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기 환자를 다루는 경우가 많고 치료기간이 긴 교정치료는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일반 체성 성장 관찰 도표는 현 시대의 성장기 환자의 체성 성장 추이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바 이는 이용된 자료가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4년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시행하고 대한인간공학회에서 주관한 2004년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보고서 자료를 토대로 현시성 있고 유용한 성장 곡선 및 성장 속도 곡선을 제작하는 과정을 소개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를 처리하고 재배열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료의 변이를 사분위수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1, 5, 95, 99 백분위수를 추가하여 남녀별 키 몸무게 성장 곡선을 제작하였고 이와 아울러 기하 평균에 기초한 성장 속도 곡선도 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생성된 한국인 키 및 몸무게 신 평가표는 성장 발육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성장 발육과 관련, 교정 환자와의 의사 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성장기 환자를 다루는 경우가 많고 치료기간이 긴 교정치료는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일반 체성 성장 관찰 도표는 현 시대의 성장기 환자의 체성 성장 추이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바 이는 이용된 자료가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4년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시행하고 대한인간공학회에서 주관한 2004년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보고서 자료를 토대로 현시성 있고 유용한 성장 곡선 및 성장 속도 곡선을 제작하는 과정을 소개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를 처리하고 재배열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료의 변이를 사분위수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1, 5, 95, 99 백분위수를 추가하여 남녀별 키 몸무게 성장 곡선을 제작하였고 이와 아울러 기하 평균에 기초한 성장 속도 곡선도 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생성된 한국인 키 및 몸무게 신 평가표는 성장 발육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성장 발육과 관련, 교정 환자와의 의사 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growing patients and those which involve long treatment times, knowledge of growth and development are essential. Data from the general growth observation chart being used at present does not reflect the growth transition of modern times. This is because these data are o...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growing patients and those which involve long treatment times, knowledge of growth and development are essential. Data from the general growth observation chart being used at present does not reflect the growth transition of modern times. This is because these data are out of date. The present study, therefore, aims to introduce the process of producing a growth curve and growth rate curve based on data which represents a more accur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ituation. The data used were from the 5th nationwide surrey, SIZE KOREA 2004 study, carried out by the Technology and Standards Policy Division, Department of Technology and Standards Planning, Ministry of Commerce. Processing and rearranging produced data with variations divided into the three quartiles and the 1st, 5th, 95th and 99th percentiles were included to produce a growth observation chart according to sex, height and weight differences. In the same way, a growth rate curve based on the geometric mean value was produced. The resulting growth charts can be used as an index for growth and development, and used for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orthodontist, patients and parents.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growing patients and those which involve long treatment times, knowledge of growth and development are essential. Data from the general growth observation chart being used at present does not reflect the growth transition of modern times. This is because these data are out of date. The present study, therefore, aims to introduce the process of producing a growth curve and growth rate curve based on data which represents a more accur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ituation. The data used were from the 5th nationwide surrey, SIZE KOREA 2004 study, carried out by the Technology and Standards Policy Division, Department of Technology and Standards Planning, Ministry of Commerce. Processing and rearranging produced data with variations divided into the three quartiles