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권의 환경용량 및 생태계용역가치 평가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and Ecosystem Service Value in the Daegu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2 no.4, 2009년, pp.18 - 33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우성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광역권을 대상으로 생태적발자국(Ecological Footprint: EF) 지수 분석을 통해 도시의 환경용량을 산정하고 생태계의 용역가치를 평가하여 우리의 소비패턴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97년, 2002년, 2007년의 각 도시별 통계연보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2007년 토지지목별 평균공시지가를 생태계용역가치(Ecosystem Service Value: ESV) 평가에 활용하였다. 도시별 총 EF지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2007년 고령군의 EF지수가 3.3052g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대구시는 2.0134gha로 가장 적은 면적으로 소비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생태적자 분석 결과, 2007년 군위군을 제외한 7개 도시가 생태적자 상태로 분석되어 도시의 환경용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대구광역시가 현재의 소비구조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약 30배 이상의 추가적인 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대구광역시를 기준으로 ESV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대구광역시민은 연간 1인당 1,078.6백만 원을 생태계에 빚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that consumption patterns of human affect the ecosystem using analysis of ecological footprint(EF) and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 value in Daegu Metropolitan Area. The data for analysis were constructed from statistical yearbook of each city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다시기의 EF 분석을 실시하고, 도시민의 소비행태가 도시의 환경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평가된 도시별 EF지수가 가지는 생태계용역가치를 평가하여 도시별 소비행태가 생태계에 빚지고 있는 정도를 경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시기의 EF지수 분석을 통해 도시의 환경용량을 산정하고 변화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생태계용역가치를 평가하여 우리의 소비생활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경제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다시기의 EF 분석을 실시하고, 도시민의 소비행태가 도시의 환경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평가된 도시별 EF지수가 가지는 생태계용역가치를 평가하여 도시별 소비행태가 생태계에 빚지고 있는 정도를 경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구광역권을 대상으로 생태적발자국 지수 분석을 통해 도시의 환경용량을 산정하고 생태계의 용역가치를 평가하여 우리의 소비패턴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할 때 그 결과는? 이를 위해 1997년, 2002년, 2007년의 각 도시별 통계연보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2007년 토지지목별 평균공시지가를 생태계용역가치(Ecosystem Service Value: ESV) 평가에 활용하였다. 도시별 총 EF지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2007년 고령군의 EF지수가 3.3052g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대구시는 2.0134gha로 가장 적은 면적으로 소비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생태적자 분석 결과, 2007년 군위군을 제외한 7개 도시가 생태적자 상태로 분석되어 도시의 환경용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대구광역시가 현재의 소비구조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약 30배 이상의 추가적인 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대구광역시를 기준으로 ESV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대구광역시민은 연간 1인당 1,078.6백만 원을 생태계에 빚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는 어떠한 개발을 주요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는가? 최근 이러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는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과 환경용량(environmental capacity)을 고려한 개발을 주요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1987년 WCED(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가 발표한 ‘우리의 미래(our common future)’라는 보고서에 의해 공식화된 것으로 미래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손상시키지 않은 범위에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개발을 일컫는다(WCED, 1987).
환경용량은 어떠한 개념인가? 지속가능한 개발은 1987년 WCED(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가 발표한 ‘우리의 미래(our common future)’라는 보고서에 의해 공식화된 것으로 미래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손상시키지 않은 범위에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개발을 일컫는다(WCED, 1987). 한편, 환경용량은 20세기 초부터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용어로서 자연이 스스로의 능력을 가지고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양으로 환산한 개념이다. 이는 자연자원의 최대지속가능생산량, 수용용량, 자정능력 등의 다양한 개념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건설교통부. 2005. 2020년 대구권 광역도시계획-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일부지역. 210쪽. 

  2. 고재경, 이유진, 한순금. 2007. 생태발자국안내서. 푸른경기21실천협의회 연구보고서. 76쪽. 

  3. 김경태. 2005. Ecological Footprint를 활용한 도시환경용량평가.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쪽. 

  4. 김경태, 정성관, 유주한, 이우성. 2007. 생태적발자국 지수 분석에 따른 도시유형 분류 및 관리방안. 국토계획 42(1):7-18. 

