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덕터 크기에 따른 솔레노이드 형 RF 칩 인덕터 특성 변화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of Solenoid-Type RF Chip Inductors on Inductor Size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 C, 전기물성·응용부문, v.55 no.7, 2006년, pp.339 - 343  

윤의중 (호서대학교 정보제어공학과) ,  김재욱 (남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variations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solenoid-type RF chip inductors utilizing a low-loss A1203 core material on inductor dimensions were investigated systematically. Four dimensions of the chip inductors fabricated in this work were $1.0\times0.5\times0.5mm^3,\;1.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7.48의 낮은 유전율 상수와 1 GHz에서 약 4.89x10-5의 낮은 loss tarmgent를 갖는 AI2O3 코아 재료를 이용한 솔레노이드 형태의 여러 크기의 RF 칩 인덕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 기존에 많이 사용되어진 자성페라이 트 코아 재료는 투자율이 300 MHz 이상에서 급속히 감소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8]. 또한 최근 고주파 영역인 GHz 영역에서의 코아 재료로써 주목을 받고 있는 Y-hexagonal ferrite[9]가 있으나 소결과정중 이상이 생기기 쉽고 Curie 온도가 1100로 낮은 단점이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한 AI2O3를 코아물질로 사용하여 Y- hexagonal ferrite에 버금가는 특성울 가진인덕터 제작에 주력하였다.
  • 인덕터의 인덕턴스, 품질계수, 임피던스크기와 위상에 대한 주파수 특성과 각인덕터들의 둥가회로 파라미터는 RF Impedance/Material Analyzer (HP16193A test fixture 가 장 착된 HP4291B) 로 측정하였고, 자기공진 주파수 (SRF) 는 Network Analyzer (HP8719D)로 측정하였다. 또한 코아물 질의 loss tarmgent와 상대 투자율은 각각 HP16453A와 HP- 16454A test fixture를 HP4291B에 장착하여 측정하였다.
  • 또한, 인덕터의 크기 변화에 따른 인덕터의 주요 특성 변화를 체계적으로 발표한 논문을 찾아보기 어려워본 논문에서는 저손실 A12O3 코아물질을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형태롤 갖는 여러 가지 크기의 RF 칩 인덕터를 제작하였고 그들의 RF 성능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 89x10*의 낮은 loss tangent를 가지며 9001 이하에서 소결된 AI2O3 물질을 사용하였다. 분말 형태의 유전체 물질을 유기용매, 결합제(PVB, poly-vinyl butyral), plasticizer (DOP, dioctyl phthalate), 미량의 다른 화합물 등과 혼합하여 AI2O3 paste 를 제조하였으며, 두께를 0.5~ 1.4 nun로 변화시켰다.
  • 외부 전류원은 코일의 양단을 코아 하층부의 양끝 단자에 본딩한 후 인가 하였다. 양끝 단자는 P 7.2 wt%, Ni 32.6 wt%, W 60.2 wt%로 이루어진 박막층을 seed 층으로 사용하여 그 위에도금처리 방식으로 Au 막(두께=200 ㎛)을 적층시켰다.
  • 인덕터의 인덕턴스, 품질계수, 임피던스크기와 위상에 대한 주파수 특성과 각인덕터들의 둥가회로 파라미터는 RF Impedance/Material Analyzer (HP16193A test fixture 가 장 착된 HP4291B) 로 측정하였고, 자기공진 주파수 (SRF) 는 Network Analyzer (HP8719D)로 측정하였다. 또한 코아물 질의 loss tarmgent와 상대 투자율은 각각 HP16453A와 HP- 16454A test fixture를 HP4291B에 장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1) 제안된 인덕터의 크기는 각각 L0x0.5x.05 mm2 1.5X1.0 x0.7 mm2 2.1x1.5x1.0 mm2 2.4x2.0xl.4 mm2이며, 코일로 사용된 Cu의 직경은 약 40 ㎛였다. (2) 권선수를 6회로 하였을 때 12-82 nH 범위의 인덕턴스를 갖고, 3.
  • 본 논문의 인덕터의 코아 재료는 기존의 ferrite가 아닌 1 GHz에서 7.48의 낮은 유전율 상수와 4.89x10*의 낮은 loss tangent를 가지며 9001 이하에서 소결된 AI2O3 물질을 사용하였다. 분말 형태의 유전체 물질을 유기용매, 결합제(PVB, poly-vinyl butyral), plasticizer (DOP, dioctyl phthalate), 미량의 다른 화합물 등과 혼합하여 AI2O3 paste 를 제조하였으며, 두께를 0.
  • 본 연구에서 제작된 권선수가 6인인 덕터들의 인덕턴스와 SRFfe Network Analyzer (HP8719D)로 측정하였고 표 1에 요약되어져 있다.
  • 코일은 chip 인덕터의 skin-effect의 원인이 되는 metal loss를 줄이기 위해 전도성이 우수한 약 40 ㎛의 직경인 Cu 를 사용하였다. 외부 전류원은 코일의 양단을 코아 하층부의 양끝 단자에 본딩한 후 인가 하였다.
  • 크기가 각각 1x0.5><0.5 x 1.5x1.0x07 mm2 2.1xi.5xi.o M, 2.4x2.0xl.4 mm2인 4가지 형태의 인덕터를 제작하였고 권선수(N)은 1~6이었다. 그림 1은 본 논문에서 제작된 초소형(L0x(X5x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Rob Groves, David L. Harame, Dale Jadus, 'Temperature Dependence of Q and Inductance in Spiral Inductors Fabricated in a Silicon-Gerrnanium/BiCMOS Technology,'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vol. 32, no. 9, pp. 1455-1459, Sep, 1997 

