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다짐 공법이 적용된 준설매립지반의 개량효과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Ground Improvement of Reclaimed Land Based on Dynamic Compaction Method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2 no.5, 2006년, pp.13 - 26  

김종국 (한국건설품질시험원 지반기술팀) ,  채영수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 준설매립지반을 대상으로 액상화 평가방법들에 대해 검토하고, 국내 지진특성을 고려하여 지진규모 6.5을 기준으로 액상화 가능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다짐시험시공 및 동다짐 전 후에 수행한 표준관입시험 (SPT) 및 정적콘관입시험(CPT)을 토대로 지반개량효과 및 액상화 보강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동다짐은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개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다짐 후 지반강도 증가에 따라 액상화 안전율도 크게 증가되어 내진성능 향상을 크게 도모 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에 따른 매립지반의 다짐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hod of liquifaction potential occuring at the reclaimed land in Incheon district and to compare the result obtained by the method based on the earthquake of 6.5 magnitude. In addition, the effects of ground improvement and liquifaction potential were 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송도신도시 개발부지의 준설 매립지반을 대상으로 준설토의 물리적 특성과 매립지반에 대한 액상화 가능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짐공법에 따른 개량 효과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송도신도시 개발부지의 준설 매립지반을 대상으로 준설토의 전반적인 특성과 매립지반의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짐 전.후에 수행한 표준관입시험(SPT), 정적콘관입시험(CPT)결과를 토대로 지반개량효과 및 액상화 보강 효과를 평가하여 동 다짐공법에 따른 다짐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그림처럼 준설토의 세립분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액상화 저항강도비는 더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다짐 전 상대밀도(4)는 약 50%정도의 경우와 다짐 후의 상대밀도를 60, 70%로 가정하여 산정한 액상화 저항강도비는 표 6과같이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건설교통부(2004), 기존 시설물의 기초 및 지반의 내진성능 평가요령 

  2. 김명보 (2003), 송도신도시 건설공사 지반개량 다짐관리 연구보고서 

  3. 김종국, 채영수, 김명모 (2004a), 'CPT를 이용한 준설매립지반의 지반개량효과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910-921 

  4. 김종국, 채영수 (2004b), '인천지역 준설매립지반의 품질개선 사례연구', 한국지반공학회 연약지반위원회 논문집, pp.61-83 

  5. 김종국, 채영수 (2005),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을 이용한 준설매립지반의 액상화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528-1537 

  6. 신윤섭, 박인준, 최재순, 김수일 (1999), '국내 발생 지진규모를 고려한 액상화저항강도 산정',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pp.307-317 

  7. Iwasaki, T., Tatuoka, F., Tokida, K., and Yasuda, S. (1978), 'A Practical Method for Assess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Based on Case Studies at Various Sites in Japan', Proceedings of 5th Japan Earthquake Symposium, pp.641-648 

  8. Gibbs, H.J. and Holtz, W. G. (1957), 'Research on Determing the Density of Sands by Spoon Penetration Testing', Procedings, Fourth International Con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9. Menard, I. and Brois, Y. (1975),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Dynamic Consolidation', Geotechnical, Vol.25, No.1, pp.3-18 

  10. Meyerhof, G.G. (1956), 'Penetraion Test and Bearing Capacity of Cohesionless Soil', Journal of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ASCE, Vol. 82, SM.1, pp.866 

  11. Robertson, P.K. and Wride. (1998), 'Evaluation Cyclic Liquefaction Potential Using the Cone Penetration Test', Journal of the Can, Geotechnical, 35: pp.442-459 

  12. Seed, H. B. and Idriss, I. M. (1971), 'Simplified Procedure for Evaluat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Journal o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Division, ASCE, Vol.97, No.SM9, pp.1248-1272 

  13. Seed, H. B., Idriss, I. M., and Arango, I. (1983), 'Evaluation of Liquefaction Potential Using Field Performance Data', Journal of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ASCE, Vol.109, No.3, pp.458-4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