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PI 변화에 따른 산불발생과의 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s by Change of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2, 2016년, pp.14 - 26  

윤석희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70년 이후 기상청 정규기상대의 월별 누적강수량과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지역별 산불발생자료를 이용하여 지속기간별(1, 3, 6, 12개월)에 따른 SPI 지수와 산불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역별 산불발생자료를 활용하여 권역별 산불건수와 Log(산불 건수)를 산출하여 연대별 변화에 따른 가뭄과 산불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산불발생과 SPI 지수를 10년 단위인 1990년대와 2000년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1990년대에는 경기, 강원, 충남에서 SPI 3개월이 산불발생빈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북은 SPI 6개월, 영 호남 지역에서는 SPI 12개월이 산불발생빈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에는 경기, 충남, 충북, 전남, 전북에서 SPI 6개월과 산불발생빈도가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1990년대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반면에 강원 영서는 SPI 3개월과 상관성이 있었으며 강원 영동, 경남, 경북은 SPI 1개월과 비교적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 1990년대에는 권역별 가뭄 현상이 북부와 남부로 나뉘면서 SPI 3개월과 12개월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고, 2000년대 이후로는 강원 영서를 제외하고 백두대간을 따라 SPI 1개월과 6개월이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미래의 산불발생위험 예측력 향상을 위한 모델 개발을 위해 SPI 1개월과 SPI 6개월 지수를 적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SPI) and forest fire occurrences using monthly accumulative rainfall data since 1970 and regional fire occurrence data since 1991.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 and forest fire occurrences, the corre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건조와 관련성을 갖고 있는 자연 재해 중에서 하나인 가뭄 현상과 산림 재해 중에서 하나인 산불과의 시·공간적인 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기상청에서 1970년 이후로 관측된 68개 기상대별 월 누적강수량과 1991년부터 2000년까지의 산림청 산불발생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다른 가뭄지수에 비해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SPI를 활용하여 1·3·6·12개월에 대한 변화와 과거 1991년 이후의 지역별 산불발생 자료를 활용하여 시·공간적인 가뭄 변화에 따른 산불발생과의 관계를 비교·분석하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이는 다른 가뭄지수들에 비해 최근에 개발되었으며 PDSI보다 습윤과 건조의 표현방법을 향상시키고 시·공간적으로 일정한 지표로 이용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확률을 기초로 수자원의 유용성 해석에 있어서 지속시간의 중요성과 공간적으로 일정한 지표가 되기 위해 설계되었다. Guttman(1998)과 Hayes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지수란 무엇인가? 따라서 한반도 가뭄 현상에 따른 산불과의 연관성 연구를 위해서는 산불발생위험성과 관련이 있는 기상인자인 강수량의 부족을 기상학 적으로 해석하는 정량적인 가뭄지수와 과거에 발생한 산불과의 시·공간적인 관계를 비교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가뭄지수는 가뭄을 대비하는 비구조적인 수단 중의 하나로 객관적인 지표를 마련하고자 개발된 정보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가뭄지 수는 Palmer(1965)에 의해 개발된 PDSI와 McKee et al.
PDSI의 단점은 무엇인가? 그래서 SPI는 사용자에 따라 특정 지역의 충분한 강우자료가 확보된다면 다양한 지속기간(1, 3, 6, 9, 12개월 등)에 대해 계산할 수 있다(Edwards, 1997). 반면에 PDSI 는 매우 복잡하면서도 공간적으로 변하면서 해석하기도 어렵고 시간 단위가 고정되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시· 공간적인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해 SPI를 활용 하였으며, 가뭄 정도의 판정은 표 1과 같다.
SPI의 개발 목적은 무엇인가? (1993, 1995)은 가뭄이 상대 적으로 물의 수요에 비해 물의 부족을 유발하는 강수량의 감소에 의해서 시작된다는 것을 착안하여 SPI를 개발하였다. 이는 다른 가뭄지 수들에 비해 최근에 개발되었으며 PDSI보다 습윤과 건조의 표현방법을 향상시키고 시·공간 적으로 일정한 지표로 이용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확률을 기초로 수자원의 유용성 해석에 있어서 지속시간의 중요성과 공간적으로 일정한 지표가 되기 위해 설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 D.H., K.H. Sohn, H.K. Kim, J.H. Lee, D.R. Lee, J.H. Ahn and T.W. Kim. 2013. Standar dization and evaluation of PDSI calculation method for Korean drought management agencies. Atmosphere 23 (4):539-547 (배덕효, 손경환, 김현경, 이주헌, 이동률, 안재현, 김태웅. 2013. 국내 가뭄관리 기관별 PDSI 산정방법의 표준화 및 평가. 대기 23(4):539-547). 

  2. Brose, P. H., D. C. Dey, R. P. Guyette, J. M. Marschall and M. C. Stambaugh. 2013. The influences of drought and humans on the fire regimes of northern Pennsylvania, US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43(8):757-767. 

