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자발 호흡를 유지한 상태하의 복부 대동맥류 수술 -1예 보고-
Surgical Repair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under Epidural Anesthesia in Patient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case report- 원문보기

大韓胸部外科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39 no.10 = no.267, 2006년, pp.782 - 785  

박성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 ,  홍유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 ,  이기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 ,  유송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부 대동맥류의 수술에 있어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수술 사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강제적 기계 호흡을 줄이고 가능한 환자의 자발 호흡을 유지하는 것이 수술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77세의 남자 환자로 수술 전 검사에서 약 9 cm크기의 복부 대동맥류가 발견되었으나, 심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동반되어 수술 후 사망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 경우에서 경막외 마취등을 통해 환자의 자발 호흡을 유지한 상태로 복부 대동맥류 절제 및 인조혈관 삽입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ronic pulmonary obstructive disease is known to be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mortality in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for abdominal aortic aneurysm. To decrease perioperative respiratory complication in these patients, maintenance of self respiration as possible is one of the better m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증례에서는 경막외마취로 수술을 시작하였고 수술 중 환자의 구역반사와 위장 내 감압을 위해 laryngeal mask 를 삽입 후 양압환기를 피하고 기관내 압의 상승을 막기 위하여 자발호흡을 유지하는 방법을 병행하였다. 흡입마취제로서는 halothane이 호흡 억제를 적게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환자의 경우 근이완이 충분히 되지 않아 근이완의 목적으로도 seveoflurane을 사용하였으며, 이로 인하여근이완은 수술 조작이 가능할 정도로 되었으며 동맥혈 검사상경도의 이산화탄소 저류소견이 나타났으나, 이는 수술 종료 후 흡입 마취제를 중단하면서 소실 되었다.
  •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마취과의 협조 하에 경막외마취를 이용하여 환자의 자발호흡을 유지하기로 하였다. 수술 1일 전경막외 마취용 카테타를 11/12흉추 사이에 삽입하였고, 수술 시작 전부터 생리식염수 20 cc, ropivacaine 5 cc 및 2% lidocaine 20 cc를 혼합하여 지속적으로 주입하였다. 감각 신경은 4번째 흉추이하 부위를 마비하였고 운동신경 은 온전한 상태였다.
  • 09 L (51%), 강제 폐 활량과의 비율은 37%로 심한 폐쇄성 소견을 나타내었다.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마취과의 협조 하에 경막외마취를 이용하여 환자의 자발호흡을 유지하기로 하였다. 수술 1일 전경막외 마취용 카테타를 11/12흉추 사이에 삽입하였고, 수술 시작 전부터 생리식염수 20 cc, ropivacaine 5 cc 및 2% lidocaine 20 cc를 혼합하여 지속적으로 주입하였다.
  • 감각 신경은 4번째 흉추이하 부위를 마비하였고 운동신경 은 온전한 상태였다. 수술은 정중복부 절개 후 대동맥류의 근위부 및 원위부를 박리한 후 양측 신동맥 직하방에서 대동맥 차단 후 대동맥류를 절개하여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 22X11 mm의 Y 인조 혈관을 이용하여 대동맥치환 술을 시행하였다. 원위 부 문합은 외장 골 동맥에 단측문합 한 후 외장골 동맥의 근위부는 결찰하였으며 골반 혈류 유지를 위해 하장 간막 동맥을 인조 혈관에 재문합하였다.
  • 수술은 정중복부 절개 후 대동맥류의 근위부 및 원위부를 박리한 후 양측 신동맥 직하방에서 대동맥 차단 후 대동맥류를 절개하여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 22X11 mm의 Y 인조 혈관을 이용하여 대동맥치환 술을 시행하였다. 원위 부 문합은 외장 골 동맥에 단측문합 한 후 외장골 동맥의 근위부는 결찰하였으며 골반 혈류 유지를 위해 하장 간막 동맥을 인조 혈관에 재문합하였다. 수술 중 환자의 구역반사가 있고 위장의 감압을 위해 위장관 삽입이 가능한 후 두 마스크를 삽입하였고 저용량의 seveoHurane을 흡입하게 하여 환자의 자발호흡은 살린 상태에서 진정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대상 데이터

  • 77세 남자 환자가 내원 2시간 전부터의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과거력상 폐결핵의 병력이 있었고 폐기종을 진단받았으나 약물치료는 하지 않고 있었다.
  • 수술 후 곧바로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가능하였고 심호흡 및 가래배출을 시킬 수 있었다. 경막외 카테타를 통해 수술 후 3일째까지 통증 조절을 하였으며 수술 후 2일부터 식이가 가능하였고 3일째에 일반병실로 이송하였다 (Fig.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Van Laarhoven CJ, Borstlap AC, Van Berge Henegouwen DP, Palmen FM, Verpalen MC, Schoemaker MC.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abdominal aortic aneurysms. Eur J Vasc Surg 1993;7:386-90 

  2. Sakamaki F, Oya H, Nagaya N, Kyotani S, Satoh T, Nakanishi N. Higher prevalence of obstructive airway disease in patients with thoracic or abdominal aortic aneurysm. J Vasc Surg 2002; 36:35-40 

  3. Lindholt JS, Jorgensen B, Klitgaard NA, Henneberg EW. Systemic levels of cotinine and elastase, but not pulmonary function, are associated with the progression of small abdominal aortic aneurysms. Eur J Vasc Endovasc Surg 2003;26: 418-22 

  4. Calligaro KD, Azurin DJ, Dougherty MJ, et al. Pulmonary risk factors of elective abdominal aortic surgery. J Vasc Surg 1993; 18:914-20 

  5. Iwakura H, Kishimoto T, Takatori T, Koh J, Nakamura Y, Kosaka Y. Anesthetic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abdominal aortic aneurysm (AAA) with giant bulla. Masui 1994;43:116-8 

  6. McGregor WE, Koler AJ, Labat GC, Perni V, Hirko MK, Rubin JR. Awake aortic aneurysm repair in patients with severe pulmonary disease. Am J Surg 1999;178:121-4 

  7. Compton CN, Dillavou ED, Sheehan MK, Rhee RY, Makaroun MS. Is abdominal aortic aneurysm repair appropriate in oxygen-dependent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J Vasc Surg 2005;42:65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