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화도 장화리 조간대의 퇴적 특성
Sedimentary Characteristics in the Tidal Flat of Janghwa-ri, Kangwha Island, Eastern Yellow S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7 no.3, 2006년, pp.328 - 340  

오재경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도종대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조용구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화도 장화리 니질 조간대의 계절 변화에 따른 지형 변화와 퇴적 환경을 알기 위해서 4개 측선의 지형 변화, 112점의 표층 퇴적물 그리고 2점의 주상 퇴적물을 얻어 퇴적학적 분석과 방사선 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크게 4가지의 퇴적상 즉, 사질, 니질 사, 사질 니, 실트로 나누어졌다. 장화리 조간대는 겨울철로 갈수록 표층 퇴적상이 조립해지고, 조간대 경사가 급해지는 등 전형적인 계절적 변화가 나타났다. 주상퇴적물에서 전체적인 퇴적상은 실트가 우세하고 분급은 불량하였다. Pb-210 동위원소를 분석한 결과 강화도 조간대의 평균 퇴적속도는 약 5 mm/yr로 나타났다. 또한 주상시료 최상부 퇴적상의 차이는 최근 이 연구 지역의 급격한 퇴적환경 변화를 지시하며, 이는 최근 주변 해역의 대규모 연안 개발 사업과 연관되어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Janghwa-ri of Kanghwa Island morphological changes in four transects, 112 surface, and 2 core sediment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muddy tidal-flat environment. Sedimentary of faci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facies; sand, muddy sand, sandy mud, and silt. During w...

주제어

참고문헌 (28)

  1. 기상청, 2002, 자동기상관측연보 - 월별자동기상관측자료. 865 p 

  2. 기상청, 2003, 자동기상관측연보 - 월별자동기상관측자료. 891 p 

  3. 류상옥, 유환수, 이종덕, 1999, 함평만 조간대의 표층퇴적물과 집적률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지, 4(2), 127-135 

  4. 수로국, 1981, 영종도에서 용매도 해도. No. 311 

  5. 오재경, 금병철, 1998, 서해안 몽산포 대조차 해빈의 퇴적 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9(3), 310-317 

  6. 오재경, 금병철, 2002, 대조차환경 침식연안의 퇴적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3(7), 565-574 

  7. 우한준, 제종길, 2002,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24(4), 331-343 

  8. 장진호, 김여상, 조영길, 1999, 해안침식이 우세한 반폐쇄적 조간대의 퇴적작용: 한국서해안의 함평만. 바다, 4(2), 117-126 

  9. 장진호, 박용안, 한상준, 1996, 한국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제4기 층서와 해수면 변화. 바다, 1(2), 59-72 

  10. 장현도, 오재경, 1991, 한강종합개발 이후 한강하구 및 경기만의 퇴적환경. 한국해양학회지, 26(1), 13-23 

  11. 최진용, 1993,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퇴적물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8, 272-280 

  12. 한국자원연구소, 1999, 서울-남천점 지질도폭 설명서. 64 p 

  13. 한국해양연구소, 1982, 만리포 해빈변화 및 침식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200 p 

  14. 한국해양연구원, 2001, 강화도 어업피해 및 경인지역 공동보상관계 보상금 분담 조사용역(1차 중간보고서). 554 p 

  15. Alexander, C.R., Nittrouer, C.A., Demester, D.J., Park, Y.A., and Park, S.C., 1991, Macrotidal mudflats of the south-western Korean coast: a model for interpretation of intertidal deposit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61, 805-824 

  16.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size parameter.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7 

  17.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Hemphill's, Texas, 140 p 

  18. Frey, R.W., Howard, J.D., Han, S.J., and Park, B.K., 1989, Sediments and sedimentary sequences on a modern macrotidal flat, Inchon, Korea.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59, 28-44 

  19. Kang, S.W. and Choi, J.K., 1984, Surface waves and bottom shear stresses in the Yellow Sea.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19, 118-124 

  20. Kim, Y.H., Lee, H.J., Choung, S.K., Chun, S.S., and Han, S.J., 1999, Holocene transgressive stratigraphy of macrotidal flat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Gomso Bay, Korea.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69, 328-337 

  21. Koh, C.H., 1997, Korean megatidal environments and tidal power project: Korean tidal flats - biology, ecology and land uses by reclamations and other feasibilities. La Houille blanche/No, 3, 66-78 

  22. Lee, H.J., Chun, S.S., Chang, J.H., and Han, S.J., 1994, Landward migration of isolated shelly sand ridge (chenier) on the macrotidal flat of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controls of storms and typhoon.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A64, 886-893 

  23. Lee, H.J., Chu, Y.S., and Park, Y.A., 1999,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ion in the Daeho macrotidal flat-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Marine Geology, 157, 171-184 

  24. McLaren, P. and Bowles, D., 1985, The effects of sediment transport on grain size distribution.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4, 457-470 

  25. Park, Y.A., 1996, Coastal typhoon Deposit in Hampyung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31, 32-36 

  26. Passega, R., 1957, Texture as characteristics of clastic depositio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41, 1952-1984 

  27. Wells, J.T., Adams, C.E.J., Park, Y.A., and Frankenberg, E.W., 1990, Morphology, sedimentology and tidal channel processes on a high-tide-range mudflat, west coast of South Korea. Marine Geology, 95, 111-130 

  28. Yang, B.C. and Chun, S.S., 2001, A seasonal model of surface sedimentation on the Baeksu open-coast intertidal flat, Southwestern coast of Korea. Geosciences Journal, 5, 251-2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