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대학도서관의 자료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 연구 - S여대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y Collections and Services in College Libraries: - the Case of S-Women's College Library -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5 no.4, 2014년, pp.231 - 251  

김신영 (경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S여대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대학도서관의 자료와 서비스에 대한 일반적 인식도 즉, 도서관의 이용빈도, 상대적 중요성, 이용목적, 불만족 요인, 자료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을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700명을 대상으로 인식도를 설문조사한 후에 학년, 전공계열별로 이용상의 만족도 및 불만족 요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general perception of users on library collections and services of junior college libraries, including the use frequency, weight, use purposes, and unsatisfactory factors. In order to carry this purpos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전문대학도서관이 직면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대학의 교육특성과 목표를 반영한 장서개발 전략과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료와 서비스 부분에 우선적으로 이용자의 인식을 분석하고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보완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시설 및 공간에 대한 인식도는 제외하였으며, 한 대학의 사례에 불과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무리가 있으므로 후속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한계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 재학생의 도서관 이용도와 상대적 중요성,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전문대학도서관이 직면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대학의 교육특성과 목표를 반영한 장서개발 전략과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료와 서비스 부분에 우선적으로 이용자의 인식을 분석하고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보완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 재학생의 도서관 이용도와 상대적 중요성,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전문대학도서관이 직면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대학의 교육특성과 목표를 반영한 장서개발 전략과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다만 현재까지 진행된 대다수의 대학도서관 활성화 방안 관련 연구가 4년제 대학도서관을 위주로 수행되다보니 정작 시설, 인력, 장서, 예산 등 여러 지표에서 따라잡을 수 없는 격차가 존재하고 빈익빈 현상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 지금의 전문대학도서관이다. 현실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공간이나 시설을 확충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자료와 서비스 부분에 우선적으로 이용자의 인식을 분석하고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보완책을 마련해보자는 취지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S여대도서관을 대상으로 전문대학도서관의 자료와 서비스에 대한 일반적 인식도 즉, 도서관의 이용빈도, 상대적 중요성, 이용목적, 불만족 요인, 자료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대학의 교육목적은 무엇인가? 전문대학의 교육목적은 사회 각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이론을 교수‧연구하고 재능을 연마하여 국가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전문직업인을 양성하는 것이다(고등교육법 제47조). 현 정부는 출범초기부터 전문대학을 고등직업교육의 중심축으로 산재된 직업교육을 매개하도록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전문대학도서관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해본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도서관 자료 및 서비스의 전체적인 인식도 분석의 경우 대출절차, 도서관 주최 문화 행사, 1인당 대출책수, 장서의 학습기여도, 정보활용교육 및 도서관이용교육, 도서관 직원의 태도, 교양자료의 충분성, 도서관 이용시간, 사서의 전문성, 연속간행물의 충분성, 문헌복사서비스 및 상호대차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평균(2.90)을 상회한 반면, 도서관 홈페이지 구성, 희망도서신청절차, 비도서자료, 전공(학습)자료, 자료의 최신성, 도서관의 접근성, 취업정보, 교내 부속기관 중 도서관의 상대적 중요성 등은 낮거나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도서관은 실체는 어떠한가? 이러한 전문대학 교육의 중심에 전문대학도서관이 있고 마땅히 자타가 기대하는 역할과 책임이 존재한다. 그러나 전문대학이 4년제 대학과 더불어 주요한 전문인력 양성기관임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은 시설, 인력, 장서, 이용률, 예산 등 여러 지표가 열악하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구체적으로 한국도서관연감(2013)에 집계된 통계 수치를 바탕으로 4년제 대학도서관(285개)과 전문대학도서관(138개)의 규모변수를 비교해보면, 1개관당 평균 건물연면적은 646,772㎡ 대 2,551㎡, 열람석수는 95,092석 대 481석, 사서수는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구연배. 2000. 專門大學圖書館의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정보과학과. (Koo, Yeen Bai.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Junior College Library. M. A. thesis. Chunbuk University, Korea.) 

  2. 김태승, 이동규. 2005. 전문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웹 기반 OPAC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4): 79-95. (Kim, Tae Seoung. Dong Kyu Lee. 200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eb-based OPAC in the College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4): 79-95.) 

  3. 박일종, 정진한. 2006. 국내 전문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73-95 (Park, Il Jong, Jin Han Jung. "Study of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rogram of the Information Services in Junior College Libraries of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2): 73-95) 

  4. 박찬숙. 2002. 전문대학도서관 고객 만족도 조사: K 전문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Park, Chan Sook. 2002. Research for Evaluation of Customer's Satisfaction in College Library. M. A.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5. 신미경. 2003. 전문대학도서관 홈페이지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사서교육전공. (Shin, Mi Kyung. 2003.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Internet Homepage of College Library. M. A.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6. 유길호. 이미경. 2003. 전문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6 : 137-174 

  7. 이동향. 1999. 전문대학도서관 장서개발업무의 현단계 : 옥동시 소재 3개 대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Lee, Dong Hyang. Present Situations of Collection Development in Junior College Libraries : Centered on Three Colleges in Oktong City. M. A.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8. 이두이, 구연배. 전문대학도서관 사서의 성격유형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119-137. (Lee, Du-Yi, Yeen-Bai Koo. "A Study on the Junior College Librarians Personality Typ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3): 119-137.) 

  9. 이미영. 2002. 전문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도서관교육전공. (Lee, Mi Young. A Study on the Influence on Customer's Satisfaction by Service Quality of a Library in Junior College. M. A. thesis. Silla University, Korea) 

  10. 장은희, 2011. 전문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Library 2.0 적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Jang, Eun Hee. Study on the Adoption of Library 2.0 for Improving Information Service in College Library. M. A. Thesis. Hansung University, Korea.) 

  11. 정진한, 박일종. 2006. 전문대학도서관의 국내 전자책 이용 실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201-222 (Jung, Jin Han. Il Jong Park. 2006. "A Study of the Using Status and Environment of Domestic e-Books in Academic Libraries of Junior Colleges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7(2): 201-222.) 

  12. 정희경. 2002. 전문대학도서관 조직구조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Jung, Hee Kyung. 2002.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Junior College Libraries. M. A. thesis. Silla University, Korea.) 

  13. 조인숙, 김문규. 2011. 전문대학 도서관 취업관련자료의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1): 211-229. (Cho, In Sook, Moon Kyu Kim. 2011.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Jobrelated Collections in College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1): 211-229.) 

  14. 최재석. 2009. 전문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 D전문대학도서관의 실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Choi, Jae Suck.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of Junior College Libraries : Focusing on the Actual Condition of D Junior College Library. M. A.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15.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3. Korean Library Yearbook. Seoul: The Association.) 

  16. 황금숙, 노영희. 2007. 전문대학도서관 활성화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4(4):345-374.(Hoang, Gum-Sook, Young Hee Noh. 2007. "A Policy Study on How to Support Community College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4(4): 345-374.) 

  17. 황인보. 2000. 전문대학도서관 직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Hwang, In Bo. 2000. An Analysis on Jon Satisfaction Among Staff in Junior College Libraries: Applied to Yeoungnam Area. M. A. thesis. Daegu University,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