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초의 농도가 초밥의 식품안전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negar Concentration on Food Safe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th Vinegar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1 no.5, 2016년, pp.365 - 374  

이상빈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조리예술전공) ,  김성훈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조리예술전공) ,  송호수 (영산대학교 서양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초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배합 초를 이용하여 만든 초밥은 상온 $25^{\circ}C$와 냉장온도인 $4^{\circ}C$ 모두에서 초밥 제조 직후에 측정한 결과값과 저장기간에 따른 pH의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세균의 경우 배합초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은 저장 1일부터 세균수가 증가하였으나 식초를 첨가한 초밥의 경우에는 2배 산도 및 3배 산도 식초를 사용한 초밥은 저장 5일째 가지 일반세균의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밥 제조 시 식초의 농도 증가에 따라 초밥의 견고성,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부착성 및 깨짐성은 유의적으로(p < 0.05)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상온 $25^{\circ}C$에서 48시간 저장기간 동안 견고성, 탄력성, 씹힘성, 깨짐성은 증가하였고, 부착성은 감소하였고, 저온 $4^{\circ}C$에서 48시간 저장기간 동안 견고성은 상온 $25^{\circ}C$에서 저장하는 것에 비해 견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온도 및 기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식초를 첨가한 초밥의 명도(L)와 황색도(b)는 유의적으로(p < 0.05) 감소하였으나 초밥의 적색도(a)는 유의적인(p < 0.05) 차이가 없었다. 초밥은 $4^{\circ}C$에서 48시간 저장하는 동안 명도(L)는 유의적으로(p < 0.05) 증가하였으며, 적색도(a)는 저장하는 동안 초밥의 종류에 관계없이 (-) 값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황색도(b)는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인(p < 0.05) 변화는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negar on pH, total bacterial count, texture and color of rice with vinegar before and after storage at $4^{\circ}C$ and $25^{\circ}C$. This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pH value and total bacterial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식초, 2배 산도 식초 및 3배 산도 식초를 이용하여 만든 초밥을 상온(25℃)와 저온(4℃)에서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일반세균수, 물성 및 색도의 변화를 비교·검토함으로써 식초의 농도가 초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초밥의 유통기간 및 위생적인 초밥을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밥을 만드는 법에 따라 어떻게 나누는가? 보통 초밥을 만드는 법에 따라서 “나레즈시”와 “하야즈 시”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며, 그 기준은 식초에 있으며, 전자는 밥의 자연발효에 의하여 신맛을 나게 하는 것이며 후자는 식초에 의하여 신맛을 나게 하는 것으로 “하야즈 시”는 즉석음식으로 간소화시켜 세 가지 요리법으로 분화되었다. 즉, 쌀밥에 식초를 뿌려서 새콤하게 조미한 다음 김으로 싼 것이 “노리마키”이고, 생선조각 또는 해물을 뭉친 밥에 얹은 것이 “니기리즈시”, 두부 조각을 기름에 튀겨서 만든 유부를 조미하여 주머니처럼 벌리고 그 속에 맛이 나게 조미한 밥을 뭉쳐 넣은 것이 “이나리즈시”이다2,3).
초밥은 어떤 음식인가? 초밥(sushi)이란 식초에 버무린 밥을 회, 해산물, 채소, 달걀 등을 얹거나 채워서 만드는 일본요리로써 초밥은 손바닥에 밥을 넣고 손으로 뭉쳐 모양을 만든 다음 그 위에 신선한 생선을 살짝 얹어서 먹는 음식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생선초밥이라고 부르며, 일본인 들은 “니기리즈시”라 한다.
초밥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생선과 쌀을 삭혀서 보관하는 방법과 유사한 우리나라의 식품은 무엇이며 그 특징은? 이것이 중국을 거쳐서 일본에 전해진 것으로 여겨지나 오늘날의 일본의 초밥(すし)과는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에도 유사한 식품이 있으며 이것이 식해(食해) 이다. 식해는 생선을 곡물과 소금으로 버무려서 발효 숙성시켜 놓은 음식이다. 식해는 다른 나라에는 없는 한국 특유의 명칭으로 그 기원은 밥이라는 食과 젓갈이라는 의미의 가 합쳐서 성립한 말이다. 젓갈[ ]는 생선과 소금으로 만드는데, 그것에다 밥[食]을 첨가하여 만든 것이식해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No S.H.: A study on the history of sushi and its change in native land. Korean Studies institude, 18, 71-86 (2001). 

  2. Kim B.S.: Astudy on the preference about japanese food.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5-92 (2003). 

  3. Kim B.S.: Preference factors in consumer's sushi taste. J. of Kssss., 19, 179-191 (2009). 

  4. Lee M.Y., Lee H.G.: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shikke. Korean J. Dietary Culture, 4, 39-51 (1989). 

  5. Kim M.J.: Characteristics of ordinary diets in present: problems and solutions. Korean Home Economics Assoc, 44, 151-16 (2006). 

  6. Lee H.Y., Chung L.N., Yang I.S.: Consumer inclination to convenience toward home meal replacement. Journal of Food service Management, 10, 285-315 (2007). 

  7. Choi J.H., Kang K.O.: A study on customers' recognition and preference attributes for Japanese foo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322-328 (2007). 

  8. Odahara M., Sokooshi H., Takahashi H., Okadome H., Ohtsubo K.: The effect of sushi vinegar on texture of sushi rice before and after storage under low temperature.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51, 620-625 (2004). 

