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서 질병 중증도 및 삶의 질을 비롯한 사회적 요인과 호흡곤란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yspnea and Disease Severity, Quality of Life, and Social Factor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원문보기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TRD = 결핵 및 호흡기 질환, v.60 no.4 = no.255, 2006년, pp.397 - 403  

김은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재형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윤석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승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차승익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재용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정태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창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만성폐쇄성폐질환질병의 중증도를 추정 정상치에 대한 $FEV_1$의 백분율을 기준으로 분류해 왔다. 그러나, 같은 폐기능 검사소견을 보이는 환자들 사이에서도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 호흡곤란에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곤란이 $FEV_1$를 비롯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 주변으로부터 받는 도움의 정도, 직업 등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호흡기 내과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추적관찰 중이며, 임상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비가역적인 폐쇄성 폐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병기는, GOLD 병기를 따랐으며, 호흡곤란 척도는 MRC 호흡곤란 척도를 사용하였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은 한국어 St. Goe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SGRQ)를 사용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FEV_1$은 추정 정상치의 32.0%였다. GOLD 병기와 호흡곤란 정도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p=0.114). 호흡곤란이 심할수록 SGRQ 값의 증상(symptom)(p=0.041), 활동력(activity)(p=0.004), 영향력(impact)(p=0.001), 총점(total)(p<0.001) 수치 모두에서 의미있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호흡곤란 정도와 직업간에 의미있는 상관관계는 없었으며(p=0.259), 호흡곤란이 심할수록 환자가 주변으로부터 받는 도움 정도는 적다고 느끼는 상관관계가 뚜렷하였다(p=0.011). 결론: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진료에서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호흡곤란은 $FEV_1$에 따른 병기 외에도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주변의 지지 정도와 더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is categorized by the percentage of the predicted $FEV_1$(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result which is highly correlated with disease severity(morbidity and mortality). In COPD patients, dyspnea seems to be different from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 정도를 나타내는 GOLD 병기가 실제 생활에서 느끼는 주관적 호흡곤란 정도를 잘 반영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 그 외에 호흡곤란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같은 폐기능 검사소견을 보이는 환자들 사이에서도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 호흡곤란에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곤란이 FEV1를 비롯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 주변으로부터 받는 도움의 정도, 직업 등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auwels RA, Buist AS, Calverley PM, Jenkins CR, Hurd SS.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HLBI/WHO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COPD) Workshop summar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1;163:1256-76 

  2. Fabbri LM, Hurd SS.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2003 updated. Eur Respir J 2003;22:1-2 

  3. Kasper DL, Braunwald E, Fauci AS,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6th ed. McGraw-Hill; 2005. p. 201 

  4. Hajiro T, Nishimura K, Tsukino M, Ikeda A, Koyama H, Izumi T. Comparison of discriminative properties among disease-specific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hea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8;157:785-90 

  5. Wolkove N, Dajezman E, Colacone A, Kreisman H. The relationship between pulmonary function and dyspnea in obstructive lung disease. Chest 1989; 96:1247-51 

  6. Pearson MG, Bellamy D, Calverley PM, Honeybourne D, MacNee W, Rudolf M, et al. BT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orax 1997;52(Suppl):S1-28 

  7. Cooper CB, Tashkin DP. Recent developments in inhaled therapy in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BMJ 2005;330:640-4 

  8. van der Molen T, Willemse BW, Schokker S, ten Hacken NH, Postma DS, Juniper EF. Development,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Clinical COPD Questionnaire. Health Qual Life Outcomes 2003;1:13 

  9. Curtis JR, Martin DP, Martin TR. Patient-assessed health outcomes in chronic lung disease: what are they, how do they help us, and where do we go from her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156:1032-9 

  10. Curtis JR, Deyo RA, Hudson LD.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hronic respiratory insufficiency: 7.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orax 1994; 49:162-70 

  11. Mahler DA. How shoul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 assessed in patients with COPD- Chest 2000;117: 54S-7S 

  12. Ferrer M, Alonso J, Morera J, Marrades RM, Khalaf A, Aguar MC, et al.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stag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n Intern Med 1997;127:1072-9 

  13. Fletcher CM, Elmes PC, Fairbairn AS, Wood CH. The significance of respiratory symptoms and the diagnosis of chronic bronchitis in a working population. Br Med J 1959;(5147):257-66 

  14. Jones PW, QuirkFH, Baveystock CM, Littlejohns P. A self-complete measure of health status for chronic airflow limitation: The St. George's Rsepiratory Questionnaire. Am Rev Respir Dis 1992;145:1321-7 

  15. Jones PW, Quirk FH, Baveystock CM. The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Respir Med 1991; 85(Suppl B):25-31 

  16. Williams SJ, Bury MR. Impairment, disability and handcap in chronic respiratory illness. Soc Sci Med 1989;29:609-16 

  17. Mahler DA, Wells CK, Evaluation of clinical methods for rating dyspnea. Chest 1988;93:580-6 

  18. Hajiro T, Nishimura K, Tsukino M, Ikeda A, Oga T, Izumi T. A comparison of the level of dyspnea vs disease severity in indica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OPD. Chest 1999;116: 1632-7 

  19. Okbadejo AA, Jones PW, Wedzicha JA.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severe hypoxemia. Thorax 1996;51:4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