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남육괴 함양, 거창 및 영주 화강암-화강섬록암의 스핀 U-Pb 연대
Sphene U-Pb ages of the granite-granodiorites from Hamyang, Geochang and Yeongju areas of the Yeongnam Massif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5 no.1 = no.43, 2006년, pp.39 - 48  

박계헌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  이호선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  송용선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  정창식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동위원소환경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남육괴 중부와 북동부의 화강암질 암체들에 대하여 스핀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함양군의 안의면과 서상면 경계부에서 채취한 반상 화강암은 $225.4{\pm}4.1Ma$, 함양군 안의면의 엽리상 화강섬록암$195.6{\pm}1.8Ma$ 거창군 신원면의 엽리상 화강섬록암은 $194.2{\pm}2.4Ma$ 거창군 마리면과 북상면의 화강암은 각각 $198.4{\pm}2.5Ma$$194.6{\pm}2.6Ma$,그리고 영주 엽리상 화강섬록암은 $171.3{\pm}2.3Ma$의 연대를 보인다. 기존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서 살펴보면 삼첩기인 ${\sim}225Ma$의 동일한 시기에 영남육괴의 함양과 상주, 옥천변성대의 백록, 점촌, 괴산 지역에 화강암질암이 정치하였다. 상당한 휴지기를 지난 후 삼첩기-쥬라기 경계로부터 쥬라기초에 걸친 $200{\sim}194Ma$의 시기에 함양군, 거창군, 김천시, 성주군의 상당히 넓은 지역에 걸쳐 화강암질암이 정치하였다. 영남육괴에서 일어난 이 시기의 화성활동은 옥천대나 경기육괴에서는 보고되지 않고 있으며, 당시의 영남육괴의 독특한 지구조적 환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주화강섬록암이 형성된 ${\sim}170Ma$에는 영남육괴, 옥천변성대와 경기육괴 모두에서 활발한 화강암질 화성활동이 일어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Pb ages were determined from the granitic rocks from central and northeastern parts of Yeongnam massif. Porphyritic granite of Seosang-myeon, Hamyang-gun near the boundary with Anui-myeon shows age of $225.4{\pm}4.1Ma$. Foliated granodiorites of Anui-myeon, Hamyang-gun and Sinwon-mye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Ma의 238U-206Pb 스핀 연령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 지역에 분포하는 비슷한 암상의 심성암체들이 동일한 연령을 갖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 , 1991, 1993; Scott and St-Onge, 1995; Zhang and Sch?rer, 1996)을 적용하여 영남육괴에 산출되는 화강암질 암체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대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또한 관련된 기존 연대자료들과 비교하여 구해진 연대의 의미에 대하여 간략히 논의한다.
  •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높은 폐쇄온도를 갖기 때문에 해당 암체들이 정치한 시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U-Pb 스핀 연대측정법(Mezger et al., 1991, 1993; Scott and St-Onge, 1995; Zhang and Sch?rer, 1996)을 적용하여 영남육괴에 산출되는 화강암질 암체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대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또한 관련된 기존 연대자료들과 비교하여 구해진 연대의 의미에 대하여 간략히 논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규봉, 최위찬, 1994, 한국지질도(1:50,000) 함양도폭 및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16p 

  2. 김남장, 김정환, 1970, 한국지질도(1:50,000) 거창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14p 

  3. 김용준, 1986, 영남육괴에 분포하는 고기화강암질암의 지질 연대와 성인에 대한 연구. 광산지질, 19, 특별호, 151- 162 

  4. 김용준, 김정빈, Dallmeyer, R.D., 1987, 운봉-아영 지역에서 나타나는 압쇄상 화강암에 대한 암석기재학적 연구. 광산지질, 20, 125-136 

  5. 김용준, 조등룡, 박영석, 1989, 거창지역에 분포하는 중생 대 화성암류에 대한 연령과 주성분 광물의 화학조성. 광산지질, 22, 117-127 

  6. 김용준, 김정빈, 박재봉, 1991, 호남전단대내에 분포하는 엽 리상화강암류의 암석화학과 성인. 지질학회지, 27, 52-63 

  7. 김용준, 조등룡, 이창신, 1998, 한반도 남서부 남원 일대에 분포하는 A형 대강 화강암의 암석학, 지화학 및 지구조적 의미. 자원환경지질, 31, 399-413 

  8. 박계헌, 이호선, 정창식, 2005, 영남육괴 중부 김천, 성주 및 안의지역 화강섬록암의 스핀 U-Pb 연대. 암석학회지, 14, 1-11 

  9. 박영석, 김용준, 권성택, 박재봉, 1993, 거창-고령지역산 화 성암류에 대한 Rb-Sr 동위원소 연구. 지구과학회지, 14, 32-43 

  10. 이호선, 송용선, 박계헌, 정창식, 2005, 영남육괴 중부 지역 일부 화강암의 연대 보고. 대한지질학회 정기총회 및 학 술발표회, 초록집, 111 

