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따른 진로미결정 이유, 진로성숙도와 대학적응
Reasons for Career Indecisiveness, Career Maturity and College Adaptation Using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4 no.4 = no.82, 2006년, pp.1 - 10  

백지숙 (목포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by using the quadrants formed by the decidedness and comfort scal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nd college adaptation using that typology. We gathered data from a total of 789(237 male, 552 fe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쉽게도 대학생의 진로 결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진로 결정이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보다는 대학생의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나 진로 결정 수준에 대한 연구가 그 대 분을 이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 결정상태 유형이 대학생의 대학 적응 (학업 적응, 정서 적응, 사회 적응, 대학소속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먼저, 진로 결정상태 유형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위해 진로 결정상태 유형에 따른 진로미결정 이유의 하위 영역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제로, 이연 미(2002)는 진로를 결정한 대학생보다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대학생들이 진로 장애를 더 많이 나타내고 있다고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지도는 그들의 진로 결정상태를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Jones와 Chenery(1980)가 제시한 진로 결정상태모형에 따라 대학생의 진로 결정상태를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이유, 진로성숙도, 대학 적응(학업 적응, 정서 적응, 사회 적응, 대학소속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진로 결정상태 유형화를 위해 진로 결정상태 모형을 구성하는 결정성과 편 안성, 이유의 세 차원을 군집 분석 했던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결정성과 편 안성의 두 축을 중심으로 이들 조합에 따라 네 가지 진로 결정상태의 유형을 만들었다.
  •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지도 혹은 진로 상담을 위해 진로 결정상태 유형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진로 결정상태 모형의 두 차원인 결정성과 편 안성의 조합에 따라 결정-편안, 결정-불편, 미결정-편안, 미결정-불편으로 분류된 유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논리적이며 현실적으로 유용하리라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진로 결정상태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각 유형에 맞는 차별화된 진로 지도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 결정상태 유형에 따라 그 들의 진로미결정 이유, 진로성숙도와 대학 적응(학업 적응, 정서적웅, 사회 적응, 대학소속감)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은 네 가지 진로 결정상태 유형을 만든 두 축인 결정성과 편 안성 이외에, 나머지 진로 결정상태 모형을 구성하는 세 번째 차원인 이유의 네 하위영역(자기 명료성, 직업과 훈련에 대한 지식, 결단성, 진로 선택의 중요성)에서 진로 결정상태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유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고려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2003). 신입생실태조사 2003. 서울: 고려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2. 고향자(1992). 한국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 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남홍(2001).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 준비행동의 발달 및 2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5. 김은희(2000). 진로교육프로그햄을 이용한 집단상담이 진로 생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지순(2000). 고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의사결정과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5, 88-107 

  7. 김지영(2001). 진로의사결정 상담 프로그햄이 대학생의 진로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김현옥(1989). 청소년의 진로생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형균(2002).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성별, 학년별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 배종훈(2001). 진로미결정 유형별 진로결정 요인과 성격 특성의 차이.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백지숙(2000).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이 자아존중감, 대학 적응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18(1), 127-137 

  12. 백지숙(2005). 인터넷 게임동기 유형에 따른 대학적응과 인터넷 게 임중독. 한국아동학회지, 26(1), 31-46 

  13. 백지숙 . 도현심 . 박성연(1998). 한국청소년후기개체화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0), 89-102 

  14.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2000). 2000학년도 학생생활연구소 활동보고. 학생 연구, 34(1) 

  15. 순천향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1997). 대학생 진로의식 비교 분석. 학생생활연구 5, 71-113 

  16. 신재식(2003). 진로상담프로그햄이 일반계 여고생의 진로 성숙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양문혜(2002). 담임교사가 실시하는 진로탐색프로그햄이 진로 성숙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연세대학교 학생상담소(2001). 2001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연세상담연구, 17 

  19. 원광대학교 학생상담센터(2000). 2000학년도 신입생의 특성 연구 

  20. 이기학 . 김명원(1998).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성격적 특성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9, 277-298 

  21. 이연미(2002). 대학생의 진로발달 유형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진로장애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옥란(2004).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진로 의사결정 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전주대학교 상담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정근(1988). 진로지도의 체. 서울: 성원사 

  24. 이혜성 . 홍혜경(1998). 진로결정상태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의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10(1), 143-166 

  25.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2000). 학생상담센터 활동보고. 학생생활연구, 34 

  26. 정명숙(2002). 진로의사결정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존 감과 불안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장선철(2003). 대학쟁의 진로결정 유형화와 개인 ? 인지 변인 과의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8. 조준환(2004) 학급단위 진로의사결정 프로그햄이 공업계 남자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최진승 . 손종식(1994). 상업고등학생의 자기규제 학습수준과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학생 연구, 22, 5-38 

  30. 충남대학교 학생취업 및 생활지원센터(2004). 2003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보고서. 학생생활연구, 30, 89-124 

  31. 허자영(1996). 대학생 진로유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홍혜경(1997). 진로결정상태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의 유형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33. Baker, R. W. & Siryk, B.(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179-189 

  34. Cohen, C. R. K Chartrand, J. M. & Jowdy, D. P.(1995).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subtypes and ego identity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 440-447 

  35. Crites, J. O.(1969). Vocational psycJwlogy: The study of vocational behavior and development. New York: McGraw-Hill 

  36. Crites, J. O.(1971). The maturity of vocational attitudes in adolescence, Inquiry Series, Monograph No.2, Washington, D.C. : APGA 

  37. Crites, J. O.(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ory and researdi handbook. Monterey, CA: CBT/fvkGraw-Hill 

  38. Fugua, D. R., Blum, C. R. & Hartman, B. W.(1988). Empirical support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areer indecision.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36, 365-373 

  39. Gordon, V. N.(1995). The undecided college student. Illinois: Thomas Books 

  40. Jones, L. K.(1977). The Vocational Decision Scale.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41. Jones, L. K(1989).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construct of career indecision among college studetns: A revi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cale-the career decision profi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 477-486 

  42. Jones, L. K. & Chenery, M. E.(1980). Multiple subtypes among vocationally undecided college students: A model and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7, 469-477 

  43. Larson, L. M, Heppner, P. P., Ham, T. & Dugan, K.(1988). Investigating multiple subtypes of career indecision through duster analysis. Joum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 439-446 

  44. Lunneborg, P. W.(1976). Vocational indecision in college gradu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3, 402-404 

  45. Osipow, S. H, Carney, C. G., Winer, J. L., Yanico, B. & Koschier, M.(1976). The career decision scale.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46. Savickas, M. L. & Jarjoura, D.(1991). The career decision scale as a type indicato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 85-90 

  47. Slaney, R.R.(1988). The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W. B. Walsh & S. H. Osipow (Eds.), Career decision making(pp. 32-72). Hillsdale, NJ: Erlbaum 

  48. Swanson, J. L. & Woitke, M. B.(l991).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 431-450 

  49. Tolbert, E. L.(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Houghton 

  50. Wanberg, C. R. & Muchinsky, P. M.(1992).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 71-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