  3. Edwards, D. C. 1997. Characteristics of 20th century drought in the United States at multiple time scales. Master's Thesis, Colorado State Univ., Colorado, USA. p.155. 

  4. Guttman, N. B. 1998. Comparing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an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113-121. 

  5. Hayes, M. J., M. Svoboda, D. A. Wilhite, and O. Vanyarkho. 1999. Monitoring the 1996 drought us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0(3): 429-438. 

  6.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A prediction of forest disaster change on climate change and establishment of counter-strategy. p.421 (국립산림과학원. 2013. 기후변화 대응 산림재해 변화 예측 및 대응전략 개발. 421쪽). 

  7. Korea Forest Service. 2009. Statistics of forest fires in 2009 (산림청. 2009. 산불 통계자료). 

  8.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02. Study on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counterplan for drought management system. p.56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가뭄관리 종합 대책 수립연구. 567쪽). 

  9. Kwak, H.B., W.K. Lee, S.Y. Lee, M.S. Won, K.S. Koo, B.D. Lee and M.B. Lee. 2010. Cause-specific spatial point pattern analysis of forest fire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3):259-266 (곽한빈, 이우균, 이시영, 원명수, 구교상, 이병두, 이명보. 2010.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원인별 공간적 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9(3):259-266. 

  10. Lee D.G. 2011. Development of standardized evaluation method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Seoul Nat'l Univ., Seoul, Korea. p. 287 (이동근. 2011.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표준화 방법론 개발. 서울대학교. 287쪽). 

  11. Malamud, B. D., G. Morein and D. L. Turcotte. 1998. Forest-fires: an example of self-organized critical behavior. Science 281(5384):1840-1842. 

  12. McCoy, V. M. and C. R. Burn. 2005. Potential alteration by climate change of the forest-fire regime in the boreal forest of centeral Yukon Territoty. Arctic 58(3):276-285. 

  13.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e scales. Proceedings of the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aheim, CA, January 17-22. pp.179-183. 

  14.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Proceedings of the 9th AMS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Dallas, TX, January 15-20. pp.233-236. 

  15. Meteorological Information Portal Service System. http://metsky.kma.go.kr (방재기상정보시스템. http://metsky. kma.go.kr) 

  16.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2. Report of 2001 drought investigation record. p.845 (건설교통부. 2002.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2001. 845쪽). 

  17.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3. Establishment of national drought disaster information system. p.465(소방 방재청. 2013. 국가 가뭄재해 상황관리 정보 시스템 구축. 465쪽). 

  18. Oh, K.R. and I.S. Yu. 2014. Measures for drought damage during the spring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2):4-9 (오국열, 유인상. 2014. 우리나라 봄철 가뭄의 피해현황과 대책. 한국방재학회지 14(2):4-9). 

  19.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Office of Climatology U.S. Weather Bureau, Washington. p.58. 

  20. Pinol, J., J. Terradas and F. Lloret. 1998. Climate warming, wildfire hazard, and wildfire occurrence in coastal eastern Spain. Climate Change 38(3):345-357. 

  21. Sheffield, J. and E. F. Wood. 2008. Projected changes in drought occurrence under future global warming from multi-model, multi-scenario, IPCC AR4 simulation. Climate Dynamics 31(1):79-105. 

  22. Sung, M. K., G. H. Lim, E. H. Choi, Y. Y. Lee, M. S. Won and K. S. Koo. 2010. Climate change over Korea and its relation to the forest fire occurrence. Atmosphere 20(1):27-35 (성미경, 임규호, 최은호, 이윤영, 원명수, 구교상. 2010.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산불 발생의 시공간적 변화 경향. 대기 20(1):27-35). 

  23. Sur, C.Y., K.J. Kim, W.J. Choi, J.H. Shim and M.H. Choi. 2014. Drought assessments using satellite-based drought index in Korea; southern region case in 2013.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3):127-132 (서찬양, 김경준, 최우정, 심재현, 최민하. 2014. 인공위성 가뭄지수를 활용한 한반도 가뭄 평가, 2013년 남부지방 가뭄을 대상으로.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4(3):127-132). 

  24. Trenberth, K., J. Overpeck and S. Solomon. 2004. Exploring drought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85(3):27. 

  25. Veblen, T. T., T. Kitzberger and J. Donnegan. 2000. Climatic and human influences on fire regimes in ponderosa pine forests in the Colorado front range. Ecological Applications 10(4):1178-1195. 

  26. Wang, L., J. J. Qu and X. Hao. 2008. Forest fire detection using the normalized multi-band drought index (NMDI) with satellite measurement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8(11):1767-1776. 

  27. Won, M.S., S.H. Yoon, K.S. Koo and K.H. Kim. 2011. Spatio-temporal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s during the dry season between 1990s and 2000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150-162 (원명수, 윤석희, 구교상, 김경하. 2011. 1990년대와 2000년대 건조계절의 산불발생 시공간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150-162). 

  28. Xiao, J. and Q. Zhuang. 2007. Drought effects on large fire activity in Canadian and Alaskan forests.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2(4):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