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생형 통발(Utricularia japonica)의 흡입식 포충낭 형태 연구
Morphological Study of the Suction Trap in Aquatic Utricularia japonica 원문보기

한국현미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scopy, v.40 no.2, 2010년, pp.109 - 116  

김인선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뿌리 없이 분지된 줄기에서 기원한 포충낭으로 먹이를 빠르게 포획하는 수생형 통발 포충낭의 형태 구조적 특징을 전자현미경으로 연구하였다. 이들의 흡입식 포충낭에서는 입구 부위 및 덧문에 발달하는 구조들이 능동적 먹이 포획에 있어 다른 어느 구조보다도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분화되어 있다. 포충낭 입구에는 분지된 안테나 및 부속지들이 위치하고, 덧문 중앙 부위에는 4개의 감각모가 발달하여 먹이의 접촉자극을 감지하였다. 자극신호는 입구의 무병, 유병의 다양한 capitate형 분비모들이 소수성 점액물질을 분비하게 하여 이들을 피복하며 덧문을 닫아 먹이를 포획하였다. 덧문 안쪽의 threshold는 입구부분, pavement epithelium 층, 내부 구역으로 구분되며, 입구와 내부구역의 중간에 있는 pavement epithelium 층에는 소수성 큐티클이 피복된 밸름층이 형성되었다. 먹이가 포충낭의 내강으로 들어오면 내벽에 발달하는 2분지선과 4분지선들이 효소 등의 물질을 분비하여 이들을 소화 및 흡수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였다. 이와 같이 통발의 흡입식 포충낭에서는 안테나, 감각모, 덧문, capitate형 분비모, 내벽의 분지선 등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 구조와 기능이 분화되어 식충의 기작을 수행하였다. 이후 포충낭의 분화발생을 생장단계별로 추적 연구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접목시키면 더 유용한 통발속 포충낭 구조 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rphology and microstructure of the suction trap in aquatic Utricularia japonica were examin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Branched stems bear numerous suction traps without root formation. The traps are derived axillary from the node, and their antennae and appendages extend in a peculi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통발의 포충낭 구조와 식충기작을 현재까지 보고된 통발속 포충낭 발달양상과 비교 연구하였다.
  • , 2008). 이에 본 연구에서는 흡입식 기작으로 먹이를 포획하는 통발속 식물 중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생형 통발(U. japonica) 식물체를 대상으로 포충낭의 형태구조적 특징을 일차적으로 전자현미경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충식물의 포충엽의 역할은? 식충식물의 포충엽은 곤충을 유인 및 포획, 소화할 수 있도록 잎이 특이하게 변형된 구조로 열악한 토양에 부족한 질소화합물 등의 필요한 양분을 곤충으로부터 흡수할 수 있게 한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식충식물은 포충엽의 구조 및 식충기작, 곤충포획 포충낭(trap)에 따라 4~5 유형으로 나뉜다(Juniper et al.
올가미식 식충식물 곤충 포획 방법은? 잘 알려진 점착식(adhesive trap)은 점액성의 분비모에 곤충이 접촉하면 자극 신호가 전달되어 곤충을 포획하는 능동적인 유형이고(Juniper et al., 1989; Baek & Kim, 2008), 올가미식(closing trap)은 잎 표면에 발달한 감각모로 접촉 자극을 감지하여 포충엽을 여닫으며 곤충을 포획한다(Schnell, 2002; Volkov et al., 2008).
흡입식 통발의 포충낭의 외부구조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 2008). 외부구조는 분비선과 입구 주위에 발달하는 안테나 및 부속지로 이루어져 있다. 포충낭 표피에 발달하는 무병의 단순분비선은 발달 초기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를 유지하나 분비기능을 수행하면서 점진적으로 팽창되며, 분비기능이 최대 상태에 이르면 분비물질을 방출하여 정단부위 세포는 수축되는 양상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damec L: Respiration and photosynthesis of bladders and leaves of aquatic Utricularia species. Plant Biol 8 : 765-769, 2006. 

  2. Baek KY, Kim IS: Structural features of the glandular trichomes in leaves of carnivorous Drosera angelica Huds. Korean J Electron Microscopy 38 : 21-28, 2008. 

  3. Barthlott W, Porembski S, Seine R, Theisen I: The Curious World of Carnivorous Plants. Timber Press, Portland, pp. 133-147, 2007. 

