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곡리 암각화(大谷里 岩刻畵)에 나타난 신석기시대 한우도(新石器時代 韓牛島)의 식생활문화(食生活文化)
Food Culture of Korean Peninsula in the Neolithic Period Described in Daegok-ri Petroglyph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1 no.6, 2006년, pp.606 - 613  

고경희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regional food culture observed in prehistoric Daegok-ri petroglyph based on the history of art, archeological materials and existing whale eating customs. Daegok-가 petroglyph expressed animals in the sky, on the land and in the sea. According to th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선사시대의 대곡리 암각화에 나타난 수렵 어로 중심의 식문화를 주변지역 신석기시대 패총 유물들을 통하여 지역적 고래식용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대곡리 암각화에 표현된 선사시대 기록의 진실성을 식문화 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인희. 1995.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서울. pp 38-64 

  2. 김원룡. 1980. 울주 반구대 암각화에 대하여. 한국고고학보. 9: 5-22 

  3. 김정배. 1998. 몽골의 암각화, 열화당. 서울 

  4. 남궁 일. 2001. 암각화에 나타나는 조형성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학연구. 8: 127-140 

  5. 이상목. 2004. 울산 대곡리 반구대 선사유적의 동물그림. 한국고고학보. 52: 35-68 

  6. 이태진. 2006. 울산반구대 문화유적보존 심포지움 자료집, 외 계충격설의 관점에서 본 울산 암각화. pp3-40 

  7. 임세권. 1999. 한국의 암각화대원사. 서울. pp 22 

  8. 임장혁. 1991. 대곡리 암벽조각화의 민속학적 고찰. 한국민속학회지. 24:71-195 

  9. 장명수. 1997. 한국암각화의 편년. 한국의 암각화, 한길사. 서울. pp 195 

  10. 정동찬. 1996. 살아있는 신화바위그림. 혜안. 서울. pp 17-18 

  11. 정석조. 1982. 세계의 포경업과 고래의 자원관리(1). 한국장서가회. 4: 126-146 

  12. 정석조. 1983. 세계의 포경업과 고래의 자원관리(2). 한국장서가회. 5: 127-14 

  13. 한국역사민속학회. 1996, 한국의 암각화, 한길사. 서울. pp 45 

  14. Anati E. 1986. The rock art of Tanzania and the East African sequence. BCSP. 23: 15-68 

  15. Anati E. 2000.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rock art and it's meaning. International Symposium on Ulsan Rock Art Seoul Arts Center and City of Ulsan. Seoul Arts Center. Seoul. pp 117-145 

  16. Bokcheon Museum. 2005. Ancient Cooking APEC 2005 Korea Special Exhibition. Busan. pp 18 

  17. Busan Museum 2002. History and Culture of Busan Busan. pp 44-46 

  18. Chun JG. 2000. Totem worship, folk style, and ancient viewpoint of world appearing in Ulsan rock art. International Symposium on Ulsan Rock Art Seoul Arts Center and City of Ulsan. Seoul Arts Center. Seoul. pp 43-61 

  19. Hwang SI, Yoon SO. 2005. The change of physical environment during Holocene in Ulsan city and the Bangudaerockgraving- picture. Jangsangpo Whale Museum Ulsan Metropolitan. Ulsan. pp 108-132 

  20. Jang SH. 2000. Analysis of images in Ulsan rock art. International Symposium on Ulsan Rock Art Seoul arts Center and City of Ulsan. Seoul Arts Center. Seoul. pp 33-42 

  21. Jo CS. 2000. Means of communication and pictograph - The symbolic system of Ulsan rock art. International Symposium on Ulsan Rock Art Seoul Arts Center and City of Ulsan. Seoul Arts Center. Seoul. pp 63-73 

  22. Kim GS. 2000. The fishing practice appearing in Ulsan rock art. International Symposium on Ulsan Rock Art Seoul Arts Center and City of Ulsan. Seoul Arts Center. Seoul. pp 21-32 

  23. Kim ZG. 2004. Whales and their implication of Korean culture. Jangsangpo Whale Museum Ulsan Metropolitan. Ulsan. pp 99-106 

  24. Komatsu M, Misaki S. 2004. The History and Science of Whales The Japan Times. Tokyo. pp 3-76 

  25. Moon MD. 2000. A retrospective report on the discovery of Ulsan rock art and on the summery of my research on it. International Symposium on Ulsan Rock Art Seoul Arts Center and City of Ulsan. Seoul Arts Center. Seoul. pp 9- 19 

  26. Ulsan Metropolitan Namgu. 2005. Jangsaengpo Whale Museum pp 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