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대한 한국형 유산균의 안정성
Stability Traits of Probiotics Isolated from Korean on Spices and Propoli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0 no.3, 2014년, pp.216 - 222  

이도경 (삼육대학교 약학과) ,  박재은 (삼육대학교 약학과) ,  김경태 (삼육대학교 화학과) ,  도명진 (삼육대학교 약학과) ,  정명준 (쎌바이오텍) ,  이과수 (쎌바이오텍) ,  김진응 (쎌바이오텍) ,  하남주 (삼육대학교 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이들의 생존율은 항생제, 노화, 스트레스와 식이 등과 같은 요인들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식단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마늘, 생강, 파, 양파, 청양고추, 홍고추)와 프로폴리스가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주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한국형 유산균주들은 모든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심지어 일부 한국형 유산균주(Bifidobacterium lacti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Streptococcu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 또는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대부분의 외래종 유산균주는 다양한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감소 하였으며, 일부 외래종 유산균주(L. helveticus, 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에 의해 증식률이 크게 감소 하였다. 마찬가지로 각 향신료와 프로폴리스가 한국형 유산균주만 사용하여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과 외래종 유산균주가 사용된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모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마늘, 양파, 파, 프로폴리스에 의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은 대체적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에 저항성을 가지는 생존력이 강한 균주로 판단되며, 한국인의 장에 적합한 유산균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ir survival rates could b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diet, stress, senescence, and antibiotic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various spices (garlic, ginger, scallion, onion, Chungyang red pepper, and red pepper) which have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used fre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마늘, 생강, 파, 양파, 청양고추, 홍고추)와 프로폴리스에 대한 한국형 유산균주의 생존력을 분석하였으며 해외에서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외래종 유산균주의 생존력과도 비교하여 보았다.
  •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이들의 생존율은 항생제, 노화, 스트레스와 식이 등과 같은 요인들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식단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마늘, 생강, 파, 양파, 청양고추, 홍고추)와 프로폴리스가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주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한국형 유산균주들은 모든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심지어 일부 한국형 유산균주(Bifidobacterium lacti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Streptococcu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 또는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 생강, 양파, 파, 고추 등과 같은 향신료는, 어떤 효능을 갖고 있나? 마늘, 생강, 양파, 파, 고추 등과 같은 향신료가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typhimurium을 비롯한 각종 식중독 세균과 같은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작용을 갖고 있다는 것은 이미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Ziauddin et al., 1996; Kumar and Berwal, 1998; Sheo, 1999; Kim et al.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환경조건에 어떤 영향을 받는가? , 2011; Gueimonde and Sanchez, 2012). 그러나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fastidious)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제조, 유통, 저장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항생제, 노화, 스트레스와 식이 등으로 인해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되어 활성이 감소하게 된다(Marteau et al., 1997; Walker and Duffy, 1998; Gueimonde and Sanchez, 2012).
프로폴리스는 무엇인가? , 2011). 또한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떠오르고 있는 프로폴리스(Propolis)는 벌들이 다양한 식물의 진액물질을 채취할 때 효소를 첨가시켜, 뜯어낸 뒤 밀납 등을 넣어 몇 개월간 30℃가 넘는 온도에서 숙성시켜 벌들이 사용하기 가장 좋도록 만들어 놓은 물질이다. 프로폴리스의 유효성분으로는 polyphenols와 flavonoids가 있으며 우수한 항균작용을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벌들은 이 프로폴리스를 벌집출입구에 발라 외부로부터 바이러스나 해로운 세균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막고, 벌집 내부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Cheng and Wong, 1996; Bankov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nkova, V., Christov, R., Popov, S., Marucci, M.C., Tsvetkova, I., and Kujumgiev, A. 1999.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Brazilian propolis. Fitoterapis 70, 190-193. 

  2. Beuchat, L.R. and Golden, D.A. 1989. Antimicrobials occurring naturally in foods. Food Technol. 43, 134-142. 

  3. Bode, A.M., Ma, W.Y., Surh, Y.J., and Dong, Z. 2001. Inhibi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induced cell transformation and activator protein 1 activation by [6]-gingerol. Cancer Res. 61, 850-853. 

  4. Chang, M.S., Kim, J.G., and Kim, G.H. 2010. Survey on consumer's perception of fresh-cut root vegetables. Kor. J. Food Cookery Sci. 26, 649-654. 

  5. Cheng, P.C. and Wong, G. 1996. Honey bee propolis: prospects in medicine. Bee World 77, 8-15. 

  6. Chipault, J.R., Mizuno, G.R., and Lundberg, W.O. 1956.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spices in food. Food Technol. 10, 209-211. 

  7. Choi, S.H., Suh, B.S., Kozukue, E., Kozukue, N., Levin, C.E., and Friedman, M. 2006. Analysis of the contents of pungent compounds in fresh Korean red peppers and in pepper-containing foods. J. Agric. Food Chem. 54, 9024-9031. 

  8. Chung, K.S., Kang, S.Y., and Kim, J.Y. 2003a.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32-35. 

  9. Chung, K.S., Kim, J.Y., and Kim, Y. 2003b.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and heat-treated garlic juice. Kor. J. Food Sci. Technol. 35, 540-543. 

