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토환경성평가 지표를 이용한 환경용량 산정모델 개발
A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Capacity Estimation Model Using the Nat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Indicator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5 no.6, 2006년, pp.385 - 394  

이종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보센터)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전성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정보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 resources should be managed not only for human utilizations but also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Based on that, environmental capacity should be estimated in both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al ways.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veloping an estimation model for relative environmental c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여러 가지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어느 요인으로 인하여 환경적 가치가 평가되었는지 해석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가 항목간 가중치를 배제하고 각 평가 항목이 등가치라는 전제를 설정하여 평가 결과의 객관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매체별·지엽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환경을 국토차원에서 통합하여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환경부에서 제시한 국토환경성평가 지표를 이용하여 상대적 환경용량 산정 모델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토에 대한 관리방안 수립 시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개발이란 명제에 따라 대두된 국토의 환경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연구로서 물리적인 공간계획과 연계가 가능하고, 개발과 보전이 균형을 이루는 환경용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국토환경성평가 지표를 제한인자로 설정한 상대적 환경용량 산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환경용량 결정요소와 관련된 임상도, 생태자연도, 도시계획도, 토지피복지도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를 수집하여 표준화한 후, GIS 공간연산을 통하여 환경용량을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개발압력이 환경 보전과 조화를 이루면서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발과 보전의 측면을 상대적으로 비교한 상대적 환경용량을 산정하였다. 상대적 환경용량은 서술적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매체별·지엽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환경을 국토차원에서 통합하여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 환경부에서 제시한 국토환경성평가 지표를 이용하여 상대적 환경용량 산정 모델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토에 대한 관리방안 수립 시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그동안 경제성장 위주의 국토관리정책으로 말미암아 개발이 우선시 되면서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상대적 환경용량 산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상대적 환경용량 모형은 환경적 가치를 반영한 개발허용지수와 경제적 가치를 반영한 개발매력지수를 상대적으로 비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용량은 어떻게 구분 가능한가? 환경용량(Environmental Capacity)의 개념은 1930년대부터 생태학, 인구학, 관광학, 환경계획학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고 있으며 자연환경의 보전가치에 따라 인간생활을 건전한 방향으로 이끌며 보호할 수 있는 범위로 정의하고 있다(환경부, 2004). 환경용량은 수용력(Carrying Capacity)과 한계용량(Marginal Capacity)으로 구분할 수 있다(정연우, 2004). 수용력은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환경용량에서, 수용력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수용력은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즉, 수용력이란 환경의 질 저하나 미래의 수용능력의 감소 없이 특정 시간과 공간(서식처)에서 부양될 수 있는 특정 생물종의 활동과 양(Vogt, 1948), 어떤 대상의 심각한 저하나 파손 없이 인구성장 또는 물리적 개발을 흡수할 수 있는 자연 또는 인공 시스템의 능력(Schneider et al., 1978)등으로 정의되고 있다. 수용력과 비슷한 개념인 한계용량은 자연환경 생태계의 안정을 유지하는 것과 같은 절대적인 자연능력의 한계(지하수 공급가능량, 자연자원의 최대이용능력, 환경기준 등)를 설정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김선희, 1999; Sara and Mazzola, 2004).
상대적 환경용량 산정 모형의 개발허용지수 및 개발매력지수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상대적 환경용량 모형은 환경적 가치를 반영한 개발허용지수와 경제적 가치를 반영한 개발매력지수를 상대적으로 비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발허용지수는 환경적 가치를 반영하여 산정된 결과로 개발허용지수가 높다는 것은 환경적으로 보전의 필요성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매력지수는 기개발지를 제외한 지역을 대상으로 표고, 경사도 등의 물리적인 특성인자를 사용하여 개발용이성 정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표고와 경사도는 개발에 소요되는 건설비용을 가늠할 수 있는 요소이므로 개발매력지 수는 경제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건설교통부, 2005 , 토지적성평가 가이드 

  2. 경기개발연구원, 1999 , 경기도 도시개발용량 평가, 경기개발연구원 

  3.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국립공원별 특성에 따른 관리 방안 III, 국립공원관리공단 

  4. 김선희, 1999 , 환경용량평가의 동향과 과제(상), 월간국토 9 

  5. 김선희, 2001, 환경용량평가 이론 및 사례분석 연구, 국토연구, 32(1), 95-20 

  6. 김윤종, 조용현, 김경민, 2000, 자연환경관리 GIS 를 이용한 서울시 생태.자연도 작성 연구, 지리정보학회지, 8 (1), 51-67 

  7. 문태훈, 홍민선, 2001, 지탱가능한 발전을 위한 서울시 환경용량의 산정과 정책적 함의, 국토계획 , 36(4), 245-266 

  8. 박봉우, 1984 , 산악형 국립공원의 수용력과 관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0-48 

  9. 산림청, 2005 , 임업통계연보 

  10.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 서울시 환경용량 평가에 관한 연구 II,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R-ll 

  11. 서창완, 1991, 국립공원관리를 위한 GIS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라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오규식, 정연우, 이동근, 이왕기, 2003 , 적정 개발 밀도 산정을 위한 도시 수용력 평가시스템, 국토계획, 37(5), 7-22 

  13. 이동근, 김재욱, 2004, GIS와 중력모형을 이용한 국토의 환경적 가치기준 평가모델 연구, 환경복원녹화학회지, 7(3), 78-85 

  14. 이명우, 1993, 자연공원의 환경분석 및 용도지역설정을 위한 전산환경정보체계의 수립과 적용, 환경영향평가, 2(1), 39-55 

  15. 정연우, 2004 , 수용력 개념에 기초한 도시의 개발 가능밀도 평가,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최영국, 1999, 환경용량의 허와 실, 월간국토, 71-82 

  17. 환경부, 2004 , 국토환경용량산정모델 개발 및 국토 환경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환경부 

  18. 환경부, 2005 , 남부권지역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제작,환경부 

  19. Khanna, P., Ram Babu, P., and George, M. S., 1999, Carrying-capacity as a basi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case study of National Capital Region in India, Progress in Planning, 52, 101-166 

  20. Kim, N. J. and Graefe, A. R. , 2000, GIS Application of Outdoor Recreation Management Social and PhysicalVariables of Carrying Capa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1(1), 1-18 

  21. Lawson, S. , Manning, R. , Valliere , W. , and Wang, B., 2003, Proactive monitoring and adaptive management of social carrying capacity in Arches National Park: an application of computer simulation model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8, 305-313 

  22. Papageorgiou, K. and Brotherton, I., 1999, A management planning framework based on ecological, perceptual and economic carrying capacity: The case study of Vikos-Aoos National Park, Grees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56, 271-284 

  23. Sara, G. and Mazzola, A., 2004, The carrying capacity for Mediterranean bivalve suspension feeders: evidence from analysis of food availability and hydrodynamics and their integration into a local model, Ecological Modelling, 179, 281-296 

  24. Schneider, D. M., Godschalk, D. R., and Axler, N., 1978, The carrying capacity concept as a planning tool, Chicago: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Planning Advisory Servke Report, 338 

  25. Souro D. J., 1998, Carrying capacities and standards as bases towards urban infrastructure planning in India: A case of urban water supply and santation, Habitat INTL, 22(3), 327-337 

  26. Tony Prato, 2001, Modeling carrying capacity for national parks. Ecological Economics, 39, 321-331 

  27. Vort, W., 1948, Road to survival, William Sloan Associates,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