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고등학생들의 학교보건교육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hool Health Education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Selected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2 no.1, 2005년, pp.17 - 40  

이창국 (순천향대학교 교양과정부) ,  이명선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교육과) ,  서승희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한성현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a health education and the health behavior, and to identify the effected 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based on Green's PRECEDE Model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 survey with self-administration questionnaire ...

참고문헌 (43)

  1. 권민숙. 중고등학교 양호교사의 보건활동교육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1985 

  2. 김경희, 한창현, 권진희, 이성국. 대구지역 일부중 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 학회지 2001;18(2):65-82 

  3. 김명, 서혜경, 서미경, 김영복. 보건교육 이론과 적용. 계축문화사. 1997 

  4. 김보경, 정문숙, 한창현.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 수행정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2;19(1):59-85 

  5. 김상욱. 학교보건교육제도 및 운영상의 문제점.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88;1(2):27-33 

  6. 김선혜. 고등학교 보건교육 내용분석과 보건교육 실태 조사-교과서의 보건교육 내용분석과 보건교육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7. 김영임. 우리나라의 학교보건교육의 실태. 한국학교보건학회. 1998 

  8. 김지주. 미국학교보건 연수 사례.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3;6(2) 

  9. 김지주. 서울시 초.중.고등학교 보건수업실태.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3;6(2) 

  10. 김화중. 학교보건교육체계와 국민학교 보건교육내용.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88;1(2):3-19 

  11. 김화중. 한국의 학교보건사업과 건강교육.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2;5(2) 

  12. 남정자, 정기혜, 최성옥. 학교보건개선에 관한 연구 (II)-진단적 접근 방법에 의한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인구보건연구원 1989 

  13. 노행인, 김명. 일부 고등학생의 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행위간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 학회지 2004;21(1):115-136 

  14. 백경원, 이명선. PRECEDE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진단적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 학회지 2001;18(1):35-60 

  15. 백운경. 여자고등학교의 보건교육과목 설정에 관한 기초적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16. 변현옥. 초.중.고등학교 보건 관련과목 교사의 학교보건 교육에 대한 태도 및 관련 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17. 서용하. 초.중등학교 학교관리자의 학교보건교육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1992 

  18. 손경옥, 유왕근. 보건교육방법이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효과. 보건교육.건강증진 학회지 2001:18(1):215-232 

  19. 오현수. 김영란.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계획과정 관절염 대상자를 중심으로- 간호학탐구 1992;2(2):79-101 

  20. 유재순. 고등학교 보건교육의 진단적 연구 (-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21. 윤순영. 외국의 학교보건교육 동향. 제 17회 한국학교보건학회 동계학술대회; 1998 

  22. 이명숙. 고등학교 보건교육 현황과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3. 이명순. 보건학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대학 교양과정에서의 학습영역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24. 이보은. 고등학교 보건교육 교육과정 선정을 위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25. 이보은, 박혜숙, 하은희, 김남희, 한영란. 서울시내 일부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흡연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21(2):167-186 

  26. 이정렬, 박신애. 역학과 건강증진 수문사, 1996 

  27. 조원정. 건강행위에 대한 성인지각의 실증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3 

  28. 조의영. 운항승무원 건강증진을 위한 PRECEDE 모형의 적용 및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29. 조희숙, 이선희. 일부 농촌지역 청소년들의 건강행태 관련요인 분석. 한국농촌의학회지 2000; 25(2):315-326 

  30. 최재선. 보건교육을 통한 건강관리 능력개발 .1998년 서울특별시 교육청지정 보건교육시범학 교 연구보고서. 경복고등학교, 1998 

  31. Alteneder, RR, Price JH, Telljohann SK, Didion J, Locher A. Using the PRECEDE Model to detennin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liefs about AIDS. Journal of School Health 1992; 62(10):464-470 

  32. Bartlett EE. The contribution of school health education to community health promotion; What can reasonably exper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1;71(12):1384-1391 

  33. Bertera RL. Planning and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A case study of the Du Pont Company experience.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90;17(3): 307-327 

  34. Bush PJ, Zuckerman AE, Theiss PK, Toggart VS, Horowitz C, Sheridan MJ, Waiter HJ, Cardiovascular risk factor prevention in black schoolchildren: Two-year results of the Know Your Body program. American Joumal of Epidemiology 1989;129:466-482 

  35. Gielen AC. Health education and injury control: Integrating approach.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92;19(2):203-218 

  36. Green LW, Kreuter MW, Deeds SG, Patridge KB. Health education planning. A diagnostic approach. Mountain View, CA: Mayfield, 1980 

  37. Lohrman DK, Gold RS, Jubb WH. School health education: A foundation for school health programs. Journal of School Health 1987; 57(10):420-425 

  38. Michielutte R, Dignan MB, Yong LD, Jackson DS, Sharp RC. Development of a community cancer education program: The forsyth county. NC, Cervical Cancer Prevention Project, Public Health Reports 1989;104(6):542-551 

  39. Polcyn MM, Price JH, Jurs SG, Roberts SM. Utility of the PRECEDE model in differentiating users and nonusers of smokers tobacco. Journal of School Health 1991;61(4):166-171 

  40. Rubinson L, Alles WF.: Health education foundation for the health. St. Louis. Times Mirror / Mosby College Publishing, 1984 

  41. Rubinson L, Balie L. Planing school based sexuality program utilizing the PRECEDE model. Journal of School Health 1981; 51(4):282-287 

  42. Watanabe. Perspectives in school health. Journal of School Health Japan 1990;60(7) 

  43. Windsor RA. An application the PRECEDE model for planning and evaluating health education methods for pregnant smokers. Hygie 1986;5:38-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