  4. Diaz-Olarte J, Valoyes-Valois V, Guisande C, Torres NN, Gonzalez-Bermudez A, Sanabria-Aranda L, Hernandez AMM, Duque SR, Marciales LJ, Nunez-Avellaneda M: Periphyton and phytoplankton associated with the tropical carnivorous plant Utricularia foliosa. Aquat Bot 87 : 285-291, 2007. 

  5. Fahn A: Secretory Tissues in Plants. Academic Press, London, pp. 129-146, 1979. 

  6. Fineran BA, Lee MSL: Organization of quadrifid and bifid hairs in the trap of Utricularia monanthos. Protoplasma 84 : 43-70, 1975. 

  7. Friday LE: Measuring investment in carnivory: Seasonal and individual variation in trap number and biomass in Utricularia vulgaris L. New Phytol 121 : 439-445, 1992. 

  8. Juniper BE, Robins RJ, Joel DM: The Carnivorous Plants. Academic Press, London, pp. 64-71, 117-119, 1989. 

  9. Komiya S: Systematic Studies in the Lentibulariaceae. Department Biology, Nippon Dental College, Tokyo, pp. 1-124, 1972. 

  10. Lee YN: Illustrated Flora of Korea, Kyohaksa, Seoul, pp. 735-736, 1996. 

  11. Na ST, Kim YD, Choi HG, Shin HC: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Korean Utricularia japonica and U. tenuicaulis. Kor J Pl Taxon 38 : 111-119, 2008. 

  12. Plachno BJ, Jankun A: Transfer cell wall architecture in secretory hairs of Utricularia intermedia traps. Acta Biologica Cracoviensia 46 : 193-200, 2004. 

  13. Plachno BJ, Jankun A, Faber J: Development of the wall labyrinth in pavement epithelium hairs of some Utricularia species. Acta Biologica Cracoviensia 47 : 109-113, 2005. 

  14. Porembski S, Theisen I, Barthlott W: Biomass allocation patterns in terrestrial, epiphytic and aquatic species of Utricularia (Lentibulariaceae). Flora 201 : 477-482, 2006. 

  15. Ratsirarson J, Silander Jr JA: Structure and dynamics in Nepenthes madagascariensis pitcher plant micro-communities. Biotropica 28 : 218-227, 1996. 

  16. Reifenrath K, Theisen I, Schnitzler J, Porembski S, Barthlott W: Trap architecture in carnivorous Utricularia (Lentibulariaceae). Flora 201 : 597-605, 2005. 

  17. Reut MS, Fineran BA: Ecology and vegetative morphology of the carnivorous plant Utricularia dichotoma (Lentibulariaceae) in New Zealand. New Zeal J Bot 38 : 433-450, 2000. 

  18. Richards JH: Bladder function in Utricularia purpurea (Lentibulariaceae): Is carnivorous important? Amer J Bot 88 : 170-176, 2001. 

  19. Rutishauser R, Isler B: Developmental genetics and morphological evolution of flowering plants, especially bladderworts (Utricularia): Fuzzy arberian morphology complements classical morphology. Ann Bot 88 : 1173-1202, 2001. 

  20. Schnell DE: Carnivorous Plants of United States and Canada. Timber Press, Portland, pp. 15-288, 2002. 

  21. Sculthorpe CD: The Biology of Aquatic Vascular Plants. Edward Arnold Publishers Ltd., London, pp. 349-360, 1967. 

  22. Sirova D, Adamec L, Vrba J: Enzymatic activities in traps of four aquatic species of the carnivorous genus Utricularia. New Phytol 159 : 669-675, 2003. 

  23. Sirova D, Borovec J, Cerna B, Rejmankova E, Adamec L, Vrba J: Microbial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traps of aquatic Utricularia species. Aquat Bot 90 : 129-136, 2009. 

  24. Slack A: Carnivorous Plants, The MIT Press, Cambridge, pp. 165- 182, 2000. 

  25. Thurston EL, Seabury F: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the utricle trichomes in Utricularia biflora Lam. Bot Gaz 136 : 87-93, 1975. 

  26. Volkov AG, Adesina T, Markin VS, Jovanov E: Kinetics and mechanism of Dionaea muscipula trap closing. Pl Physiol 146 : 694-702, 2008. 

  27. Yang YP, Liu HY, Chao YS: Trap gland morphology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s in Taiwan Utricularia (Lentibulariaceae). Flora 203 : 1-8,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