섯의 발이 및 생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온도가 느타리버섯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버섯품질 판단기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 현미 경으로 각 온도 조건에서 생육시킨 자실체의 조직 형태학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ang, S. T. and P. G. Miles. 1989. Mushrom Science : Edible mushrooms and their cultivation, CRC Press, Inc., 3-25 

  2. David L. Largent. 1986. How to identify mushrooms to genus I: macroscopic features, Mad River Press, Inc., 71-72 

  3. Evered, C. E. and K. S. Burton. 1995. Science and cultivation of edible fungi, Elliott(ed) : Cryo SEM study of changes in tissue anatomy of harvested sporophores of Agaricus Bisporus, Balkema, Rotterdam, 717-721 

  4. Gyeonggido Mushroom Research Institute. 2003. The mushroom, 19-20 (in Korean) 

  5. Hausen. B. M., K. H. Schulz and U. Noster. 1974. Allergic disease caused by the spores of an edible fungus :Pleurotus florida. Mushroom Sci. 9, 219-225 

  6. Hong, B. S., S. J .Kim, C. H. Song, S. Y. Hwang, H. C. Yang. 1992. Development of substrate and cultural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Pleurotus sajor-caju, Korean Mycol. 20(4), 354-359 (in Korean) 

  7. Horner, W. E., M. D. Ibanez, W. Liengswangwong, J. E. Salvaggio and S. B. Lehrer. 1988. Characterization of allergens from spores of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J. Allergy Clin. Immunol. 82, 978-986 

  8. Hurukawa, H.,1992. Mushroom Science, Kyouritzu press. 103-106 (in Japanese) 

  9. Jandaik, C. L. and J. N. Kapoor. 1976. Amino acid composition of mushroom Pleurotus sajor-caju(Fr.) Singer. Mushroom J. 41, 154-156 

  10. Jonninson, M. W. 1959. Chemical and vitamin comosition of the mycelium of wood rotting Basidiomycetes. Mushroom Sci. 4, 183-185 

  11. Kalberer, R. and U. Kunsch. 1974.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oyster mushroom(Pleurotus ostreatus). Lebensn U. Techol. 7, 242-244 

  12. McGarry, A. and K. S. Burton. 1994.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ushroom, Agaricus bisporus. Mycol. Res. 98, 241-245 

  13. Olsen, J. A. 1987. Pleurotus spores as allergens. Mushroom J. 172: 115-117 

  14. Rokuo U. 1979. Fermentation and technology. 137(6), 534-548 (in Japanese)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4. The oyster mushroom. 248-249 

  16. Seo, G. S. 2004. Effect of environment on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development of basidiomycetes. Mushroom J. 9, 84-86 (in Korean) 

  17. Shin, G. C., S. M. Cho, N. B. Jeon, J. H. Ku. 1994. Effect of Sodium Hypochlorite (NaOCl) Treatment on bacterial yellow blotch in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Korean Mycol. 22(2), 190-195 (in Korean) 

  18. Yoshioka, Y., R. Tabeta, H. Saito, N. Ueharo and F. Fukuoka. 1985. Antitumor polysaccharides from P. ostreatus (Fr.) Quel.: Isolation and structure of a ${\beta}-glucan$ . Carbohydrate Res. 140, 93-100 

  19. Zadrazil, F. 1978. Cultivation of Pleurotus : The biology and cultivation of edible mushrooms, Eds. S. T. Chang and W. A. Hayes, Academic Press. N.Y., 521-5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