  2. M. H. Jung, J. W. Kim, and E. J. Yun,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solenoid-type RF chip inductors utilizing low-loss $Al_2O_3$ core materials', Japanese J. Appl, Phys., vol. 39, no. 8, pp. 4772-4776 , Aug. 2000 

  3. Y. Kobayashi, S. Ishibashi, K. Shirakawa, J. Toriu, H. Matsuki, K. Murakami, 'New Type Micro Cloth-Inductor and Transformer with Thin Amorphous WIres and Multi-Thin Coils,' IEEE Trans. on Magnetics, vol. 28, no. 5, pp. 3012-3014, Sep, 1992 

  4. S. G. Kim, E. J. Yun, J. Y. Kim, J. D. Kim, and K. I. Cho, 'Micro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oublerectangular spiral type thin-film inductors with an upper NiFe magnetic core', J. Appl, Phys., vol. 90, no. 7, pp. 3533-3538, Oct. 2001 

  5. M. H. Jung and E. J. Yun,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ultra-small size RF chip inductor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 Key Engineering Materials, vol. 277-219, pp. 177-182 , Jan. 2005 

  6. Chong H. Ahn, Mark G. Allen, 'Micro-machined Planar Inductors on Silicon Wafers for MEMS Applications,' IEEE Tra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45, no. 6, pp. 866-876, Dec, 1998 

  7. M. Yamaguchi, K. Suezawa, K. I. Arai, Y. Takahashi, S. Kikuchi, Y. Shimada, W. D. Li, S. Tanabe, and K. Ito, 'Micro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gnetic thin-film inductors in the ultrahigh frequency region,' J. Appl. Phys., vol. 85, no. 11, pp. 7919-7922, 1999 

  8. Takanori Tsutaoka, Teruhiro Kasagi, Kenichi Hatakeyama, 'Magnetic Field Effect on the Complex Permeability for a Mn-Zn Ferrite and its Composite Materials'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pp. 1531-1535, 1999 

  9. Tae-Ok Kim, Uoung-Woo Oh,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Hexagonal Ferrite During Calculating the Mixture of $Ba(OH)_2,Zn(OH)_2$ and $6Fe(OH)_3$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17, no. 3, pp. 121-128, 1980 

  10. C. Patrick Yue, S. Simon Wong, 'On-Chip Spiral Inductors with Patterned Ground Shields for Si-Based RF IC's,'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vol. 33, no. 5, pp. 743-752, May 1998 

  11. Jun-Bo Yoon, Chul-Hi Han, Eui-Sik Yoon and Cheong-Ki Kim, 'Monolithic Fabrication of Electroplated Solenoid Inductors Using Three-Dimension Photolithography of a Thick Photoresist,' Jpn. J. Appl. Phys, Vol. 37, pp. 7081-7085, Part1, No. 12B, Dec 1998 

  12. 윤의중,정영창,'극소형 솔레노이드 RF 칩 인덕터의 설계 및 제작에 대한 연구' 전기학회논문지,52C권 11호,pp. 501-507,11월,2003 

  13. C. H. Durney and C. C. Johnson, 'Introduction to Modern Electromagnetics,' New York : McGRAW-Hill, Chap. 2, pp. 101, 1969 

  14. K. Shirakawa, K Yamaguchi, M. Hirata, T. Yamaoka, F. Takeda, K. Murakami, and H. Matsuki, 'Thin Film Cloth-Structured Inductor for Magnetic Integrated Circuit,' IEEE Trans. on Magnetics, pp. 2262-2264, 1990 

  15. H. Matsuki, N. Fujii, K. Shirakawa, J. Toriu, K. Murakami, 'Magnetic-Multi-Turn Planar Coil Inductor,' IEEE Trans. on Magnetics, vol. 27, no. 6, pp. 5438-5440, Nov,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