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만강 하류 사구의 분포와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hanges of Sand Dune at the Lower Reach of Duman River, North Korea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1 no.3 = no.114, 2006년, pp.331 - 345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김남신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이광률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한욱 (육군사관학교 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 지역에 대규모로 발달한 사구 지형의 분포 및 지표 환경, 퇴적물의 특성, 기원 및 형성과정을 밝히고, 두만강 하류 일대의 하천 및 해안 환경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andsat, Spot 영상을 이용하여 지표피복을 분석하고, 2회의 현지 야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입도분석 및 현미경 관찰을 통해 사구 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위성영상에서 파악된 사질퇴적지형 요소들은 삼각주, 사취, 이동사구, 정착사구, 사주, 사주피복 수변식생으로 구분되었다. 사구 퇴적물에 대한 입도 분석 결과, 조사 지역 중 가장 상류 쪽에 해당하는 DM3과 DM4에서 하성보다는 해성 모래와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 사구를 이루는 모래의 입도 특성이 두만강 하류 지역의 현재 자연환경을 반영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미경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풍화에 가장 강한 석영의 비율이 $65{\sim}83%$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30{\sim}40%$를 차지하는 광물 입자의 표면은 화학적 풍화를 받아 황색의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으며, 물리 화학적 풍화에 의한 바늘 및 그물 모양의 거친 표면 형태와 에칭 피트가 나타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s with geomorphological process of the sand dune landform including the distribution and surface environments,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origins and moving processes in lower reach and mouth delta of Duman River, Northeast Korea and China.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ncludes ima...

주제어

참고문헌 (17)

  1. 경인문화사, 1997, (最近)北韓 五萬分之一地形圖(上), 경인문화사 

  2. 국립지리원.대한지리학회, 2000, 한국의 지도, 국립지리원 

  3. 권혁재, 2003, 한국지리, 법문사 

  4.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5. 박경, 손일, 장은미, 2004, '제주 김녕-월정 사구의 발달과정에 관하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4), 851-864 

  6. 서울대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2001, 북한 개방지역에 관한 연구-나진-선봉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7. 서종철, 2003, '해안사구에서의 유효풍속과 지형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3), 667-681 

  8. 안재섭, 2004, '두만강 하류지역의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러시아 핫산지역과 녹둔도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 38(2), 155-165 

  9. 이기석.이옥희.최한성.안재섭.남영, 2002, '나진-선봉 경제 무역지대의 입지 특성과 지역구조,' 대한지리학회지, 37(4), 293-316 

  10. 이민부.김남신.강철성.신근하.최한성.한욱, 2003, '다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두만강 하류 지역의 농경지 개간의 공간적 특성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8(2), 630-639 

  11. 조성권.이철우.손영관.황인걸, 1995, 퇴적학, 우성 

  12. 한국과학재단, 1999, 두만강(도문강)유역 토지자원 종합평가-수출자유지역단지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재단 

  13. Jensen, J.R., 1996,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Prentice Hall 

  14. Kim, S-J, 1993, Geology of Korea, Foreign Languages Book, Publishing House, Pyongyang 

  15. Mainguet, M., 1994, Desertification, Springer-Verlag 

  16. Pye, K. and Tsoar, H., 1990, Aeolian sand and sand dunes, Unwin Hyman 

  17. Taylor, G. and Eggleton R.A., 2001, Regolith Geology and Geomorphology,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