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Preservation Strategies of 'Historic Urban Parks' in the UK, the USA, and Japa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8 no.2, 2020년, pp.20 - 33  

길지혜 ((사)이코모스 한국위원회) ,  박희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도시공원의 유산 가치를 인정하고 보존하려는 움직임에 주목하여 국제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도시공원의 보존 동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국제적으로 '역사적 도시공원'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추진상황을 확인하고, 도시공원의 보존과 관리를 이미 수행하는 영국, 미국,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문화유산의 보전·관리를 중시하는 국제 전문가집단인 ICOMOS에서는 최근 ICOMOS-IFLA 문서를 통해, 역사적 도시공원의 사회적·무형적 가치, 심미적 가치, 생태적 가치, 시민 사회적 가치를 지속하고, 공간 구성, 지형, 빛, 환경과 같은 공원 요소를 보존해야 한다고 하였다. 영국과 미국, 일본은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동향이 나타나게 된 배경, 실제 보존 체계, 보존 대상으로 고려하는 도시공원, 공원 내 보존 요소에 저마다의 특성이 있다. 영국은 시기별로 나타나는 공원의 디자인을 존중하고, 각 시기를 대표하는 공원의 형태 요소를 보존하고자 한다. 미국은 공원의 의미를 물리적 형태뿐 아니라, 문화, 기념성, 사회적 가치 등 다양한 각도에서 파악하여 보존할 공원을 선정하고 관리한다. 일본은 보존 가치가 있는 근대공원을 조사해 선별하고, 공원의 보존 관리를 정책적으로 시행하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역사적 도시공원의 보존은 기존 정원이나 공원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각국 사례를 보면 아직은 문화유산과 도시공원을 다루는 행정과 법제에 따라 물리적 요소를 보존하는데 다소 한정되어 있었다. 변화하는 유산의 개념과 정의의 맥락에서 도시공원의 보존 기준과 방법 또한 발전하고 정교해질 것이다. 도시공원은 역사적으로 여러 가치가 축적된 공간이며, 공원과 도시민의 기억에 많은 역사적 의미를 내재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이러한 공원의 역사적 가치를 존중하고 보존하는 방향으로 관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시공원의 가치를 보존하고자 하는 국제 동향은 운영과 관리 문제에 직면한 우리의 도시공원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in the preservation of urban public parks with a focus on the international movement to acknowledge and preserve the heritage value of urban parks. First, the background in which the concept of "historic urban park" first appeared internationally, as well as 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COMOS-IFLA 문서에서 말하는 역사적 도시공원의 정의는? ICOMOS-IFLA 문서는 역사적 도시공원을 보존 대상의 하나로 유형화하였다. 여기서 역사적 도시공원은 “모두의 접근이 보장되는, 또는 그렇지 않더라도 도시의 생태, 어메니티, 도시형태에 기여하는 공원과 광장 등”, “계획하여 조성한 근대 도시시설로 오래된 도시공원”으로 정의되며, 미래세대에 계승할 문화자원으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도시공원은 어떤 공간인가? 도시공원은 도시민의 여가와 휴식, 건강을 위해 조성된 공간으로, 녹지공간이나 이용자들의 문화와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주로 여겨져 왔다. 시민의 복지와 필요를 수용한다는 점에서, 도시공원은 현재 또는 미래를 지향하는 성격이 강하다.
각 국가별 역사적 도시공원의 보존 사례는? 역사적 도시공원의 보존을 국제적으로 공론화하는 것과 별개로, 영국과 미국은 도시공원 보존을 위해 전략을 구축하고 보존을 실천하였다. 영국은 공원 형태가 곧 특정 시대를 반영한다고 보고 보존 전략을 구축하였고, 미국은 공원 형태와 공원의 문화, 기념성, 사회적 가치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보존 전략을 세웠다. 영, 미 두 국가에 비해 다소 늦게 공원 보존을 고려하기 시작한 일본은 국제 문서의 지침을 고려하여 보존하면서 올림픽 등 동시대의 일본 문화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공원을 활용하고 있다. 각국의 도시공원 보존 방향이 저마다 다르지만, 자국의 도시공원의 고유한 역사성과 특징을 먼저 파악하고 있는 것은 공통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hn, G. B.(2001) A study on the conception of historic park and its typ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9(36): 1-14. 

  2. Ahn, S. M.(2014) Reconsideration of park planning in Seoul, especially about neighborhood playgrounds created with Kyoungseong street planning and land readjustment project from 1936.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55: 131-173. 

  3. Bureau of Construction,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東京都建設局)(2015a) Park Management Masterplan (Revised)(パ?クマネジメントマスタ?.プラン(改訂版)). 

  4. Bureau of Construction,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東京都建設 局)(2015b) Management Plan for Hibiya Park(日比谷公園マネジメントプラン). 

  5. Cho, S. H.(2016) Park and Green Space Planning in Urban Planning Process of Gyeongseong. Master's Thesis of University of Seoul. 

  6. Choi, J. H. and Y. W. Nam(2014) The heritage value of Yongsan Military Base and its direction of urban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7(2): 1-13. 