  5. 김보국, 이강진, 이성재. 2005. 전라북도 환경용량 및 도시개발용량 평가. 전북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203쪽. 

  6. 대구광역시. 2008. 대구통계연보 2008. 

  7. 마강래. 1998. Ecological footprint 분석을 이용한 경제활동의 환경영향에 관한 연구-한국의 ecological footprint 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8쪽. 

  8. 문경주. 2004. Ecological Footprint분석을 이용한 도시의 지속가능성 평가: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3):129-158. 

  9. 오규식, 정연우, 이동근, 이왕기. 2002.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달성하기 위한 통합적 도시 수용력 평가체계 수립. 국토계획 37(5):7-26. 

  10. 이우성, 곽행구, 정성관, 박경훈. 2007. 물리적 환경인자를 활용한 도시의 쾌적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169-182. 

  11. 이창우, 오용선. 1999. 서울시 환경용량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144쪽 

  12. 임재호. 2001. 청주시 환경용량평가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8쪽. 

  13. 주용준. 2009. 지속가능한 생태도시를 위한 환경용량 평가에 관한 연구-생태발자국을 중심으로.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5쪽. 

  14. 최원영, 정성관, 오정학, 유주한. 2005. 경관지수와 생태계용역가치를 활용한 대구광역도시권경관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4):102-113. 

  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농업전망 2009(I): 한국농업.농촌, 도전과 새로운 희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478쪽. 

  16. Bagliani, M., A. Galli, V. Niccolucci and N. Marchettini. 2008. Ecological footprint analysis applied to a sub-national area: the case of the Province of Siena (Italy). Journalof Environmental Management 86:354-364. 

  17. BFF(Best Foot Forward). 1999. Oxfordshire's ecological footprint: a report to Oxfordshire County Council. (http://www.bestfootforward.com/articles/oxon5.htm). 

  18. Ewing, B., S. Goldfinger, M. Wackernagel, M. Stechbart, S. Rizk, A. Reed and J. Kitzes. 2008. The Ecological Footprint Atlas 2008. Global Footprint Network, Oakland, CA. 87pp. 

  19. Fricker, A. 1998. The ecological footprint of New Zealand as a step towards sustainability. Futures 30(6):559-567. 

  20. Haberl, H., K.H. Erb and F. Krausmann. 2001. How to calculate and interpret ecological footprints for long periods of time: the case of Austria 1926-1995. Ecological Economics 38(1):25-45. 

  21. Liu, Q.P., Z.S. Lin, N.H. Feng and Y.M. Liu. 2008. A Modified Model of Ecological Footprint Accounting and Its Application to Cropland in Jiangsu, China. Pedosphere 18(2):154-162. 

  22. Odum, H.T. 1996. Environment Accounting: Emergy and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384pp. 

  23. Parker, P. 1998. An environmental measure of Japan's economic development: the ecological footprint. Geographiche Zeitschirft 86:106-119. 

  24. Redefining Progress. 2002. Report of the Sonoma County Ecological Footprint Project. (http://www.sustainablesonoma.org/projects/f ootprintreport/scfpweb.pdf). 

  25. Siche, J.R., F. Agostinho, E. Ortega and A. Romeiro. 2008. Sustainability of nations by indices: Comparative study betwee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ecological footprint and the emergy performance indices. Ecological Economics 66:628-637. 

  26. Wackernagel, M. and W. Rees. 1996. Our Ecological Footprint: Reducing Human Impact on the Earth. New Society Publishers, Gabriola Island, BC. 160pp. 

  27. Wackernagel, M., L. Onisto, P. Bello, A.C. Linares, I.S.L. Falfan, J.M. Garcia, A.I.S. Guerrero and M.G.S. Guerrero. 1999. National natural capital accounting with the ecological footprint concept. Ecological Economics 29(3):375-390. 

  28. WCED(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400pp. 

  29. Yue, D., X. Xu, Z. Li, C. Hui, W. Li, H. Yang and J. Ge. 2006. Spatiotemporal analysis of ecological footprint and biological capacity of Gansu, China 1991-2015: down from the Environmental Cliff. Ecological Economics 58:393-4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