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The Clinical Outcome of Twin Pregnancies after IVF 원문보기

대한생식의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v.34 no.3, 2007년, pp.173 - 178  

한명석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박은구슬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체외수정으로 출산한 쌍태아와 자연임신으로 출산한 쌍태아 간의 산과적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출산한 146건의 쌍태아에 관한 산과적 기록을 검토한 후, 출생 시 재태연령이 24주 이상이며 체외수정으로 임신한 72건을 연구군 (체외수정군), 자연임신한 51건을 대조군 (자연임신이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두 군 간에 산모 연령, 출산 시 재태 연령, 태아체중 등의 차이는 없었지만, 임신성 고혈압임신성 당뇨의 발생 위험도는 체외수정군에서 높았다 (OR 2.59; 95% CI 1.01$\sim$6.66). 20% 이상 태아 체중 차이와 같은 성의 쌍태아 발생의 위험도는 체외수정군에서 낮았다 (OR 0.37; 95% CI 0.14$\sim$0.96, OR 0.45; 95% CI 0.21$\sim$0.99).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체외수정으로 출생한 쌍태아는 자연임신으로 출생한 경우보다 태아 체중 차이의 빈도 및 같은 성 출생의 빈도가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o compare the outcome of twin pregnancies after in-vitro fertilization (IVF) with that of spontaneously conceived twins. Methods: We analyzed 146 twins retrospectively, who had been delivered between January 2000 and July 2005. After reviewing their obstetric medical records, 72 twins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체외수정으로 인한 쌍태아와 자연임신으로 인한 쌍태아 간의 기본적인 인구학적, 산과적 지표들을 비교하였다. 출산 시 평균 산모 연령의 차이는 없었으나, 35세 이상의 산모는 체외수정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 이에 저자들은 보조생식술 중 체외 수정으로 임신한 쌍태아와 자연임신한 쌍태아 간의 임상적 지표를 비교하여 산과적 결과들의 차이점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Olivennes F, Kadhel P, Rufat P, Fanchin R, Fernandez H, Frydman R. Perinatal outcome of twin pregnancies obtained after in-vitro fertilization: comparison with twin pregnancies obtained spontaneously or after ovarian stimulation. Fertil Steril 1996; 66: 105-9 

  2. 한국 보조생식술의 현황: 2003년.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2006; 49: 2480-97 

  3. Cunningham FG, et al. Williams Obstetrics 21st ed. US McGrawhill Companies 

  4. Tanbo T, Dale PO, Lunde O, Moe N, Abyholm T. Obstetric outcome in singleton pregnancies after assisted reproduction. Obstet Gynecol 1995; 86: 188-92 

  5. Seoud MA, Toner JP, Kruithoff C, Muasher SJ. Outcome of twin, triplet, and quadruplet in vitro fertilization pregnancies: the Norfolk experience. Fertil Steril 1992; 57: 825-34 

  6. Anonymous. Pregnancies and births resulting from in vitro fertilization: French national registry, analysis of data 1986 to 1990: FIVNAT (French in Vitro National). Fertil Steril 1995; 64: 746-56 

  7. Moise J, Laor A, Armon Y, Gur I, Gale R. The outcome of twin pregnancies after IVF. Hum Reprod 1998; 13: 1702-5 

  8. Lambalk CB, Van Hooff M. Natural verus induced twinning and pregnancy outcome; a Dutch nationwide survey of primiparous dizygotic twin deliveries. Fertil Steril 2001; 75: 731-6 

  9. Conde-Agudelo A, Belizan JM, Lindmark G. Maternal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multiple gestations. Obstet Gynecol 2000; 95: 899-904 

  10. McDonald S, Murphy K, Beyene J, Ohlsson A. Perinatal outcomes of in vitro fertilization twi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Am J Obstet Gynecol 2005; 193: 141-52 

  11. Daniel Y, Ochshom Y, Fait G, Geva E, Bar-Am A, Lessing JB. Analysis of 104 twin pregnancies conceived wit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193 spontaneously conceived twin pregnancies. Fetil Steril 2000; 74: 683-9 

  12. Zaib-un-Nisa S, Ghazal-Asward S, Badrinath P. Outcome of twin pregnancies after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a comparative study.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2003; 109: 51-4 

  13. Bair DD, Wilcox AJ, Kramer MS. Why might infertile couples have problem pregnancies? Lancet 1999; 353: 1724-5 

  14. Santema JG, Koppelaar I, Wallenburg HC. Hypertensive disorders in twin pregnancy.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1995; 58: 9-13 

  15. Anderson AN, Gianroli L, Felberbaum R, de MJ, Nygren K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n European registers by ESHRE. Hum Reprod 2005; 20: 1158-76 

  16. 남수현, 이지은, 문성오, 최석주, 김형선, 오수영 등. 융 모막성에 따른 쌍태아와 체외수정 쌍태아의 임신 및 신 생아 예후 비교. 대한산부회지 2006; 49: 1638-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