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조류의 영양 성분과 항산화 활성
Nutri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ed Seaweed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6 no.3 = no.76, 2006년, pp.400 - 408  

신정혜 (남해전문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최덕주 (남해전문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임현철 (영남외식산업 컨설팅) ,  서종권 (진주국제대학교 식품과학부) ,  이수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선영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갈래곰보(Meristotheca papulosa (Montagne) Kylin), 진두발 (Chondrus ocellatus, Holmes),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 (Hudson) Papenfuss) 및 돌가사리(Gigartina tenella, Harvey) 를 대상으로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실험함으로서 그 기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회분의 함량은 시료간의 차가 커 꼬시래기의 경우 $9.8{\pm}0.2g/100g$이었으나 돌가사리는 $17.8{\pm}0.6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조섬유의 함량은 $2.0{\pm}0.4{\sim}6.0{\pm}0.7\;g/100g$의 범위였다. 페놀화합물은 꼬시래기에서 $78.4{\pm}1.0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진두발과 꼬시래기에서 각각 $14.9{\pm}0.5mg/g$$13.9{\pm}0.8mg/g$으로 정량되어 갈래곰보와 돌가사리에 비해 약 2배 정도 더 높은 함량이었다. 무기물의 총 함량은 갈래곰보에서 12,107.7 mg/kg으로 가장 높았다. 구성 아미노산은 $49.1{\sim}125.6mg/g$으로 시료에 따른 함량 차가 켰으며 대부분의 시료에서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SOD 유사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활성은 낮았다.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은 돌가사리의 경우 $250{\mu}g/ml$농도에서 $53.96{\pm}0.98%$로 50%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1000 ${\mu}g/ml$농도에서는 $70.52{\pm}1.09%$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100 ${\mu}g/ml$의 농도에서는 시료들의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은 $57.87{\pm}1.70{\sim}62.07{\pm}0.87%$의 범위로 ascorbic acid나 BHT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꼬시래기에서 가장 높았는데 $100{\sim}500{\mu}g/ml$ 농도에서는 $24.04{\pm}1.9{\sim}27.52{\pm}0.82%$의 범위였으나 1000 ${\mu}g/ml$ 농도에서는 $34.81{\pm}1.36%$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본 실험에 사용된 홍조류 4종은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이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tritional components of 4 kinds of red seaweeds, Meristotheca papulosa, Chondrus ocellatus, Gracilaria verrucosa, Gigartina tenella, were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ir functionality.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analyzed from 70% ethanol extracted from these red sea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갈래곰보(Meristotheca papulosa (Montagne) Kylin), 진두발 (Chondrus ocellatus, Holmes), 꼬시래기 (Gracilaria verrucosa (Hudson) Papenfuss) 및 돌가사리 (Gigartina tenella, Harvey) 를 대상으로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실험함으로서 그 기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회분의 함량은 시료간의 차가 커 꼬시래기의 경우 9.
  • 할 부분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샐러드나 생선회의 장식용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은 그이 용도가 낮고, 연구가 미진한 홍조류 4종을 대상으로 하여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실험함으로서 그 기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rasaki, A. and T. Arasaki. 1983. Low calories, high nutrition vegetables from the sea to help you look and feel better. pp. 39-42. Japan Publications Inc 

  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3. Choe, S. N. and K. J. Choi. 2002.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a algaes in the southern sea coast of Korea. Korean J. Food & Nutr. 15, 58-63 

  4. Do, J. R., E. M. Mim, J. G. Koo and K. S. Jo. 1997. Dietary fiber contents of marine algae and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ber. J. Korean Fish Soc. 30, 291-296 

  5. Do, J. R., Y. J. Nam, J. H. Park and J. H. Jo. 1997. Studies on chemical composition of red algae. J. Korean Fish Soc. 30, 428-431 

  6. Fleurence, J. 1999. Seaweed proteins: biochemical, nutritional aspects and potential uses.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0, 25-28 

  7. Heo, S. J., E. J. Park, K. W. Lee and Y. J. Jeon. 2005.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ic extracts from brown seaweeds. Bioresource Technology 96, 1613-1623 

  8. Kato, H., I. E. Lee, N. V. Chuyen, S. B. Kim and F. Hayase.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 Chem. 51, 1333-1338 

  9. Kim, D. H., M. S. Lim and Y. O. Kim. 1996. Effect of seaweeds ad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249-254 

  10. Kim, J. A. and J. M. Lee. 2004. The change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with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Cult. 9, 200-208 

  11. Kim, J. G., Y. M. Kang, K. S. Eum, Y. M. Ko and T. Y. Kim.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Akebia quinate Decaisn, Scirusfluviatilis A. gray,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J. Agri. Life Sci. 37, 69-75 

