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암산도시자연공원의 환경생태 현황 조사.분석을 통한 생태적 측면에서의 공원관리계획 수립
Foundation of Park Management Plan to Consider Ecological Aspects Based on Environment.Ecology Research and Analysis in Bulamsan Urban Nature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0 no.2, 2006년, pp.170 - 187  

이수동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  최진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불암산도시자연공원의 친자연적인 공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로 자연생태계 현황, 과도한 이용과 공원시설물 조성에 따른 훼손 및 주변생태계의 영향 등 환경생태 현황을 정밀하게 조사분석하여 친자연적인 공원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고 공원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현황 조사, 분석, 생태적 평가, 공원관리계획 수립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조사분석 단계에서는 일반적 개황, 자연환경, 자연생태 등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생태적 평가에서는 조사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생태계의 기반이 되는식물생태계를 유형화한 비오톱유형, 야생동물 서식처, 자연경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리계획 수립에서는 친자연적인 공원관리를 제안하고자 평가자료를 활용하여 양호한 생태계 및자연경관 보존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생태계 및 자연경관 보존계획에서는 생태계 및 자연경관보존지역, 생태계 보호지역, 생태계 복원지역(이용가능)을 지정하였고, 훼손지 복원 및 복구계획에서는 훼손된 숲생태계 유형에 따라 식생복원 목표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d for establishing a basic park management plan for Bulamsan Urban Nature Park. This research surveys very closely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natural ecosystem based on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This research sug...

주제어

참고문헌 (35)

  1. 건설교통부(1999)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을 위한 환경평가 기준 연구. 280쪽 

  2. 권전오(2003) 환경친화적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1쪽 

  3. 기상청(2001) 한국기후표 

  4. 김준호(1991) 환경오염에 의한 도시림의 쇠퇴 징후군(한국조경학회(편), 도시.산림.환경심포지엄, 3-23), 한국조경학회.산림청 임업연구원 

  5. 박영숙(1994) 지구환경회의('94 Global Forum)의 의의와 내용(서울시정개발연구원(편), Local Agenda21과 지방정부의 대응에 관한 워크숍, 3-13), 시정개발연구원 

  6. 서울특별시(1997) 서울시 산림생태 조사연구 보고서. 109쪽 

  7. 서울특별시(2000) 도시생태 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1차년도 연구보고서-. 245쪽 

  8. 오남현, 최외출(2001) 자연공원의 난개발에 관한 연구-팔공산 자연공원을 사례로-. 지역사회발전연구 26(1): 131-151 

  9. 이경재(1993) 환경이 보존되는 범위내의 개발과 이용. 한국환경행정학회, 삼성지구환경연구소(편),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학제간 대토론회, 141-153 

  10. 이경재, 구관효, 최재식, 조현서(1991)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지리산 대원계곡의 산림군집구조 분석. 응용생태연구 5: 54-67 

  11. 이경재, 김갑태, 임경빈(1993) 소백산국립공원의 관리개선 방안. 응용생태연구 7:58-71 

  12. 이경재,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1990)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I)-Classification 및 Ordimation 방법에 의한 식생분석-. 응용생태연구 4(1): 33-43 

  13. 이경재, 한봉호, 이수동(2004) 서울 남산도시자연공원의 비오톱 구조 및 생태적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2(5) 102-118 

  14. 이창원(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5. 이창하, 안승만, 이규석(1998) 덕유산 국립공원의 자연보존 지구와 자연환경지구의 지형, 식생, 경관자원의 분포 비교. 환경영향평가 7(1): 49-61 

  16. 임경빈(1985) 조림학원론. 향문사, 491쪽 

  17. 조우(2003) 도시자연공원의 보전 및 개발 계획을 위한 생태 평가 방법의 적용-인천시 문학공원을 대상으로-. 한국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3): 21-37 

  18. 조태동, 이명우, 김진선(1997) 우리나라 자연공원의 용도지구제 개선에 관한 연구-국링공원의 자연보존지구 및 자연 환경지구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2(5): 185-202 

  19. 최기철(1995) 기초생태학. 향문사, 251쪽 

  20. 최병량, 이양재, 小柳武和(2001) 일본 자연공원의 자연보호를 위한 식생해석-자연과학적 접근과 잠재자연식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6(1): 243-253 

  21. 최진우(2004) 녹지축의 야생조류 이동과 서식처 기능강화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9쪽 

  22.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1쪽 

  23. ?井信失(1972) 東京都23區內の2-3の綠地における繁殖鳥類の年變化いつして:都市生態系 特性に관する 基礎的硏究. pp 83-96 

  24. 入間市(1996) 入間市の野鳥 

  25. ?口廣芳他(1982) 森林面積と鳥の種類との關係. strix 1:70-79 

  26. Curtis, J.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27. Elmen, J. T.(1974) An urban bird community in Tucson, Arizona:derivation, structure, regulation. Condor 76: 184-197 

  28. Guthrie, D. A.(1974) Suburban bird populations in southern California. Am. Midl. Nat. 92: 461-466 

  29. Harris, L. D.(1984) The fragmented forest: Island bio-geography theory and the preservation of biotic diversit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Hough, M.(1989) City form and natural process. Routledge, London 

  31. Kim, J.W.(1993) An ecological strategy to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the Korean biological diversity. J. Environ. Sci. 7: 1-22 

  32. Primack, P. B.(1995)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 Sunderland, MA: Sinauer Associate Inc. 

  33. Sukopp, H. and S. Weiler(1986) Biotopkartierung im besie-delten bereich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Landschaft+stadt 18(1): 25-38 

  34. Wilcove, D. S., C. H. McLellan and A. P. Dobson(1986) Habitat fragmentation in the temperate zone. pp. 237-256, In: M.E. Soule(ed.). Conservation Biology: The Science of scarcity and Diversity. Sunderland, MA: Sinauer Associates Inc. 

  35. Wilcox, B. A. and D. D. Murphy(1985) Conservation strat-ege : the effects of fragmentation on extinction. Am. Nat., 125: 879-8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