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송이버섯은 현재까지 인위적으로 자실체를 만들지 못하고 소나무가 울창한 산림에서만 그 자실체를 수확하고 있다. 송이 군락지에서 곤충상과 이들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 곤충상과 송이 발생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송이버섯이 집단으로 발생하는 산지 2곳(경북 봉화읍과 강원 간성읍)을 선정하여 2005년 6월부터 11월까지 매월 1차례씩 송이버섯 군락지와 이들 군락지 주변의 비군락지에서 조사하였다. 전체 채집된 곤충강과 거미강에 속하는 절지동물들을 보면, 간성 지역의 경우 봉화 지역보다는 종의 수나 채집된 곤충 수에 있어서 약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종의 수에 있어서 송이 군락지인 경우에 봉화지역이 총 22종 73개체가 채집되었고, 간성지역에서는 총 19종 63개체가 채집되어, 남쪽에 위치한 봉화지역이 좀 더 곤충상에 있어 좀 더 다양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토양에서의 동물상을 보면 대조구에 비하여 응애와 선충의 밀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의 결과로 미루어 지상부의 곤충상은 송이버섯 군락지와 비군락지 사이에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지만, 송이 균사가 자라는 토양에서의 토양생물의 분포는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 토양내 절지동물의 분포는 시기별로 차이를 알 수가 있었는데, 특히 응애와 선충류들이 가을철에 많이 분포하는 특성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ine mushroom fruit body have a harvest only from natural pine forest instead of artificial culture like other edible mushrooms until now on. We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ine mushroom colonies and insect/invertebrates fauna, and changes of their seasonal populations. Two famo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송이 원기의 가용 토심에 대한 미세환경 연구 또한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송이 균사가 토양에서 자라는 과정에서 많은 미소 절지동물들의 역할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송이 균사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을 정기적으로 채취하여 토양 중의 동물상을 알아보았으며, 이들의 시기별 변화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지상의 곤충상도 함께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de Geus, P.M.J. & S. Berch. 1997. The pine mushroom industry in British Columbia. In: Chapela, I.H., Palm, M.E. (Eds.), Mycology in Sustainable Development: Expanding Concepts, Vanishing Borders. Parkway Publishers, Boone, NC, pp. 55-67 

  2. Hamada, M. 1950. Physiology and ecology of Armillaria matsutake. Bot. Mag. (Tokyo) 63: 40-41 

  3. Kinugawa, K. 1963. Ecological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ruit-body in Armillaria matsutake (S. Itoet Imai) Sing. analysis of growth curves. Bull. Univ. Osaka Pref., Serv. B. 14: 27-60 

  4. Kinugawa, K. 1964. Some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s of the habitat of Tricholoma matsutake. Trans. Mycol. Soc. Japan 5(1): 16-2 

  5. KNSO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http://kosis.nso.go.kr/cgi-bin/sws_999.cgi 

  6. Lee, K.J., Y.S. Kim, T.S. Lee & K.S. Kim. 1986. A comparative study on the mushroom populations between matsutake-producing an nonproducing Pinus densiflora stands. J. Kor. For. Soc. 72: 27-31 

  7. Lee, T.S. 1983. Survey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t the habitat of Tricholoma matsutake S. in Korea. J. Kor. Wood Sci. Tech. 11(6): 37-44 

  8. Lee, T.S., C.J. Park, W.S. Shim, S.H. Kim, Y.W. Ju, S.W. Oh, & J.M. Jo. 1984b. Studies on the artificial cultivation and propagation of pine mushroom(II)- Increasing yield and promoting quality of pine mushroom by the cap-covering or soilcovering. FRI Res. Rep. 31: 124-132 

  9. Lee, T.S., Y.R. Kim, J.M. Jo, J.Y. Lee, & M. Ogawa. 1983. A study on the pine forest conditions growing Tricholoma matsutake in Korea. Kor. J. Mycol. 11(1): 39-49 

  10. Lee, T.S., Y.R. Kim, W.S. Shim, S.H. Kim, YW. Ju, S.W. Oh, J.M. Jo, & J.Y. Lee. 1984a. Studies on the artificial cultivation and propagation of pine mushroom(I). FRI Res. Rep. 31: 109-123 

  11. Schlosser, W.E. & K.A., Blatner. 1995. The wild edible mushroom industry of Washington, Oregon, and Idaho: a 1992 survey. J. For. 93, pp. 31-36 

  12. Tominaga, Y. 1979. Study on the tunnel cultivation, the so called 'Hiroshima method' of Tricholoma matsutake S. V. On the forcing culture of T. matsutake in the year 1978. Bull. Hiroshima Agricul. Coll. 6(2): 177-186 

  13. Wills, R.M. & R.G. Lipsey. 1999. An economic strategy to develop non-timber forest products and services in British Columbia. FRBC Project no. PA97538-ORE. MOF Research Branch, Victoria, B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