  12. Kim, O. K., T. G. Lee, Y. B. Park, D. C. Park, Y. W. Lee, S. G. Yeo, I. S. Kim, Y. H. Park and S. B. Kim. 1996. Inhibition of xanthineoxidase by seaweed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069-1073 

  13. Lee, H. B., B. W. Choi, J. H. Chun and B. S. Yu. 1996. Extraction of water soluble antioxidants from seaweeds. J. Korean Ind.& Eng. Chemistry 7, 1067-1077 

  14. Lee, H. J. and Y. K. Park. 1999. Effect of seaweeds and absorbents o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nion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77-1483 

  15. Lee, I. K., S. C. Shim, H. O. Cho and C. O. Rhee. 1971. On the components of edible marine algae in Korea, 1. The components of several edible brown algae.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14, 213-220 

  16. Lee, N. H. and K. L. Oh. 2000.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effects from marine algae. Cheju Journal of Life Science 3, 95-101 

  17. Lim, S. N., P. C. K. Cheung, V. E. C. Ooi and P. O. Ang. 2002.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a brown seaweed, Sargassum siliquastrum. J. Agric. Food Chem. 50, 3562-3866 

  18. Mabeau, S. and J. Fleurence. 1993. Seaweed in food products: Biochemical and nutritional aspects.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 103-107 

  19.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0. Moreno, M. I. N., M. I. N. Isla, A. R. Sampietro and M. A. Vattuone.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ogy 71, 109-114 

  21. Nam, S. H. and M. Y. Kang. 2000. Screening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1-147 

  22. Oh, C. K., C. S. Park, M. C. Oh, J. S. Hyun, B. O. Kim and S. H. Kim. 1996. Desmuta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extract from seaweeds by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 Cheju National Univ. R.I.I.T. Jour. 7, 11-20 

  23. Ortega-Calvo, J. J., C. Mazuelos, B. Hermosin and C. Sa iz-Jimenez. 1993. Chemical composition of spirulina and eucaryotic algae food products marketed in Spain.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5, 425-435 

  24.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 307-315 

  25. Park, J. H., K. C. Kang, S. B. Beak, Y. H. Lee and K. S. Rhee. 1991. Separ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edible marine alga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56-261 

  26. Park, Y. H., J. H. Pyeun, H. K. Oh and Y. J. Kang. 1976. Utilization of unexploited algae for food or other industrial uses, 1. Chemical composition of unexploited algae and extraction of algae protein. J. Korean Fish Soc. 9, 155-162 

  27. Ruperez, P. 2002. Mineral content of edible marine seaweeds. Food Chemistry 79, 23-26 

  28. Ryu, B. H., B. H. Chi, D. S. Kim and M. S. Ha. 1986. Desmutagenic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seaweeds. J. Korean Fish Soc. 19, 502-508 

  29. Shin, J. H. 2002. The formation and inhibition of N-nitrosamine in common Korean foods. Ph, D. thesis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30. Siriwardhana, N., K. W. Lee, S. H. Kim, J. W. Ha and Y. J. Jeon.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Hizikia fusiformis on reactive oxygen spices scavenging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Food Sci. Tech. Int. 9, 339-346 

  31. Yan, X. J., X. C. Li, C. X. Zhou and X. Fan. 1996. Prevention of fish oil rancidity by phlorotannins from Sagassum kjellmanianum. J. Appl. Phycol. 8, 201-203 

  32. Yan, X. J., Y. Chuda, M. Suzuki and T. Nagata. 1999. Fucoxanthin as the major antioxidant in Hijikia fusiformis, a common edible seaweed. Biosci. Biotechnol. Biochem. 63, 605-607 

  33. Yan, X., T. Nagata and X. Fan. 1998. Antioxidative activities in some common seaweeds. Plant Foods Hum. Nutr. 52, 253-262 

  34. Yasuji, O. and H. O. Kiyoka. 1994. identification of antimutagenic activities in the extract of an edible brown algae. Hijikia fusiformis, (Hijiki) by ume gene expression system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1535/pSK 1002). J. Sci. Food Agric. 66, 103-109 

  35. Zhang, Q., N. Li, X. Liu, Z. Zhao, Z. Li and Z. Xu. 2004. The structure of a sulfated galactan from Porphyra haitanesis and its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Carbohydrate Research 339, 105-111 

  36. 김영명, 박덕천, 김은미, 도정룡. 2002. 국내산 주요 해조류 의 무기질 및 식이섬유 조성. 2002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 학술대회 발표요지집. pp. 153-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