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국 초.중.고등학교 보건교육 실태 조사 연구
A Nationwide Survey on Current Conditions of School Health Educatio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2, 2006년, pp.381 - 388  

박은숙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박영주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유호신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한금선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황라일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임여진 (고려대학교 간호학연구소) ,  임혜상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문소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s school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to establish measures to efficiently carry out school health education in Korea.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internet with the health educators of ele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 . 고등학교 보건교육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보건교육 실태 및 보건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전국 10, 522개 초.
  • 중 . 고등학교 보건교육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 보건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이다.
  • 고등학교에서 보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전수를 대상으로 현행 학교 보건교육의 실태를 체계적으로 조사 . 분석함으로써, 향후 학교 보건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초 . 중 .
  • 학교 보건교육은 이와 같은 아동 및 청소년이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면서 안전한 학교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며 건강에 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이러한 지식을 행동 및 생활로 실천해 나가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건강생활습관 및 건강행위로의 변화는 성장기부터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과 초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E. J., Katrin, K., Choi, S. H., & O, Y. M. (2003). Development and analysis of health education material.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 Han, S. H. (2003). A Study on Practical Condition and Need of Health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ealth in Seoul. Res Soc of Korean Sch Health Educ, 13, 48-55 

  3. Hong, S. C. (2004). A weakling with big bulk.- Results of physical examination 

  4. blog.naver.com/endeavorsage?RedirectLog&logNo60001649519 

  5. Kim, H. J. (199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School Health Promotion. J of Korean Soc of Sch Health, 9(2), 147-160 

  6. Kim, H. J. Yoon, S. Y. Jun, K. J. (2002). Community health nursing. Seoul: Soomoonsa 

  7. Kim, M. (1993). Accreditation of Health Education as a Curricular Subject in Schools. J of Korea Soc for Health Educ, 10(2), 22-31 

  8. Kim, Y. H., Lee, H. J., Jung, H. M. (2000). A Study on the Exposure to PC Pornography and the Post-Exposure Reactions of Middle School Boys. J of Korean Nur Edu, 6(2), 7-22 

  9. Kim, Y. M. & Ahn, J. Y. (1999). An Analysis of School Health Education Pattern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 J of Korean Soc of Sch Health, 12(1), 12-40 

  10. Korean Health Teachers Association for Healthy Society (2005). The Materials of Great Open Forum for Activating the School Health Education. Korean Health Teachers Association for Healthy Society, The Grand National Party 

  11. Lim, K. H., & Nam, C. H. (1999). A Study on Practical Condition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Behavioral Pattern of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ealth & Welf Res, 3, 125-151 

  12.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4). Basic educational statistics. std.kedi.re.kr 

  13. Park, Y. S., & Suh, Y. H. (1992). Schoo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J of Korea Soc for Health Educ, 9(2), 12-40 

  14. Ryu, E. H., Jang, K. S., Bae, J. J., Choi, J. B. Jung, S. J., Ahn, S. N., Kwan, K. O., Im. I. Y. (2000). The developing strateg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Kunpo: Research Society of School Health Education 

  15. Yoon, S. N., Kim, Y. I., Choi, J. M., Jo, H. S., Kim, Y. H., Park, Y. N., Oh, K. S., Lee, B. O., Jo, S. N., Jo, S. Y., Han, S. H., & Ha, Y. M. (2004). Establishment of health education as a curricular subject in schools.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Health Teacher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