and the 1st, 5th, 95th and 99th percentiles were included to produce a growth observation chart according to sex, height and weight differences. In the same way, a growth rate curve based on the geometric mean value was produced. The resulting growth charts can be used as an index for growth and development, and used for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orthodontist, patients and paren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치과교정학 분야에서 성장 발육 연구의 초점이 되어온 이유는 곧잘 '키 클 때 하악골도 같이 큰다'라는통설에 함축되어 표현되어 온 것처럼 성장 발육을 측정함으로써 치열과 안모의 잔여 성장량의 예측 가능성을 높여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 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고자 함이었다. 이를 위하여 체형을 참고하거나, 여성의 경우 초경의 시기에 대한 문진이 통상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4년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시행한 2004년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보고서 西 자료를 토대로 현 시성 있고 유용한 성장 평가표를 제작하고 이를 소개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균을 사용하여 작도하였다. 이는 cross sectional mass survey 시에 발생하는 자료 내부의 변이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또한 연간 성장량의 여유분을 2배 증가시켜서 임상 적용 시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성장 완료 후의 증가분은 인위적으로 '0'으로 조절(supervised)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2004년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은 과거 의과대학이나 학교 보건 행정 측면에서 접근한 방식과는 달리 식생활, 생활 패턴, 문화양식의 변화에 부응하는 산업 제품의 표준치를 설정하기 위해 국제 기준에 상응하는 고품질 한국인 인체치수 자료 확보를 조사 목적으로 표방하고 있다. 한편본 연구의 기본 자료는 2001년과 2002년 사이에 미국이 SIZE USA, 영 국의 SIZE UK 사업으로 급격히 성장하는 산업 성장에 발맞추어 대규모로 3차원 측정을시행한 사례를 참고한 듯, 과거에 실시하여 오던 직접측정 뿐만 아니라, 동 측정, 3차원 형상 측정 등, 좀 더광범위한 측정을 시행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 시성 있는 성장 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교정치료 시 필요한 교정 환자의 잔여 성장량예측을 위한 보조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일반 체성 성장 관찰 곡선 및 속도 곡선을 제작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그 결과물의 의미를 토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신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자료가 이용되었으며, 이와같이 성장 도표를 이용한 방법은 방사선 검사와 달리비용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잔여 체성 성장의계량적 예측이 가능한 간편한 방법이며 실제 임상에서 교정 환자 및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제안 방법
하였다. 곡선의 작도 방식은 자료의 분포를 쉽게 표시할 수 있는 백분 위수를 이용하였으며 중앙값과 사분위수를 기본으로 하고 극단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1, 5, 95 및 99 백분위수를 그래프에 표시하였다.
성장 속도 곡선의 제작에는 각 년차별 차이에 대한기하평 균을 사용하여 작도하였다. 이는 cross sectional mass survey 시에 발생하는 자료 내부의 변이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이는 cross sectional mass survey 시에 발생하는 자료 내부의 변이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또한 연간 성장량의 여유분을 2배 증가시켜서 임상 적용 시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성장 완료 후의 증가분은 인위적으로 '0'으로 조절(supervised)하였다.
도표는 한쪽에 4개의 chart를 모두 포함시켰으며, 이외에 생년월일, 날짜, 연간 증가량 기입란 및 수완부골방사선사진 판독치의 기 입란을 추가하였다. 연간성장량 기입란은 시작 부위 기입을 방지하여 평가 시기준을 이듬해로 설정하였다.
연간성장량 기입란은 시작 부위 기입을 방지하여 평가 시기준을 이듬해로 설정하였다. 끝으로 남녀간의 scale 을 통일시켜 자료 대비 용이성 및 작성자의 간격간혼동을 방지토록 구성하였다.
연간성장량 기입란은 시작 부위 기입을 방지하여 평가 시기준을 이듬해로 설정하였다. 끝으로 남녀간의 scale 을 통일시켜 자료 대비 용이성 및 작성자의 간격간혼동을 방지토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이듬해에 이를 기록하게 될수 있도록 도표 하단에 이를 명확하게 설정해 놓은것 역시 개선된 점이며, 실제로 임상에서 사용하는 방사선 검사치의 기 입란을 추가하였다 (Figs 1 and 2).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재료는 2003년 3월 28일부터 2004년 11 월 30일에 걸친 2004년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 학술연구용역 최종 보고서 a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이 사업은 대한민국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19억 5백만원의 총사업비를 들여 시행하였으며, 주관기 관은 대한인간공학회 , 참여 기관은 한국의 류학회 와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었다.
키 성장 곡선은 2세에서 24세까지의 남자 4, 893명, 여자 4, 97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몸무게 성 장 곡선은 2세에서 24세까지의 남자 4, 889명, 여자 4, 9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곡선의 작도 방식은 자료의 분포를 쉽게 표시할 수 있는 백분 위수를 이용하였으며 중앙값과 사분위수를 기본으로 하고 극단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1, 5, 95 및 99 백분위수를 그래프에 표시하였다.
성능/효과
몸무게성장 곡선의 경우 자료의 변 폭이 큰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남자의 경우 상위 백분 위수의 폭이 컸다. 여자의경우는 19세 이후 몸무게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Fig 2, A, B).
