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 해석 및 설계
3-Dimensional Strut-Tie Model Analysis and Design of Structural Concrete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 구조공학, 원자력공학, 콘크리트공학, v.26 no.3A, 2006년, pp.411 - 419  

윤영묵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정웅 (일리노이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설계기준에서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3차원 응력교란영역의 설계를 위해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는 새로운 설계방법을 제안하였고, 실무자들이 이 방법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부재를 설계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실용적인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 전용 그래픽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격자 스트럿-타이 모델을 사용함으로서 모델 선정에 따른 주관성을 배제하였고, 3차원 파괴면, 압축주응력 흐름의 방향, 그리고 스트럿의 방향 등을 이용하여 3차원 스트럿의 유효강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해석과정은 스트럿의 최대단면적과 필요단면적을 이용하여 최대하중을 계산한 다음, 계산된 타이의 필요단면적을 배근된 철근의 단면적으로 대치시켜 증분하중단계를 이용한 비선형 트러스 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설계과정은 주어진 설계하중에 대하여 필요철근량을 산정하고 스트럿과 절점의 강도를 검토하는 일련의 설계방법이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유한요소해석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트럿-타이 모델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컴퓨터에 기반한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파괴실험이 수행된 9개의 말뚝기초 공시체의 파괴강도 예측 및 교각코핑부의 설계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 및 기존 설계기준에 의한 해석 및 설계결과와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new approach employing 3-dimensional strut-tie models for analysis and design of 3-dimensional structural concrete with disturbed regions that are not properly occupied by current design codes is proposed. In addition, a computer graphics program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설계기준에서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3차원 응력교란영역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설계를 위한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을 활용하는 설계방법을 제안하였고, 이 방법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부재를 해석/설계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 전용 그래픽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이 수행된 말뚝기초 공시체의 파괴강도를 예측하였고, 교각코핑부의 설계를 수행하였다.
  • 그러나 이 방법은 2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이 방법을 3차원 절점영역의 강도 검토에 확장, 적용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선형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계산된 절점부근 유한요소들의 응력을 검토함으로써 부재설계를 위한 절점영역의 강도검토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절점부근 유한요소들의 응력이 콘크리트 일축강도의 70%보다 작을 때 절점영역은 안전하다고 판단하였다.
  • 최근 ACI 318-02 설계기준서에서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는 설계방법이 매우 비중있는 설계규정으로 반영됨에 따라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한 설계 방법 및 규정의 확립 필요성에 여러 연구자들이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설계기준에서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3차원 응력교란영역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설계를 위한 새로운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는 새로운 설계방법을 제안하였고, 실무자들이 이 방법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부재를 설계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실용적인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 전용 그래픽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기하학적 형상이 불규칙적이거나 개구부 등의 불연속이 있는 응력교란영역에서 응력의 흐름이나 설계자의 주관에 의존하지 않고 적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스트럿-타이 모델로 모든 하중조합을 고려한 구조설계를 가능케 한다.
  • 그러나 양방향 슬래브의 설계규정은 일반적인 얇은 슬래브에 대한 것이고 깊은 보의 설계규정은 단방향 거동만을 고려한 것이기 때문에 이는 근본적으로 정확한 말뚝기초의 거동을 감안한 설계방법이라 볼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여 파괴실험이 수행된 기존의 말뚝기초 시험체의 파괴강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실험결과 및 기존의 설계기준에 의한 평가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의 제안한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는 설계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3차원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파괴강도 평가과정은 그림 6과 같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트럿타이 모델을 구성하는 모든 스트럿과 타이 요소의 최대단면적을 정의하고, 그림 3의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 모든 스트럿과 타이의 필요단면적이 각각의 최대단면적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3차원 격자 스트럿-타이 모델에서 콘크리트 스트럿 및 타이의 단면을 그림 4와 같이 원형으로 가정하였으며, 원의 최대직경은 절점에서 만나는 직교요소들의 중심 간 거리를 평균한 값으로 취하였다. 즉 x방향 요소의 최대단면직경은 이 요소와 만나는 y방향 요소의 중심간 거리와 z방향 요소의 중심간 거리의 평균값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는 설계방법은 무슨 설계방법으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는가?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는 설계방법은 현재의 설계기준에서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많은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차세대 설계방법으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CEB-FIP 통합 설계기준(1993), AASHTO LRFD 설계기준(2004), ACI 318-02 설계기준(2002)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주요 설계기준에서 스트럿-타이 모델이 공식적인 설계방법으로 채택되기에 이르렀고 우리나라의 2000년 도로교 설계기준(건설교통부 2000)에도 반영되어 있다.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 하중, 그리고 경계 조건을 갖는 여러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실질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절점영역을 통해 스트럿과 타이의 힘이 다른 곳으로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절점영역의 강도를 검토하여야 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모든 절점영역은 정수압의 응력 상태로 가정되어왔다. 그러나 절점영역의 강도는 절점영역의 위치, 절점영역의 균열, 절점영역에 연결된 철근타이의 인장 변형률, 콘크리트 스트럿 응력에 의한 구속 정도, 그리고 철근에 의한 구속 정도 등 다양한 인자의 영향을 받는다.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한 전통적인 설계 방법에서는 절점영역의 강도를 적절히 검토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 하중, 그리고 경계 조건을 갖는 여러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실질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절점영역을 통해 스트럿과 타이의 힘이 다른 곳으로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절점영역의 강도를 검토하여야 한다.
스트럿-타이 모델에서 절점영역은 무엇을 이상화한 것인가? 절점영역을 통해 스트럿과 타이의 힘이 다른 곳으로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절점영역의 강도를 검토하여야 한다. 스트럿-타이 모델에서 절점영역은 하중경로의 방향변화가 있는 복합적인 응력상태를 단순하게 이상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절점영역은 정수압의 응력 상태로 가정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건설교통부(2000)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2. 신재홍(1999)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한 높이가 큰 연속보의 해석,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3. 윤영묵, 김병헌, 이원석(2003)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헌치부 영향 평가,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5권 제2호, pp. 183-196 

