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5종 해조류의 항산화효과와 총 폴리페놀 함량과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5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8, 2005년, pp.1143 - 1150  

곽충실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체력과학노화연구소) ,  김성애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미숙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에서 널리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미역, 다시마, 톳(갈조류), 파래(녹조류), 김(홍조류)의 항산화효과와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건조 상태의 시판 해조류로부터 에탄올 추출시료를 얻은 후 $Fe^{2+}$로 유도된 지질과산화 억제율, DPPH 라디칼 소거율 및 MDA-BSA 결합 저해율을 측정하는 3가지 방법으로 항산화효과를 검정 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조류인 파래의 항산화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는데, 특히 지질과산화물이 단백질과 결합하는 반응을 매우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그 다음 김과 다시마의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미 역과 톳은 항산화효과가 거의 없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미역이 11.63 mg/g 건조무게로 가장 높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파래가 8.97 mg/g 건조무게로 가장 높았다. 한편, 3가지 방법에 의해 측정된 해조류의 항산화효과 모두가 총 폴리페놀 함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지질과산화억제율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r=0.9351, p<0.0001), 해조류에서의 항산화효과에 폴리페놀 성분이 크게 기여할 가능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5 common edible seaweeds in Korea, three brown algae (seaweed fusiforme, sea mustard, sea tangle), one green algae (sea lettuce) and one red algae (laver), were examin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these seaweeds were examined by measuring of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ahyana 등(35)은 Eisenia biscycliseM chlorophyll a와 연관된 물질인 pyropheophytin a가 a -tocopherol보다 강한 항산 화효과를보임으로써 해조류의 색소물질이 항산화활성을 갖고 있음을 밝혔다. 이 또한 본 연구에서 녹조류인 파래의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던 결과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P-Carotene 역시 광선 및 산소라디칼로부터 세포와 조직을 보호하는 항산화효과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36).
  • 국내에는 식용 해조류가 약 50여종에 이르고 있으나 이들 해조류에 대한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이 어「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인 미역 (UrUaria pinnatifida), 다시마 (Laminaria ja~ ponica), 톳(Hizikia fusifomis)과 녹조류인 파래 (ErKe广。- morpha), 홍조류인 김 (Porphyra terera) 등으로부터 에 탄올 추출물을 얻어 항산화효과를 검색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그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Values are mean ± SE from three times of measurements.
  • 2)Values are mean ± S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Jimenez-Escrig A, Goni Cambrodon I. 1999.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edible seaweeds. Arch Latinoam Nutr 49: 114-120 

  2. Mabeau S, Fleurence J. 1993. Seaweed in food products: Biochemical and nutritional aspects. Trends Food Sci Technol 4: 103-107 

  3. Funahashi H, Imai T, Mase T, Sekiya M, Yokoi K, Hayashi H, Shibata A, Hayashi T, Nishikawa M, Suda N, Hibi Y, Mizuno Y, Tsukamura K, Hatakawa A, Tanuma S. 2001. Seaweed prevents breast cancer? Jpn J Cancer Res 92: 483-487 

  4. Ruperez P, Ahrazem O, Leal JA. 2002. Potential antioxidant capacity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the edible marine brown seaweed Fucus iiesiculosus. J Agric Food Chem 50: 840-845 

  5. Lahaye M. 1991. Marine algae as sources of fibers: Determination of soluble and insoluble dietary fiber contents in some sea vegetables. J Sci Food Agric 54: 587-594 

  6. Girard JP, Marion C, Liutkus M, Boucard M, Rechencq E, Vidal JP, Rossi JC. 1988. Hypotensive constituents of marine algae. 1. Pharmacological studies of laminine. Planta med 54: 193-196 

  7. Jung BM, Ahn CB, Kang SJ, Park JH, Chung DH. 2001. Effects of Hijikia fusiforme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riton-induced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184-1189 

  8. Kim YY, Lee KW, Kim GB, Cho YJ. 2000. Studies on physi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rn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J Kor Fish Soc 33: 393-398 

  9. Yamamoto L, Nagumo T, Takahashi M, Fujihara M, Suzuki Y, Lizima N. 1981. Antimutagenic effect of seaweeds: III. Antitumor effect of an extract from Sagassum. Jap J Exp Med 51: 187-189 

  10. Cho KJ, Lee YS, Ryu BH. 1990.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y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Bull Korean Fish Soc 23: 345-352 