  11. 정창식, 권성택, 1999, 경상분지 북부에 분포하는 선백악기 화강암류의 사마리움-니오디미움 광물연대. 지질학회지, 35, 159-166 

  12. 정창식, 정연중, 길영우, 2004, 중부 옥천대의 중생대 화성활동 시기: 청주-대전 지역 화강암질암의 U-Pb 스핀연대.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21 

  13. 조등룡, 최범영, 김용준, 2003, 대강 화강암과 함창 화강암 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 측정: 220 Ma의 A형 화성활동.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101 

  14. 진명식, 장보안, 1999, 소백산육괴 북동부 영주-춘양지역의 트라이아스기말-쥬라기초 화강암체의 열사 및 그 지구조적 의의. 지질학회지, 35, 189-200 

  15. 황상구, 김상욱, 장태우, 김정민, 이상근, 1999, 영주저반의 관입상과 화성과정. 자원환경지질, 32, 669-688 

  16. 황상구, 안웅산, 김상욱, 2000, 영주저반의 부석심성암체 내 에서 공간적 조성변화와 그 성인. 자원환경지질, 33, 147-163 

  17. 황인전, 박정서, 1968, 한국지질도 (1:50,000) 안의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5p 

  18. 홍세선, 2001, 각섬석 지압계를 이용한 영남육괴내 화강암 의 정치심도와 그 의미. 암석학회지, 10, 36-55 

  19. 홍승호, 윤욱, 1993, 한국지질도 (1:50,000) 장계도폭 및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17p 

  20. Cheong, C.-S., Kwon, S.-T., and Sagong, H., 2002, Geochemical and Sr-Nd-Pb isotopic investigation of Triassic granitoids and basement rocks in the northern Gyeongsang Basin, Korea: Implications for the young basement in the East Asian continenal margin. The Island Arc, v. 11, p. 25-44 

  21. Cho, D.-L., Kwon, S.-T., Sagong, H., Cheong, C.-S., and Armstrong, R., 2001, Precise cooling histories of three neighboring plutons in the central Okcheon belt: Implications for magma movement rate and tectonics. 대 한지질학회 제56차 추계공동학술발표회 초록집, 90 

  22. Kim, C.-B. and Turek, A., 1996, Advances in U-Pb zircon geochronology of Mesozoic pluron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 J., 30, 323-338 

  23. Kim, C.-B., Chang, H.-W., and Turek, A., 2003, U-Pb zircon ages and Sr-Nd-Pb isotopic compositions for Permian- Jurassic plutons in the Ogcheon belt and Ryeongnam massif, Korea: Tectonic implications and correlation with the China Qinling-Dabie belt and the Japan Hida belt. The Island Arc, 12, 366-382 

  24. Kwon, S.-T., Lan, C.-Y. and Lee, T., 1999, Rb-Sr and Sm- Nd isotopic study of the Seoul granitic batholith in middle Korea. Geosciences J., 3, 107-114 

  25. Lee, J.I., Jwa, Y.-J., Park, C.-H., Lee, N.J., Moutte, J. and Kagami, H., 1999, Sr and Nd isotopic compositions of late Paleozoic Youngju and Andong granites in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Geochem. J., 33, 153- 165 

  26. Mezger, K., Raunsley, C.M., Bohlen, S.R., Hanson, G.N., 1991. U-Pb garnet, sphene, monazite and rutile ages: Implications for the duration of high-grade metamorphism and cooling histories, Adirondack Mountains, New York. J. Geol., 99, 415-428 

  27. Mezger, K., Essene, E.J., van der Plujim, B.A., Halliday, A.N., 1993. U-Pb geochronology of the Grenville orogen of Ontario and New York: Constrains on ancient crustal tectonics. Contrib. Mineral. Petrol., 114, 13-26 

  28. Ree, J.-H., Kwon, W.-H., Park, Y., Kwon, S.-T., and Park, S.H., 2001, Pretectonic and postectonic emplacements of the granitoids in the south central Okchon belt,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timing of strike-slip shearing and thrusting. Tectonics, 20, 850-867 

  29. Sagong, H., Kwon, S.-T. and Ree, J.-H., 2005, Mesozoic episodic magmatism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Tectonics, 24, TC5002, doi:10.1029/ 2004TC001720 

  30. Scott, D.J., St-Onge M.R., 1995. Constrains on Pb closure temperature in titanite based on rocks from the Ungava orogen, Canada: Implications for U-Pb geochronology and P-T-t path determinations. Geology, 23, 1123-1126 

  31. Turek, A. and Kim, C.-B., 1995, U-Pb zircon ages of Mesozoic plutons in the Damyang-Geochang area, Ryongnam massif, Korea. Geochem. J., 29, 243-258 

  32. Zhang, L.S., Schorer, U., 1996. Inherited Pb components in magmatic titanite and their consequence for the interpretation of U-Pb ages. Earth Planet. Sci. Lett., 138, 57-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