  10. Dima, C., Coman, G., Cotarlet, M., Alexe, P., and Dima, S. 2013. Antit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capsaicine microemulsions. AUDJG-Food Technol. 37, 39-49. 

  11. Farooqui, T. and Farooqui, A.A. 2010.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the therapeutic activities of propolis: a critical review. Curr. Nutr. Food Sci. 6, 1-15. 

  1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FAO/WHO). 2001. Report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nsultation on evaluation of health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probiotics in food including powder milk with live lactic acid bacteria, pp. 1-34. Cordoba, Argentina. 

  13. Fuller, R. 1992. Probiotics: the scientific basis. London: Chapman & Hall, UK. 

  14. Gueimonde, M. and Sanchez, B. 2012. Enhancing probiotic stability in industrial processes. Microb. Ecol. Health Dis. 23, doi: 10.3402/mehd.v23i0.18562. 

  15. Hughes, D.B. and Hoover, D.G. 1991. Bifidobacteria : Their potential for use in America, dairy products. Food Tech. 45, 74-80. 

  16. Jonkers, D., Sluimer, J., and Stobberingh, E. 1999. Effect of garlic on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3, 3045. 

  17. Jung, K. and Park, C.S. 2013.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juice from garlic, ginger, and onion. Kor. J. Food Preserv. 20, 134-139. 

  18. Kim, M.L., Choi, K.H., and Park, C.S. 2000. Antibacterial activity of powdered spice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24-131. 

  19. Kim, O.M., Kim, M.K., Lee, K.R., and Kim, S.D. 1998. Selective antimicrobial effects of spice extract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isolated from Kimch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6, 373-378. 

  20. Kumar, M. and Berwal, J.S. 1998. Sensitivity of food pathogens to garlic (Allium sativum). J. Appl. Microbiol. 84, 213-215. 

  21. Lakhanpal, P. and Rai, D.K. 2007. Quercetin: a versatile flavonoid. Int. J. Med. Update. 2, 22-37. 

  22. Lee, J.H. and Kim, M.R. 2008. Changes i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pices and herbs during cooking. Kor. J. Food Cookery Sci. 24, 132-156. 

  23. Lee, B.S., Ko, M.S., Kim, H.J., Kwak, I.S., Kim, D.H., and Chung, B.W. 2006. Separation of 6-gingerol from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and antioxidative activity. Kor. J. Biotechnol. Bioeng. 21, 484-488. 

  24. Lee, M.H., Lee, K.H., Kim, K.T., and Kim, S.S. 2012. Antimicrobial activity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J. Fd. Hyg. Safety 27, 109-116. 

  25. Lee, W.W., Son, S.K., Lee, G.R., Kim, G.H., and Kim, Y.H. 2011. Antimicrobial effects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Kor. J. Vet. Serv. 34, 167-178. 

  26. Marteau, P., Minekus, M., Havenaar, R., and Huis In't Veld, J.H.J. 1997. Survival of lactic acid bacteria in a dynamic model of the stomach and small intestine: validation and the effects of bile. J. Dairy Sci. 80, 1031-1037. 

  27. Miean, K.H. and Mohamed, S. 2001. Flavonoid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edible tropical plants. J. Agric. Food Chem. 49, 3106-3112. 

  28. Park, H.K., Kim, S.B., and Shim, C.H. 2008.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soluble propolis. Kor. J. Food Nutr. 21, 15-21. 

  29. Park, C.J. and Park, C.S. 2007.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icorice and spice water extracts. Kor. J. Food Cookery Sci. 23, 793-799. 

  30. Ra, K.S., Suh, H.J., Chung, S.H., and Son, J.Y.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 J. Food Sci. Technol. 29, 595-600. 

  31. Ramos, F.A., Takaishi, Y., Shirotori, M., Kawaguchi, Y., Tsuchiya, K., Shibata, H., Higuti, T., Tadokoro, T., and Takeuchi, M. 2006.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ntivities of quercetin oxidation products from yellow onion (Allium cepa) skin. J. Agric. Food Chem. 54, 3551-3557. 

  32. Sahadeva, R.P.K., Leong, S.F., Chua, K.H., Tan, C.G., Chan, H.Y., Tong, E.V., Wong, S.Y.W., and Chan, H.K. 2011. Survival of commercial probiotic strains to pH and bile. Int. Food Res. J. 18, 1515-1522. 

  33. Sheo, H.J. 1999. The antibacterial action of garlic, onion, ginger and red pepper juice. J. Kor. Soc. Food Sci. Nutr. 28, 94-99. 

  34. Son, Y.R. 2003.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extracts of propolis. J. Fd. Hyg. Safety 18, 189-194. 

  35. Walker, W.A. and Duffy, L.C. 1998. Diet and bacterial colonization: role of probiotics and prebiotics. J. Nutr. Biochem. 9, 668-675. 

  36. Wendorf, W.L. and Wee, C. 1997. Effect of smoke and spice oils on growth of molds on oil-coated cheese. J. Food Prot. 60, 153-156. 

  37. Yoon, I.S. 2009. Sensitivity test on the food poisoning bacteria of the garlic extract. J. Kor. Contents Assoc. 9, 339-349. 

  38. Ziauddin, K.S., Rao, H.S., and Fairoze, N. 1996. Effect of organic acids and spices on quality and self-life of meats at ambient temperature. J. Food Sci. Technol. 33, 255-2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