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전문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rogram of the Information Services in Junior College Libraries of Korea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37 no.2, 2006년, pp.73 - 95  

박일종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정진한 (영진전문대학 도서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도서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는 전문대학도서관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전문대학의 개념과 목적에 대해 알아보고 전문대학도서관의 각종 통계를 통해 외부적인 환경에 대한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구지역 소재 전문대학도서관의 장서 수를 기준으로 사례도서관을 선정하였고, 해당 도서관의 웹사이트를 분석하여 전문대학에 맞는 정보서비스 사례를 수집하고 해당 전문대학도서관 사서에 대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junior college libraries in Korea which is being placed in the inferior environment relatively and to present the improvement program against hereupon. The concept and an objective of the junior colleges were examined, ...

주제어

참고문헌 (38)

  1.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에 따르면 "대학도서관"이라 함은 고등교육법에 의한 대학(산업대학 . 교육대학 . 전문대학 . 방송대학 . 통신대학 . 방송통신대학 . 기술대학 및 이들과 유사한 각종학교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 및 다른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설립된 대학교육과정 이상의 교육기관에서 교수와 학생의 연구 및 교육을 지원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을 말한다.(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제1장 제2조 5호.(2003.5.29). 법률 6906호) 

  2. KERIS: Korean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에서 2005년 9월에 학술정보 공유 유통 사업별 운영위원회를 구성하였는데 그 종류와 대상대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목록 운영위원회에는 건국대, 경북대, 경상대, 경희대(수원), 고려대, 고려대병설보건대학, 국민대, 부산대, 서울대, 성균관대, 세종대, 연세대, 영남대, 이화여대, 전남대, 전북대. 중앙대, 한양대, 혜천대학, 홍익대의 20개교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상호대차 운영위원회에는 건국대, 경북대, 경상대, 경희대, 계명대, 고려대, 대구대, 마산대학, 부산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영남대, 영진전문대학, 이화여자대, 전남대, 충남대, 포항공대, 한양대의 20개교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원문공유 운영위원회에는 건국대, 경북대, 경희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동아대, 명지대, 부산대, 서울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원광대, 이화여자대, 전남대, 전북대, 조선대, 충남대, 한양대. 홍익대의 19개교로 구성되어 있다????? 

  4.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연감(서울 : 동 협회, 2005), p.316 

  5.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연감(서울 : 동 협회, 2005), p. 402 

  6. 김혜민, 대학도서관 온라인 실시간 정보서비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5) 

  7. 유희경. 대학도서관 지식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5) 

  8. 정재영,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2권, 제3호(2005, 9), pp.327-350 

  9. 오승혜, 대학도서관의 블로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4) 

  10. 백혜숙, 대학도서관 전자정보실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석사학위논문, 순천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4) 

  11. 성열식, 대학도서관의 홈페이지를 통한 양방향 정보서비스에 관한 비교 연구(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문헌정보학과, 2004) 

  12. 권지연, 대학도서관 문헌복사 서비스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3 ) 

  13. S. Coffman and L. Arret. "To Chat or Not to Chat: Taking Another Look at Virtual Reference, Part 1." Searcher, Vol.12, No.7, pp.38-46 

  14. J. V. Martin. "Subject Specialization in British University Libraries: a Second Survey."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Vol.25, No.3, pp.159-169 

  15. 정희경, 전문대학도서관 조직구조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2) 

  16. 황인보, 전문대학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분석(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0) 

  17. 이향숙, 국내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참고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6) 

  18. 차연호, 공공도서관 서비스 특성화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5) 

  19. 김순연, 공공도서관 운영방전 방안(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4) 

  20. 서용규, 공공도서관 전자참고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3) 

  21. 오경묵, 노영진. "공공도서관 전자정보실의 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0권, 제3호(2003, 9), pp.261-276 

  22. 송정숙, "한국공공도서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제34권, 제1호(2003, 3), pp.399-421 

  23. 김경민, 서울특별시 공공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의 정보조사제공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0) 

  24. 김혜은, e-Learning 환경에서 SCORM 기반 교육컨텐츠 제작을 위한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 모형 설계(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5) 

  25. 박정선, 학교도서관 운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4) 

  26. 하동훈, 초등학교 전자도서관의 효율적인 활용방안 연구(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컴퓨터교육전공, 2002) 

  27. http://100.naver.com/l00.nhn?docid134584 [인용 2006, 4. 22] 

  28. http://www.kcce.or.kr [인용 2006. 4. 22] 

  29. 고등교육법, 제3장 제4절 제47조, 1997. 12. 13. 법률 제5,439호 

  30. http://www.kcce.or.kr [인용 2006. 4. 22] 

  31. Jesse Parker Bogue, The Community college(New York : McGraw-Hill, 1950), p.l04 

  32. http://www.kcce.or.kr [인용 2006. 4. 22] 

  33. 윤여송, "직업교육은 전문대 몫으로 남겨두자," 동아일보, 29면 [2006. 1. 27] 

  34.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연감(서울 : 동 협회, 2005), pp.316-321 

  35. http://www.kcue.or.kr [인용 2006. 4. 22] 

  36. http://www.kcce.or.kr [인용 2006. 4. 22] 

  37. 지방캠퍼스 소재의 도서관 장서수를 제외하고 본교캠퍼스 도서관 장서수를 기준으로 하였음을 의미한다 

  38. 나기천, "보유장서 태부족 초라한 대학도서관," 세계일보, 5판 8면 [2005. 9. 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