  7. Conway, H. and D. Lambert(1993) Public Prospects. London: The Garden History Society and the Victorian Society. 

  8. Conway, H.(1991) People's Parks: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Victorian Parks in Britia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English Heritage(2014) National Review of Research Priorities for Urban Parks, Designed Landscapes, and Open Spaces. 

  10. Frenchman, D. and J. S. Lane(2008) Assessment of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in Lowell National Historical Park at Its 30-Year Anniversary. National Park Service. 

  11. Gil, J. H., H. S. Park and J. M. Park(2016) Analysis on trends in the designation and development of historical parks in Korea. Journal of KILA 44(2): 130-142. 

  12. Hibiya Park Grand Design Executive Committee(日比谷公園グランドデザイン檢討委員會)(2018) Five Ideas for the Grand Design of Hibiya Park(日比谷公園グランドデザイン: 5つの提言). 

  13. Historic England(2017) Urban Landscapes-Register of Parks and Gardens Selection Guide. 

  14. Hwang, J. Y.(2014) Urban Parks as Modern Invention of London and Paris in the Nineteenth Century. Doctoral Dissert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5. ICOMOS Korea(2010) Collection of ICOMOS Charter Declarations. 

  16. Jeong, J. Y., S. R. Cho and Y. J. Kang(2006) A study on establishment and its transfiguration of Yongdusan park in modern tim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4(1): 69-77. 

  17. Kang, S. Y. and Y. H. Chang(2004) Modern History of Korean City Parks. Seoul: Daewangsa. 

  18. Kim, H. G. and H. I. Choui(2013) A time sequential research on changes in Jangchungdan park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4): 95-112. 

  19. Kim, H. G., Y. S. Kim, and H. J. Yun(2013) 1910's Tap-gol park construction process through design document interpret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2):103-117. 

  20. Kim, J. E.(2018) The creation of ttukseom pleasure ground and its transformation to a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Landscape Architecture 46(1): 127-142. 

  21. Kim, S. J. and Y. T. Kim(2012) A study on the criteria for conservation value of modern architecture as culture heritag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1): 1-8. 

  22. Kim, Y. G. and J. S. Sung(2005) The placeness of Deokjin park in Jeon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3): 65-77. 

  23. Lambert, D. and L. Jonathan(2006) All rosy in the garden?. Journal of Architectural Conservation 12(3): 83-106. 

  24. Lee, M. J., J. H. Kim and Y. A. Seo(2019) A study on the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when constructing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in the U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Landscape Architecture 47(6): 1-11. 

  25. Ministry of Housing,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2019) National Planning Policy Framework. 

  26. Morath, S. J.(2016) A Park for Everyone: The National Park Service in Urban America. Akron Law Publications 241: 1-21. 

  27. National Park Service(2015) Urban Matters: The Call to [Urban] Action. 

  28. Ono, R.(小野良平)(2007) Cultural values of public parks in modern age and the significance of conservation of them(近代の公園の文化的?値とその保全の意義).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ランドスケ?プ硏究) 70(4): 269-272. 

  29. Park, I. J. and J. K. Lee(2002) A study on the history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park system in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4): 105-117. 

  30. Park, J. W.(2018) A study on the conservation activity for modern landscape heritage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Eng Ver. 16: 66-74. 

  31. Park, S. J.(2003) A cultural reading on Tapgol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6): 1-16. 

  32. Prothero, S.(2005) Historic urban landscapes-restoration for todays communities. Landscape and Arts Network Journal 41. 

  33. Research Group on Modern Gardens, Parks, etc. and Cultural Properties Division of Japan Cultural Affairs(近代の庭園.公園等の調査に?するる?討?.日本文化?文化財部記念物課)(2012) The Report on Modern Gardens and Parks in Japan(近代の庭園.公園等に?する調査?究報告書). 

  34. Ruoff, E.(2008) Threats to the genius loci of the public parks: Saving the historic urban parks of the 19'th Century. The 16th ICOMOS General Assembly and International Symposium. 

  35. Son, E. S. and J. H. Pae(2018) Conflicts between the conservation and removal of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s - a case of the demolition controversy of th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4): 21-35. 

  36. http://j100s.com/rekishikouen.html (accessed Feb 16, 2020) 

  37. http://landscapes.icomos.org (accessed April 10, 2019) 

  38. http://whc.unesco.org/en/tentativelists/6234/ (accessed July 6, 2018) 

  39. http://www.heritagegateway.org.uk (accessed April 10, 2019) 

  40. http://www.icomog.org (accessed Sep 7, 2018) 

  41. http://www.kensetsu.metro.tokyo.jp (accessed Oct 9, 2018) 

  42. http://www.tokyo-park.or.jp/profile/bussiness/guide.html (accessed July 6, 2018) 

  43. https://catalog.archives.gov (accessed April 10, 2019) 

  44. https://historicengland.org.uk (accessed April 10, 2019) 

  45. https://npgallery.nps.gov (accessed April 1, 2020) 

  46. https://www.archive.gov (accessed April 1, 2020) 

  47. https://www.ecfr.gov (accessed April 10, 2019) 

  48. https://www.nps.gov (accessed July 6, 2018) 

  49. https://www.tclf.org (accessed April 10,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