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흡연과 금연관련 간호 연구동향 및 미래 방향
Analysis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Related Nursing Research in Korea and its Future Direction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6 no.2, 2006년, pp.415 - 425  

신성례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trend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related nursing research in Kore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 Eight nursing professional Journals published by the Korean Academic Nursing Society and by 7 - ad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흡연과 금연관련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분석하거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시도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전문학회지에 출판된 흡연과 금연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의 총체적인 주제와 경향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추후 반복연구를 피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흡연과 금연관련연구의 연구대상자별 분포를 파악한다. 흡연과 금연관련연구의 연구현장별 분포를 파악한다. 흡연과 금연관련연구의 연구설계유형을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S. H., Nan, Y. H., Ryu, E. J., Baek, M. W., Suh, D. H., Sub, S. R., Choi, G. Y., & Choi, K. S. (1998). An integrative review of oncology nursing research: 1980-1998. J Korean Acad Nurs, 28(3), 786-800 

  2. Chun, M. H., & Kim, H. O. (1992). The trend of the gerontological nursing study in Korea. J of Suwon Women's College, 18, 95-126 

  3. Fiore, M. C., Bailey, W. C., Cohen, S. J., Dorfman, S. F., Goldstein, M. G., Gritz, E. R., et al. (1996). Smoking cessati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No. 18. (AHCPR Pub. No 69-0692). Rockville, M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4. Fiore, M. C., Bailey, W. C., Cohen, S. J., et al. (2000).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Rockville, MD: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5. Froelicher, E. S., & Christopherson, D. J. (2000). Women's initiative for nonsmoking (WINS) I: Design and methods. Heart & Lung, 29(6), 429-437 

  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4). Summary report of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03. Retrieved October 28, 2004, from http://www.nso.go.kr 

  7. 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and Health (2004). Adult Smoking Rate: 2003. www.kash.or.kr(November 2, 2004) 

  8. Lee, K.S., & Chung, Y.S.(1998).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J Korean Comm Nurs, 9(1), 91-101 

  9. Mahrer-Imhof, R., Froelicher, F. S., Li, W. W., Parker, K. M., & Benowitz, N. (2002). Women's initiative for nonsmoking(WINS V): under use of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Heart & Lung, 31(5), 368-373 

  10. Oh, P. J. (2003). An integrative review of oncology nursing research in Korea. J of Korean Oncology Nurs, 31(2), 112-121 

  11. Peto, R., Darby, S., Deo, H., Silcocks, P., Whitley, E., & Doll, R.(2000). Smoking, smoking cessation, and lung cancer in the UK since 1950: Combination of national statistics with two case-control studies. BMJ, 7257, 323-329 

  12. Rice, V. H., & Stead, L. F. (2004). Nursing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Cochrane Review). In The Cochrane Library(issue1). Chichester, UK: John Wiley and Sons 

  13. Sarna, L., & Lillington, L. (2002). Tobacco, an emerging topic in Nursing Research. Nurs Research, 51(4), 244-253 

  14. The Nursing Insider.(July 15, 2005). New JCAHO Standards Require Smoking Cessation Advice/Counseling. http://www.nursingworld.org/news/ananews.htm#smoking 

  1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 Welfare (1964). Smoking and Health. Report of the Advisory Committee to the Surgeon General of the Public Health Service. Public Health Service Publication No. 1103. www.cdc.gov/tobacco/sgr/sgr_1964 

  16. Ventura, M. R., Young, D. E., Feldeman, M. J., Pastore, P., Pikula, S., & Yates, M. A. (1984). Effectiveness of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Nurs Research, 33, 162-167 

  17. Yang, K. M., Kim, S. L., & Park, C. S. (2004). Analysis of gerontological nursing researches in Korea from 1997 to 2003. J of Korean Comm Nurs, 15(3), 119-1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