종전 자료와 본 연구의 자료를 비교하여 보면, 키의 경우 남자의 경우 사춘기 최대성장기인 14세 때 평균 153 cm, 95 백분 위수 165 cm, 5 백분위수 143 cm이던 것이 본 연구에서는 각각 165 cm, 175 cm, 150 cm로 나타났으며, 여자의 경우 14세 때 평균 152 cm, 95 백분 위수 158 cm, 5 백분 위수 146 cm이던 것이 본 연구에서는 각각 158 cm, 167 cm, 150 cm로 나타나 10대의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고 크게 증가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20세 때 자료 역시 지난 20년간 큰 변화가 있었는데, 남자의 경우 168 cm, 95 백분 위수 172 cm, 5 백분 위수 162 cm이던 것이 본 연구에서는 각각 174 cm, 185 cm, 164 cm로 나타났으며, 여 자의 경우 20세 평균 157 cm, 95 백분 위수 163 cm, 5 백분 위수 151 cm이던 것이 본 연구에서는 각각 160 cm, 169 cm, 152 cm로 나타나 지 난 20년간 남자의 평 균 키는 6 cm, 여자의 평균 키는 3 cm 정도 증가되었고, 키의 상위자와 하위자 간의 변 폭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Fig 1, A, B).
종전 자료와 본 연구의 자료를 비교하여 보면, 키의 경우 남자의 경우 사춘기 최대성장기인 14세 때 평균 153 cm, 95 백분 위수 165 cm, 5 백분위수 143 cm이던 것이 본 연구에서는 각각 165 cm, 175 cm, 150 cm로 나타났으며, 여자의 경우 14세 때 평균 152 cm, 95 백분 위수 158 cm, 5 백분 위수 146 cm이던 것이 본 연구에서는 각각 158 cm, 167 cm, 150 cm로 나타나 10대의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고 크게 증가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20세 때 자료 역시 지난 20년간 큰 변화가 있었는데, 남자의 경우 168 cm, 95 백분 위수 172 cm, 5 백분 위수 162 cm이던 것이 본 연구에서는 각각 174 cm, 185 cm, 164 cm로 나타났으며, 여 자의 경우 20세 평균 157 cm, 95 백분 위수 163 cm, 5 백분 위수 151 cm이던 것이 본 연구에서는 각각 160 cm, 169 cm, 152 cm로 나타나 지 난 20년간 남자의 평 균 키는 6 cm, 여자의 평균 키는 3 cm 정도 증가되었고, 키의 상위자와 하위자 간의 변 폭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Fig 1, A, B). 몸무게 자료의 경우에도 이와같이 성장의 속도가 빨라져 조숙 하는 경향과 아울러 평균 몸무게가 증가되었는데, 키의 성장과 달리 평균 몸무게의 증가량은 불과 2 ~ 3 Kg 증가에 그친 반면 상위자와 하위자 간의 변 폭은 매우 급증한 양상을 보였다 (Fig 2, A, B).
20세 때 자료 역시 지난 20년간 큰 변화가 있었는데, 남자의 경우 168 cm, 95 백분 위수 172 cm, 5 백분 위수 162 cm이던 것이 본 연구에서는 각각 174 cm, 185 cm, 164 cm로 나타났으며, 여 자의 경우 20세 평균 157 cm, 95 백분 위수 163 cm, 5 백분 위수 151 cm이던 것이 본 연구에서는 각각 160 cm, 169 cm, 152 cm로 나타나 지 난 20년간 남자의 평 균 키는 6 cm, 여자의 평균 키는 3 cm 정도 증가되었고, 키의 상위자와 하위자 간의 변 폭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Fig 1, A, B). 몸무게 자료의 경우에도 이와같이 성장의 속도가 빨라져 조숙 하는 경향과 아울러 평균 몸무게가 증가되었는데, 키의 성장과 달리 평균 몸무게의 증가량은 불과 2 ~ 3 Kg 증가에 그친 반면 상위자와 하위자 간의 변 폭은 매우 급증한 양상을 보였다 (Fig 2, A, B).
