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향성 좀목형(Vitex negundo)모용의 구조적 분화발달
Structural Features of Various Trichomes in Vitex negundo during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lectron microscopy, v.36 no.1, 2006년, pp.35 - 45  

이승희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인선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향성 식물은 식물체 특정부위에 분비구조를 발달시켜 활성물질을 세포의 외부 또는 세포간극으로 방출한다. 민간에서 약용으로 활용되는 좀목형 (Vitex negundo var. incisa)은 독특한 향기를 강하게 발산하는 식물로 향의 근원은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분비모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좀목형의 잎 및 줄기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모용에 대하여 생장단계별로 형태 및 세포수준에서의 구조분화 양상을 연구하였다. 좀목형에 발달하는 분비모는 4개의 분비세포(ca. $50{\mu}m$ 직경)와 병세포(ca. $5{\mu}m$ 길이)로 분화하는 peltate 유형 (Type 1), 2개의 분비세포$(ca.\;15{\mu}m)$), 병세포$(5{\sim}10{\mu}m)$), 기저세포로 이루어진 capitate유형 (Type 2), 정단의 분비세포가 초기단계에서부터 퇴화되는 degraded capitate 유형 (Type 3)으로 분화하였다. 비분비모는 특히 하피 전체에 더 발달하는 장상의 다세포성 모용($110{\sim}190{\mu}m$, Type4)과 상 하피 전체에 밀생하는 단세포성 모용($20{\sim}30{\mu}m$, Type 5)으로 대별되었다. 분화초기 분비모 정단의 분비세포에서는 큐티클층이 세포벽으로부터 서서히 분리되어 팽창되면서 분비강이 형성되었다. 분비세포 세포질에서 생성된 물질은 세포벽을 통해 운반되어 분비강에 형성된 많은 분비소포에 저장되고, 이들 소포가 팽창된 분비강을 가득 채우며 생성되는 물질들을 축적한 후 방향성분 및 관련 물질을 누출상 분비방식으로 세포간극 또는 외부로 방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좀목형에서는 peltate및 capitate유형 (Type 1, 2)이 분비기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좀목형의 분비구조에 대한 정보는 방향성 약용식물이 함유하는 특정물질의 기능성 성분 추적 연구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nts of Vitex negundo are known to develop numerous trichomes throughout their body, where certain trichome types have been believed to be one of the plausible structures for the unique scents. In the current study. structural aspects of the trichomes have been examined in leaves and stems of V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방향성 관목인 Vitex negundo var. incisa 좀목형 식물체에서 분비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모용, 특히 여러 유형의 분비모에 대하여 세포 및 조직 수준에서의 형태와 구조, 분비강의 형성, 분비소포 축적 및 분비 과정 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유형별 모용을 발생 초기에서부터 성숙한 단계에 이르기까지 추적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bu-Asab MS, Cantino PD: Phylogenetic implications of leaf anatomy in subtribe Melittidinae (Labiatae) and related taxa. J Arnold Arbor 68 : 1-34, 1987 

  2. Amancharla PK, Muthuraj PS, Rao GV, Singh OV: Isolation of a potent mosquito repellent from Vitex negundo L.: an alternative source of rotundial. Nat Product Sci 5 : 104- 106, 1999 

  3. Beak SH, Lee SW: A study of the aucubin on the pulp tissue after pulpotomy in dogs. J Kor Acad Conserv Dent 24: 554-559, 1999 

  4. Cho BS: Ultrastructural studies of glandular trichome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in Pelargonium peltatum 'Dale Queen'. MS Thesis, Konkuk University, pp. 1-58, 2001 

  5. Cho BS, Ko KN, Kim ES: Ultrastructural study of glandular trichomes in Pelargonium peltatum. Kor J Electron Microsc 29 : 125-136, 1999 

  6. Duke SO, Paul RN: Development and fine struture of the glandular trichomes of Artemisia annua L. Intl J Plant Sci 154 : 107-118, 1993 

  7. Fahn A: Plant Anatomy. pp. 152-184. Pergamon Press, Oxford, 1997 

  8. Fahn A: Structure and function of secretory cells. In: Hallahan DL, Gray JC, Callow JA, eds, Advances in Botanical Research: Plant Trichomes, pp. 37-75, Academic Press, Boston, 2000 

