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남지역 지하수에서 대장균군의 분포 및 분리한 세균의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liform Bacteria in Groundwater of Yeungnam Provinc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2 no.2, 2006년, pp.95 - 102  

이인환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수경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최윤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종설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영남지역 지하수의 세균학적 수질을 평가하기 위해, 여름 123개 지점, 겨울 117개 지점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수하였다. 일반세균 수의 중앙간은 여름 30 CFU/ml, 겨울 40 CFU/ml이었고, 25% 이상의 조사지점에서 일반세균 수는 먹는물 수질기준 100 CFU/ml을 초과하였다. 전체 조사지점 중 여름 46%, 겨울 30%의 지점에서는 대장균군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지점에서 대장균군 수의 중앙간은 여름 20 CFU/ml, 겨울 4 CFU/ml로 여름이 겨울보다 높았다. 분리한 대장균군 세균은 Citrobacter속, Enterobacter속, Eschericitia속, Klebsiella속, Pantoea속, Rahnella속, 그리고 Serratia속으로 동정되었으며, Enterobacter속이 48%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종별로는 E. cloacae, E. amnigenus, K. pneumoniae등이 빈도가 높게 분리되었으며, 반면 E. coli는 1개 조사지점에서만 분리되었다. 대장균군 수는 일반세균 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세균 수는 수온과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하수에서 대장균군의 오염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영남지역의 지하수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 가능성이 여전히 높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of groundwater in Yeungnam Province, samples were taken from 123 locations during summer and 117 locations during winter. The medians of heterotrophic plate counts.(HPCs) were 30 CFU/mL for the summer samples and 40 CFU/ml for the winter, and more than 25%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대장균군이 검줄되는 지하수의 경우 그 오염원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도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수 및 음용수로 이용되는 영남지역의 지하수에서 대장균군의 분포 및 이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살펴보고, 지하수로부터 대장균군 세균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배양에 기초한 방법으로 지하수에서 일반 세균과 대장균군의 분포를 조사하고 대장균군 세균을 동정하였다. 지하수에서 전체 세균의 농도 수준을 파악하고자 형광염색을 통한 총 세균수 측정을 행하였으나, 시료에 존재하는 무기성 입자 물질로 인해 유효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건설교통부. 2002. 지하수조사연보 

  2. 김여원, 민병례, 최영길. 2000. 지하수 세균 군집의 유전 적 다양성. 환경생물학회지 18, 53-61 

  3. 김인기, 橋本知義, 황경숙. 2002. 음용 지하수중에 분포 하는 저영양세균의 계통학적 해석. 미생물학회지 38, 293- 298 

  4. 안영범, 김여원, 이대영, 민병례, 최영길. 1998. 지하수 세균 군집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영향. 지하수환경 5, 215-222 

  5. 조장천, 김상종. 1999. 심층피압지하수에서 세균군집의 분석에 의한 분변성 오염 평가. 미생물학회지 35, 47-52 

  6. 최중대, 장석오, 최병용, 류순호. 2000. 북한강 수계 충적 평야의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16, 283-294 

  7. 환경부. 2005. 환경백서 

  8. 환경부. 2005. 2004년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9. 환경부. 2002. 먹는물수질공정시험방법. 환경부 고시 2002- 91 

  10. 환경부. 2000.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11.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96.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12. Atlas, R.M. and L.C. Parks. 1996. Handbook of microbiological media.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3. Bifulco, J.M., J.J. Shirey, and G.K. Bissonnette. 1989. Detection of Acinetobacter spp. in rural drinking water supplies. Appl. Environ. Microbiol. 55, 2214-2219 

  14. Borchardt, M.A., P.D. Bertz, S.K. Spencer, and D.A. Battigelli. 2003. Incidence of enteric viruses in groundwater from household wells in Wisconsin. Appl. Environ. Microbiol. 69, 1172-1180 

  15. Borchardt, M.A., N.L. Haas, and R.J. Hunt. 2004. Vulnerability of drinking-water wells in La Crosse, Wisconsin, to enteric-virus contamination from surface water contributions. Appl. Environ. Microbiol. 70, 5937-5946 

  16. Burlingame, G.A., J. McElhaney, and W.O. Pipes. 1984. Bacterial interference with coliform colony sheen production on membrane filters. Appl. Environ. Microbiol. 47, 56-60 

  17. Bussen, M. and J. Standridge. 2001. Preservation and survival of E. coli in well water samples submitted for routine analysis. Proceedings, 2001 American waterworks association water quality technology conference 

  18. Cho, H.-B., J.-K.Lee, and Y.-K. Choi. 2003. The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groundwater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J. Microbiol. 41, 327-334 

  19. Craun, G.F., P.S. Berger, and R.L. Calderon. 1997. Coliform bacteria and waterborne disease outbreaks. J. Am. Water Works Assoc. 89, 96-104 

  20. Edberg, S.C., M.J. Allen, D.B. Smith, and N.J. Kriz. 1990. Enumeration of total coliforms and Escherichia coli from source water by the defined substrate technology. Appl. Environ. Microbiol. 56, 366-369 

  21. Edberg, S.C. and J. Robertson. 1997. Natural protection of spring and well drinking water against surface microbial contamination. II. Indicators and monitoring parameters for parasites. Crit. Rev. Microbiol. 23, 179-206 

  22. Gerba, C.P. and G. Bitton. 1984. Microbial pollutants: their survival and transport pattern to groundwater, p. 65-86. In G. Bitton and C.P. Gerba (ed.), Groundwater pollution microbi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23. Keswick, B.H., D. Wang, and C.P. Gerba. 1982. The use of microorganisms as groundwater tracers: a review. Groundwater 20, 142- 149 

  24. Lamka, K.G., M.W. LeChevallier, and R.J. Seidler. 1980. Bacterial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supplies in a modern rural neighborhood. Appl. Environ. Microbiol. 39, 734-738 

  25. Lillis, T.O. and G.K. Bissonnette. 2001.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lterable heterotrophic bacteria from rural groundwater supplies. Let. Appl. Microbiol. 32, 268-272 

  26. McFeters, G.A., J.S. Kippin, and M.W. LeChevallier. 1986. Injured coliforms in drinking water. Appl. Environ. Microbiol. 51, 1-5 

  27. Robertson, J.B. and S.C. Edberg. 1997. Natural protection of spring and well drinking water against surface microbial contamination. I. Hydrogeological parameters. Crit. Rev. Microbiol. 23, 143-178 

  28. Sandhu, S.S., W.J. Warren, and P. Nelson. 1979. Magnitude of pollution indicator organisms in rural potable water. Appl. Environ. Microbiol. 37, 744-749 

  29. Shirey, J.J. and G.K. Bissonnette. 1991.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groundwater bacteria capable of escaping entrapment on 0.45- ${\mu}m$ -pore-size membrane filters. Appl. Environ. Microbiol. 57, 2251-22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