  4. 윤영묵, 박정웅(1999) 3D 콘크리트 부재의 해석 및 설계를 위한 2D SUB-3D STM 방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9권 제4호, pp. 483-494 

  5. 윤영묵, 최명석(2001) 포스트-텐션 부재의 정착부에 관한 AASHTO LRFD 설계기준의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3호, pp. 317-330 

  6.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02)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02) and Commentary (ACI 318R-02), American Concrete Institute, Farmington Hills, Michigan 

  7.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Transportation Officials (AASHTO) (1998)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2nd Ed., Washington, D.C. 

  8. Blevot, J. and Fremy, R. (1967) Semelles sur pieux. annales, Institut Technique du Batiment et des Travaux Publics (Paris), Vol. 20, No. 230, pp. 223-295 

  9. Comite Euro-International du Beton (1993) CEB-FIP Model Code 1990, Thomas Telford Services Ltd. 

  10. CRSI Handbook (1984) Concrete Reinforcing Steel Institute, Chicago 

  11. Fu, C.C. (2001) The strut-and-tie model of concrete structures, The Bridge/Building Engineering Software & Technology (BEST) Center, University of Maryland 

  12. Gogate, A.B. and Sabnis, G.M. (1980) Design of thick pile caps, Journal of ACI, Vol. 77, No. 1, pp. 18-24 

  13. Rode, U. (1987) Framework model for the simulation of fracture behavior of concrete, IABSE Colloquium, pp. 221-227, Delft 

  14. Sabnis, G.M. and Gogate, A.B. (1984) Investigation of thick slab (pile cap) behavior, Journal of ACI, Vol. 81, No. 1, pp. 35-39 

  15. Schlaich, J., Schaefer, K., and Jennewein, M. (1987) Towards a consistent design of structural concrete, Journal of the 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 Vol. 32, No. 3, pp. 74-150 

  16. Willam, K.J. and Warnke, E.P. (1974) Constitutive model for the triaxial behavior of concret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ridge Structures, Proceeding, Vol. 19, No. 1, pp. 1-30 

  17. Yun, Y.M. (1994) Design and analysis of 2-D structural concrete with strut-tie model, PhD dissertation, School of Civil Engineering, 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 Indiana, USA 

  18. Yun, Y.M. and Ramirez, J.A. (1996) Strength of struts and nodes in strut-tie model,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22, No. 1, pp. 20-29 

  19. Yun, Y.M. (2000) Nonlinear strut-tie model approach for structural concrete, ACI Structural Journal, Vol. 97, No. 4, pp. 581-590 

  20. Yun, Y.M. (2006) Strength of two-dimensional nodal zones in strut-tie model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Accepted for publi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