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계층에 따른 뇌심혈관질환 사망률 차이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Korea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3 no.2, 2006년, pp.109 - 119  

임정수 (가천의과대학교 예방의학과) ,  최대경 (가천의과대학교 예방의학과) ,  임준 (가천의과대학교 예방의학과) ,  홍두호 (가천의과대학교 예방의학과) ,  김종균 (강남대학교 실버산업연구원) ,  박상현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과) ,  윤성태 (가천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 number of studies in economically developed countries have shown occurrence of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to be inversely related to socioeconomic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K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로 하위계층 온 상위계층에 비해 재정적, 구조적 장애 요인으로 인하여 건강증진 등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는 것온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기 때문이다(윤태호, 2000).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증진 등 국가 만성병관리사업의 사회계층별 접근 방향성을 모색하고 향후 정책 결정 및 집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소득수준과 뇌심 혙관질환과의 연관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보험료 자료를 기초로 소득계층을 분류하고 이를 사망통계자료와 연계하여 우리나라의 소득수준과 뇌심혙관질환과의 연관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건강보험 자격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세대 당 보험료를 소득계층 구분의 기준으로 사용하여 소득수준과 뇌심혙관질환 연관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직장건강보험 피보험자의 경우 소득의 정률제로 보험료가 부과되는데 비하여, 지역건강보험 피보험자의 경우 소득과 성, 연령, 세대 당 재산 및 자동차 보유 여부 등 여러가지 변수가 고려되어 보험료가 부과되기 때문에 소득이 사회경제적 변수로서 가지는 약점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설 설정

  • 문화적 조건들을 함께 변화시켜나가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즉, 사회계층별로 차별화된 건강증진접근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실제로 하위계층 온 상위계층에 비해 재정적, 구조적 장애 요인으로 인하여 건강증진 등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는 것온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기 때문이다(윤태호, 2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영호. 한국에서의 빈곤, 불평등, 건강. 김창엽 편, 빈곤과 건강.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3. 쪽 92-120 

  2. 김공현. 건강증진사업의 세계적 동향. 한국보건행정학회 후기 학술대회 연제집.1997년 10월 

  3. 보건복지부. 만성병관리법 공청회 및 정책 워크샵 개최 보도자료. 서울: 보건복지부, 2003 

  4. 손미아. 직업, 교육수준, 그리고 물질적 결핍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2002;35(1):76-82 

  5. 송윤미. 사회경제적 수준과 사망의 연관성-한국 남성 759,665명에서의 코호트 연구. 한국역학회지 1998;20(2):219-25 

  6. 윤태호. 우려나라의 사회계층간 건강행태 차이 [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7. 조홍준. 공교 의료보험 피보험자의 사회계층별 사망률 차이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8. 통계청. 2004년 사망원인통계연보. 서울: 통계청, 2005 

  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수준의 사회적계층간 차이와 정책 방향.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10. Abel-Smith B. An Introduction to Health: Policy Planning and Financing. 1st ed. Longman, 1994 

  11. Bishop JA, Formby JP, Smith WJ. Working Paper no.26, Luxemburg Income Group, 1989 

  12. Blaxter M. Health service as a defence against the consequence of poverty industrialized societies. Soc Sci Med 1983;16:1139-48 

  13. Davey Smith G, Neaton JD, Stamler J.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mortality risk among men screened for the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 Trial: 1.White Men. Am J of Public HeaIth 1996;86:489-496 

  14. Hart N. The Social and Economic Envirment and Human Health. In : Holland WW, Detels R, Knox RG, editors, Oxford Textbook of Public Healt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15. Ichiro K. Income Inequality and Health In: Lisa FB, Ichiro K, editors. Social Epidemiology. New York: Oxford, 2000. pp.76-94 

  16. Illsley R. Comparative Review of Sources, Methodology and Knowledge. Soc Sci Med 1990;31(3):229-236 

  17. Kaplan GA, Keil JE. Special Report: Socioeconomic Facto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Review of the Literature. Circulation 1993;88(4):1973-1993 

  18. Keil JE, Loadholt CB, Weinrich MC, Sandifer, SH, Boyle E Jr.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blacks in Charleston, South Carolina. Am Heart J 1984;108:779-786 

  19. Keil JE, Sutherland SE, Knapp RG, Tyroler HA. Does equal socioeconomic status in black and white men mean equal risk of mortality? Am J Public Health 1992;82:1133-1136 

  20. Khang YH, Lynch JW, Kaplan GA.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Age- and sex-specific educational differences in th 10 leading causes of death. Int J Epidemiol 2004a;(33)2:299-308 

  21. Khang YH, Lynch JW, Woon SC, Lee SI. Trends in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Use of mortality and morbidity measure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4b;53:308-314 

  22. Kunst AE. del Rios ME, Groenhof F, Mackenbach JP.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troke Mortality Among Middle-Aged Men: AnInternational Overview. Stroke 1998;29(1):2285-2291 

  23. Lilienfeld AM. Variation in mortality from heart disease: race, sex, and socioeconomic status. Pub Health Rep 1956;71:545-552 

  24. Liu K, et al. Relation of education to major risk factors and death from coronary heart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and all causes: findings of three Chicago epidemiologic studies. Circulation 1982;66;1308-1314 

  25. Macintyre S.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some key contemporary issues, Working Paper Series, No 93-6, Boston: The Health Institute, New England Medical Center. 1996 

  26. Mulchay R, Daly L, Grahan I, Hickey N. Level of education, coronary risk facto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r Med J 1984;77:316-318 

  27. Neser WB, Tyroler HA, Cassel JC. Social disorganization and stroke mortality in the black population of North Carolina. Am J Epidemio 1971;93:166-175 

  28. O'Connel O, Propper C. Equity and the Distribution of National Health Service Resources. J of Health Economics 1990;10:1-20 

  29. Pappas G, Queen S, Hadden W, Fisher G. The increasing disparity in mortality between socioeconomic groups in the United States 1960 and 1986. N Eng J Med 1993;329:103-9 

  30. Rogat E, Sorlie PD, Johnson NJ, Schmitt A mortality study of 1.3million persons by demographic, social and economic factors: 1979-1985 Follow-up. National Institueds of Health. 1992. NIH Publication No. 92-3297:1-5 

  31. Rose G, Marmot MG. Social class and coronary heart disease. Br Heart J 1931;45: 13-19 

  32. Salonen JT. Socioeconomic status and risk of cancer, cerebral stroke, and death due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any disease: a longitudinal study in eastern Finland.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82;36:294-297 

  33. Sawyer D. Income distribution in OECD Countries. OECD Economic Outlook, Occasional Studies. Paris: OECD. 1976 

  34. Song YM, Byeon JJ. Excess mortality from avoidable and no-avoidable causes in men of low socioeconomic status: a prospectiv study in Korea.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0;54:166-72 

  35. Vagero D, Lundberg O. Health indqualities in British and Sweden. Lancet 1939;2:35-36 

  36. Wilkinson RG.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from Marerial Scarcity to Social Disadvantag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994;123(4):6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