  9. Fahn A, Shimony C: Glandular trichomes of Fagonia L. (Zygophyllaceae) species: structural development and secreted material. Ann Bot 77 : 25-34, 1996 

  10. Glover BJ, Martin C: Specification of epidermal cell morphology. In: Hallahan DL, Gray JC, Callow JA, eds, Advances in Botanical Research: Plant Trichomes, pp. 193-217, Academic Press, Boston, 2000 

  11. Hallahan DL, Gray JC, Callow JA: Advances in Botanical Research: Plant Trichomes. pp. 1-316, Academic Press, London, 2000 

  12. Heinrich G: Entwicklung, Feinbau and Olgehalt der Drusenschuppen von Monarda fistulosa. Plant Med 23 : 154-166, 1973 

  13. Jirovetz L, Buchbauer G, Puschmann C, Shafi MP, Nambiar MKG: Analysis of the essential oils of the leaves of the medicinal plants Vitex negundo var. negundo and Vitex negundo var. purpurescens from India. Acta Pharm 48 : 179-186, 1998 

  14. Kim ES, Mahlberg PG: Secretory cavity development in glandular trichomes of Cannabis sativa L. (Cannabaceae). Amer J Bot 78 : 220-229, 1991 

  15. Kim ES, Mahlberg PG: Histochemical study of secretory lipids by imidazole staining. Kor J Electron Microsc 30 : 113-119, 2000 

  16. Kim ES, Oh SE, Yu SC: Ultrastructure and activity pattern of peroxidase in secretory trichomes of Drosera capensis. Kor J Electron Microsc 28 : 399-414, 1998 

  17. Kim HS: Ultrastructure of glandular trichomes in Rosmatinus officinalis L. MS Thesis, Konkuk University, pp. 1-33, 1999 

  18. Kim IS, Lee SH: Trichome type and development in leaves of Althaea rosea. Kor J Electron Microsc 35 : 97-104, 2005 

  19. Ko KN: Development and ultrastructure of glandular trichomes in Pelargonium x fragrans 'Mabel Gray'. MS Thesis, Konkuk University, pp. 1-72, 1998 

  20. Lee WL, Kho HS, Lee SG: The effect of iridoid compounds on wound healing. J Kor Acad Oral Med 24 : 137-143, 1999 

  21. Lee YN: Flora of Korea. p. 666, Kyohak Publishing Co., Seoul, 1996 

  22. Oross JW, Thomson WW: The ultrastructure of the salt glands of Cydonon and Distichlis. Amer J Bot 69 : 939-949, 1982 

  23. Platt-Aloia KA, Oross JW, Thomson WW: Ultrastructur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oil cells in the mesocarp of avocado fruit. Bot Gaz 144 : 49-55, 1983 

  24. Sacchetti G, Ballero M, Serafini M, Muzzoli M, Tosi B, Poli F: Morphological and histochemical investigation on glandular trichomes of Orobanche ramosa subsp. nana (Orobanchaceae). Phyton 43 : 207-214, 2003 

  25. Sohn K, Song JS, Kim KS: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glandular trichomes of Elsholtzia ciliata (Thunb.) Hylander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 Kor Soc Hort Sci 39 : 814-818, 1998 

  26. Son JH: A study on effect of allelopathy of Vitex negundo var. incisa leaf extracts.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p. 1-29, 1999 

  27. Vrachnakis T: On the epidermal elements of Origanum cakaratum Juss. (Labiatae). Phyton 42 : 39-67, 2002 

  28. Vrachnakis T: Trichomes of Origanrum dictamnus L. (Labiatae) Phyton 43 : 109-133, 2003 

  29. Wagner G: Secreting glandular trichomes: more than just hairs. Plant Physiol 96 : 675-679, 1991 

  30. Wagner, GJ, Wang E, Shepherd RW: New approaches for studying and exploiting an old protuberance, the plant trichome. Ann Bot 93 : 3-11, 2004 

  31. Werker E: Trichome diversity and development. In: Hallahan DL, Gray JC, Callow JA, eds, Advances in Botanical Research: Plant Trichomes, pp. 1-35, Academic Press, Boston,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