  9. Hong Y.J., Lee J.H., Oh S.K., Yoon M.R., Choi I.S., Park J.H.: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Suitable for Sushi. Korean J. Crop Sci., 57, 436-440 (2012). 

  10. Cho S.K., Moon B.Y., Park J.H.: Microbial contamination analysis to assess the safety of marketplace sus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334-338 (2009). 

  11. Park H.J., Min K.J., Park N.Y., Cho J.I., Lee S.H., Hwang I.G., Heo J.J., Yoon K.S.: Estimation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with High Consumer Risk Percep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59-69 (2013). 

  12. Jung S.W., Song J.H., Lee K.G., Hong K.W., Lee S.J.: Inhibitory effects of temperature and vinegar against indicator organism in raw fishes for sushi ingredient during chilled storage. Food Eng Prog., 10, 192-200 (2006). 

  13. Lee Y.S., Ha J.H., Park K.W., Lee S.Y., Choi Y.J.. Lee D.H., Park S.H., Moon E.S., Ryu K., Shin H.S., Ha S.D.: Survey on storage temperature of domestic major chilled foods in refrigerator. J Fd Hyg Safety, 23, 304-308 (2008). 

  14. Kim R.J., Kang S.K., Hahn Y.S.: Storage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laver-wrapped rice and laver-wrapped rice with vinega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99-105 (2008). 

  15. Im M.N., Lee S.J., Lee K.G.: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ing for Staphylococcus aureus in sushi. Food Eng Prog., 11, 77-83 (2007). 

  16. Kim H.K., Lee H.T., Kim J.H., Lee S.S.: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ready-to-eat foods. J Fd Hyg Safety, 23, 285-290 (2008). 

  17. Cho S.K., Moon B.Y., Park J.H.: Microbial contamination analysis to assess the safety of marketplace sus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334-338 (2009). 

  18. Kang B.H., Shin E.J., Lee S.H., Lee D.S., Hur S.S., Shin K.S., Kim S.H., Son S.M., Lee J.M.: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 of apple. Korean J Food Preserv., 18, 980-985 (2011). 

  19. Lee Y,C., Lee J.H.: A manufacturing process of high-strength vinegars. Food Inds Nutr., 5, 13-17 (2000). 

  20. Koizumi Y., Uehara Y., Yanagida F.: The general composition, inorganic cations,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special vinegar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4, 592-597 (1987). 

  21. Nakanc S.: Food useful for preventing alcohol intoxication containing persimmon-vinegar and optimum fruits, with blood alcohol concentration reducing action. Japan Patent, 63, 562-566 (1988). 

  22. Sugiyama S, Fushimi T., Kishi M., Irie S., Tsuji S., Hosokawa N., Kaga T.: Bioavailability of acetate from two vinegar supplement: capsule and drink. J. Nutr Sci. Vitaminol., 56, 266-269 (2010). 

  23. Yamashita, H, Fujisawa, K., Ito, E., Kawaguchi, N., Kimoto, M., Hiemori, M., Tsuji, H.: Improvement of obesity and glucose tolerance by acetate in type 2 diabetic Otsuka Long- 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71, 1236-1243 (2007). 

  24. Jang S.Y., Baek C.H., Jeong K.H., Park N.Y., Jeong Y.J.: Effect of vinegar on the solubility of calcium. Korean J. Food Preserv., 12, 112-118 (2005). 

  25. Fushimi T., Tayama K., Fukaya M., Kitamoshi K., Nakai N., Tsukamoto Y., Sato Y.: Acetate feeding enhances glycogen repletion in liver and sketal muscle of rats. J Nutri., 131, 1973-1977 (2001). 

  26. Seo H., Song Y., Kang J.Y., Kwon D.K., Kim P.G., Ryu S.: The study of persimmon vinegar as a functional drink on reduce blood lupid and enhance exercise performance. J Korean For Soc., 100, 232-239 (2011). 

  27. Jo J.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vinegar. Food Sci Ind., 17, 38-50 (1984). 

  28. Kim K.O., Kim S.M., Kim S.M., Kim D.Y., Jo D, Yeo S.H., Jeong Y.J., Kwon J.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fruit vinegars with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36-742 (2013). 

  29. Kim M.L., Choi K.H.: Sensory characteristics of citrus vinegar fermented by Gluconobacter hansenii CV1.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243-249 (2005). 

  30. Choi S.Y.,d Hahn Y.S.: The Change of Vitamin C content in Yulmoo MulKimchi according to the shif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Korean J Soc Food Sci., 13, 364-368 (1997). 

  31. Kim E.J., Kang S.J., Hahn Y.S.: Storate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laver-wrapped rice and laver-wrapped rice with venega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99-105 (2008) 

  32. Cho S.K., Moon B.Y., Park J.H.: Microbial contamination analysis to assess the safety of marketplace sus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334-338 (2009). 

  33. Kim J.E., Jeong S.H., Lee K.H.: Food Hygine and HACCP Practice. Baeksan Publishing Co. (2011). 

  34. Jung S.W., Song J.H., Lee K.G., Hong K.W., Lee S.J.: Inhibitory effects of temperature and vinegar against indicator organism in raw fishes for sushi ingredient during chilled storage. Food Eng Prog., 10, 192-200 (2006). 

  35. Odahara M., Sokooshi H., Takahashi H., Okadome H., Ohtsubo K.: The effect of sushi vinegar on texture of sushi rice before and after storage under low temperature.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51, 620-625 (2004). 

  36. Kim R.J., Kang S.K., Hahn Y.S.: Storage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laver-wrapped rice and laver-wrapped rice with vinega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99-105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