이 같은 차이는 원자료의 특성 및 본 연구에서 이용된 기하 평균에 의한 속도 곡선 구성에 의거한 것으로 고찰되었다. 즉, 기존 자료가 소수의 인원에 의거한 횡단 연구 자료였던 반면 본 연구의 자료는 연구대상이 컸기 때문에 도표상의 peak가 종단 연구의 그것과 유사하게 된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고, 기하 평균으로 속도 곡선을 작도함으로써 작은 peak 들의 생성을 억제한 특성이 작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여자의 경우는 기존 자료에서 13세 때 최대 성장기를 보였던 반면 본 자료에서는 11세 때 최대 성장기를보여 사춘기 성장이 앞당겨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여자의 경우는 기존 자료에서 13세 때 최대 성장기를 보였던 반면 본 자료에서는 11세 때 최대 성장기를보여 사춘기 성장이 앞당겨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기존 연구 자료와 본 연구 자료를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평균 키와 몸무게의 증가 및 백분위수 상위자와 하위자의 간격이 더 벌어진 변폭의 차이, 끝으로 성장의 속도가 빨라진 조숙의 경향 이 세가지를 주로 고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이미 대중매체를 통하여 접해왔던 시대적 변화 상황에 따른 청소년의 성장 특성과 부합하는 것이었으므로 크게 새로운것으로 보이지 않았다.
그 결과물의 의미를 토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신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자료가 이용되었으며, 이와같이 성장 도표를 이용한 방법은 방사선 검사와 달리비용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잔여 체성 성장의계량적 예측이 가능한 간편한 방법이며 실제 임상에서 교정 환자 및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사춘기 최대 성장기의 경우 남자는 기존 자료상에서 13세, 16세의 peak 값을 갖는 bimodal peak를 보였던 것이 본 연구 자료에서는 14세 때 단일 peak로 나타났다. 이 같은 차이는 원자료의 특성 및 본 연구에서 이용된 기하 평균에 의한 속도 곡선 구성에 의거한 것으로 고찰되었다.
후속연구
왜냐하면 성장기 환자의 몸무게 측정은 몸무게 변화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학령기 환경과 결부되어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키는 유전적 소인에 더욱 강하게 영향을 받으며 쉽게 늘이거나 줄일 수 없다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 자료의 한계는 다양한 개인의 성장 양상을횡단적 연구 자료를 토대로 비교한 데에 있으나, 실제로 종단적 자료 구축에 많은 제약이 따르며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경제 분야의 특신체 지표의지표의 경시적 변화가 뚜렷한 추세에 있는 이유로 현 시성을자료인경우에도 현시성을 제공하기에 역시 또 다른 한계가있다고 생각된다.
경제 분야의 특신체 지표의지표의 경시적 변화가 뚜렷한 추세에 있는 이유로 현 시성을자료인경우에도 현시성을 제공하기에 역시 또 다른 한계가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와 같은 성장 평가 도표를이용하기에 더욱 간편화하여 임상적 실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스플라인 함수에 기반을 둔 전산 알고리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전산화와 이에 부수되는 성장 곡선의 적합성 검정에 의하여 좀 더 개별적합성이 높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큰 규모의 종단적 성장 발육 연구 자료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와 같은 성장 평가 도표를이용하기에 더욱 간편화하여 임상적 실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스플라인 함수에 기반을 둔 전산 알고리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전산화와 이에 부수되는 성장 곡선의 적합성 검정에 의하여 좀 더 개별적합성이 높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큰 규모의 종단적 성장 발육 연구 자료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22)
Scammon RE. The measurement of the body in childhood. In: Harris JA editor. The measurement of ma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30
Bjork A, Helm S. Prediction of the age of maximum pubertal growth in body height. Angle Orthod 1967;37:134-43
Woodside DG. Distance, velocity and relative growth rate standards for mandibular growth for Canadian males and females age three to twenty years.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thesis, Toronto, Canada, 1969
김경호, 최광철, 정길용. 성장기 여아에서 첫째 및 셋째 수지 지절 변화와 초경시기. 대치교정지 2002;32:265-74
Hwang CJ, Cha JY. Orthodontic treatment with growth hormone therapy in a girl of short statur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4;126:118-2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