  11. Yoon JA, Yu KW, Jun WJ, Cho HY, Son YS, Yang HC. 2000. Screening of anticoagulant activity in the extracts of edible seaweeds and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098-1106 

  12. Shim YY, An JH, Cho WD, Chun H, Kim Kl, Cho HY, Yang HC. 2002. Inhibitory mechanism of blood coagulation and in vivo anticoagulant activities of polysaccarides isolated from Codium fragi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17-923 

  13. Lee HA, Lee SS, Shin HK. 1994. Effect of dietary fiber source on the composi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in rats. Korean J Nuir 27: 988-995 

  14. Park EY, Lee SS. 1996. Effect ofd dietary fiber on the serum lipid level and bowel function in aged rats. Korean J Nutr 29: 934-942 

  15. Kim EH, Vuksan V, Wong E.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viscosity of soluble dietary fiber and their hypoglycemic effects. Kor J Nutr 29: 615-621 

  16. Cho YJ, Bang MA. 2004. Effects of dietary seaweeds on blood glucose, lipid and glutathione enzymes in streptozc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987-994 

  17. Haung HL, Wang BG. 2004. Antioxidant capacity and lipophilic content of seaweeds collected from the Qungdao coastline. J Agric Food Chem 52: 4993-4997 

  18. Park JH, Kang KC, Baek SB, Lee YH, Rhee KS. 1991 Separ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edible marine alga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56-261 

  19. Yan X, Nagata T, Fan X. 1998. Antioxidative activities in some common seaweeds. Plant Foods Hum Nutr 52: 253-262 

  20. Lim SN, Cheung PCK, Ooi VEC, Ang PO. 2002.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a brown seaweed, Sargassum siliquastrum. J Agric Food Chem 50: 3862-3866 

  21. Ko MS, Shin KM, Lee MY. 2002. Effects of Hijikia fusiforme ethanol extract on anti oxidative enzymes i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of rat liv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7-91 

  22. Larson RA. 1988. The antioxidants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7: 969-978 

  23. Zhang Q, Li N, Zhou G, Lu X, Xu Z, Li Z. 2003.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of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Porphyra haitanesis (Rhodephta) in aging mice. Pharmacol Res 48: 151 -155 

  24. Antonella S, Mario S, Maria L, Daniela M, Francesco B, Francesco C. 1995. Flavonoids as antioxidant agents: Importance of their interaction with biornembranes. Free Rad Bio Med 19: 481-486 

  25. Gotteried H, Dunkley WL. 1969. Ascorbic acid and copper in linoleate oxidation: Measurement of oxidation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and the thiobarbituric acid test. J Lipid Res 10: 555-560 

  2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radical. Nature 26: 1199-1200 

  27. Park YH. 2000. Effect of polyamine on modification of biomodics by aldehyde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8.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29. Gomez-Sanchez A, Hermonsin I, Mayo I. 1990. Cleavage and oligomerization of malondialdehyde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Tetrahedron Letters 28: 4077-4080 

  30. Chae SK, Kang GS, Ma SJ, Bang KW, Oh MW, Oh S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Jigu-rnoonwha Sa, Seoul. p 381-382 

  31.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a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32. Yan X, Chuda Y, Suzuki M, Nagata T. 1999. Fucoxanthin as the major antioxidant in Hijikia fusiformis, a common edible seaweed. Biosci Biotechnol Biochem 63: 605-607 

  33. Yan XJ, Li XC, Zhou CX, Fan X. 1996. Prevention of fish oil rancidity by phlorotannins from Sargassum kiellmanianum. J Appl Phycol 8: 201-203 

  34. Han J, Kang S, Choue R, Kim H, Leem K, Chung S, Kim C, Chung J. 2002. Free radical scaveing effect of Diospyros kaki, Laminaria japonica and Undaria pinnatifida. Fitoterapia 73: 710-712 

  35. Cahyana AH, Shuto Y, Kinoshita Y. 1992. Pyropheophytin a as an antioxidative substance from the marine alga. Biosci Biotechnol Biochem 56: 1533-1535 

  36. Rao AV, Agarwal S. 1999. Role of lycopene as antioxidant carotenoid in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Nutr Res 19: 305-323 

  3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38. Kwak CS, Lim SJ, Kim SA, Park SC, Lee MS. 2004. Antioxidan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uckwheat, Sorghum, Millet and Job's te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921-9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