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국장과 된장의 항산화 효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비교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ed Soybean Foods (Chungkukjang, Doenja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12, 2007년, pp.1503 - 1510  

오현주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창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일 품종의 국산 원료 대두로부터 제조된 증자대두, 청국장과 된장을 동결건조한 후 항산화관련 물질을 측정하고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력 및 아질산염소거능을 조사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과 총 갈색도는 대두의 발효과정 중에 증가하였으며 청국장보다 된장에서 크게 증가하여 두 시료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수용성추출물의 갈색도가 지용성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추출물의 linoleic acid 상에서의 과산화물가와 전자공여능 측정에 의한 항산화력과 아질산염소거능은 ME시료군이 WE시료군보다 높았으며, ME시료군 중에서 청국장보다 된장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SOD 유사활성은 동일농도에서 WE가 ME보다 더 높았으며, 청국장WE보다 된장WE가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항산화능 측정치간의 다소 상이한 경향을 보였다. 된장이 동일 원료를 사용한 대두, 증자대두, 청국장보다 훨씬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낸 것은 된장의 오랜 발효숙성과정 중에 생성된 페놀화합물과 갈변물질의 증가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tioxidant substances (phenolic compounds and brown pigment), antioxidative effec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NSA) of solvent extracts (hexane: HE, methanol; ME, water: WE) from fermented soybean foods, Chungkukjang and Doenjang. The antioxidant acti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대두발효식품의 선행 연구결과는 대두 자체의 품종에 따라 항산화성이나 항변이원성 등 여러 기능적 특성이 다르다(20)는 점을 감안할 때 연구자들 간의 일치하지 않는 청국장과 된장의 항산화 효능의 차이를 대두의 서로 다른 가공공정에 의한 효과만으로 보기엔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 품종의 국산 원료 대두로부터 제조된 증자대두와 청국장과 된장을 동결건조한 후 항산화관련 물질을 측정하고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력 및 아질산염소거능 조사를 통해 된장과 청국장의 기능적 우수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n=5).
  • 1)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n=5).
  • 2)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each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n=10).
  • 2)Means with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n=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된장과 청국장에는 발효 및 숙성과정 중에 새로이 생성된 무슨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가? 그 중에서 대두 섭취는 혈중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산화를 억제함으로써 동맥경화 예방 및 심장병 발병률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대두가 주성분인 된장과 청국장은 오랫동안 즐겨 섭취해오고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발효식품으로서 대두에 본래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물질 뿐만 아니라 발효 및 숙성과정 중에 새로이 생성된 항산화물질인 이소플라본의 aglycones, 유리아미노산, 펩타이드, 갈변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다(4,5). 이러한 물질들에 의해 혈전용해능(6)과 항돌연변이, 항암작용(7), 혈압강하작용(8) 및 면역증강 효과(9) 등 대두에서 발견되지 않은 생리활성이 밝혀지면서 현대사회의 웰빙 식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된장과 청국장에 함유된 물질들은 무슨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가? 대두가 주성분인 된장과 청국장은 오랫동안 즐겨 섭취해오고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발효식품으로서 대두에 본래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물질 뿐만 아니라 발효 및 숙성과정 중에 새로이 생성된 항산화물질인 이소플라본의 aglycones, 유리아미노산, 펩타이드, 갈변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다(4,5). 이러한 물질들에 의해 혈전용해능(6)과 항돌연변이, 항암작용(7), 혈압강하작용(8) 및 면역증강 효과(9) 등 대두에서 발견되지 않은 생리활성이 밝혀지면서 현대사회의 웰빙 식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대두발효식품은 발효균종(10), 발효 및 숙성기간(7,11), 갈변물질의 생성 정도(12-14)와 페놀물질 분획(15,16)에 따라 항산화력이 다르다.
대두발효식품은 무엇에 따라 항산화력이 다른가? 이러한 물질들에 의해 혈전용해능(6)과 항돌연변이, 항암작용(7), 혈압강하작용(8) 및 면역증강 효과(9) 등 대두에서 발견되지 않은 생리활성이 밝혀지면서 현대사회의 웰빙 식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대두발효식품은 발효균종(10), 발효 및 숙성기간(7,11), 갈변물질의 생성 정도(12-14)와 페놀물질 분획(15,16)에 따라 항산화력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대두나 증자대두에 비해 대두발효식품은 토코페롤 함량은 낮으나, 발효미생물이 생성하는 β-glucosidase의 작용에 의한 isoflavone aglycones(genistein, daidzein) 증가로 항산화효과가 증가한다(4,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Lee JH, Min DB. 2006. Nutraceuticals, aging, and food oxidation. Handbook of Functional Lipids. Taylor & Francis Group, LLC, CRC Press, USA. p 325-350 

  2. Fang YZ, Yang S, Wu G. 200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nutrition. Nutr 18: 872-879 

  3. Enrique Cadenrs MD, Lester P. 2002. Handbook of antioxidants. Marcel Dekker, New York. p 317-318 

  4. Park KY, Jung KO. 2005. Fermented soybean products as functional foods: functional properties of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In Asian Functional Foods. Taylor & Francis Group, LLC, CRC Press, USA. p 555-596 

  5. Park GS. 2004. Cookwise approach of slow food: focused on traditional fermented sauc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317-334 

  6. Kim SH. 1998. New trends of studying on potential activities of Doenjang, fibrinolytic activity. Korea Soybean Digest 15: 8-15 

  7. Kwon SH, Shon MY. 2004.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traditional doenjang during maturation periods. Korean J Food Preserv 11: 461-467 

  8. Suh HJ, Suh DB, Chung SH, Whang JH, Sung HJ, Yang HC. 1994. Purification of ACE inhibitor form soybean paste. J Korean Agric Chem Soc 37: 441-446 

  9. Lee BK, Jang YS, Yi SY, Chung KS, Choi SY. 1997. Immunomodulators extracted from Korean-style fermented soybean paste and their function: 1. Isolation of B cell mitogen from Korean-style fermented soybean paste. Korean J Immunol 19: 559-569 

  10. Esaki H, Onozaki H, Kawakishi S, Osawa T. 1997. Antioxidant activity and isolation from soybeans fermented with Aspergillus spp. J Agric Food Chem 45: 2020-2024 

  11. Choe GS, Lim SY, Choi JS. 1998.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soybean, Meju and Doenjang. Korean J Life Sci 8: 473-478 

  12. Kim HJ, Sohn KH, Chae SH, Kwak TK, Yim SK. 2002. Brown color characteristics and antioxidizing activity of Doenjang extrac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44-654 

  13. Lee JH, Kim MH, Im SS, Kim SH, Kim GE. 1994.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3. Separation of hydrophilic brown pigment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Nutr 23: 604-613 

  14. Lee JH, Kim MH, Im SS. 1991.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1. Lipid oxidation and browning during fermentation of Meju and Doenjang. J Korean Soc Food Nutr 20: 148-155 

  15. Lee JS, Cheigh HS. 1997.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isolated crude phenolics from soybean fermented foods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76-382 

  16. Kim MH, Im SS, Yoo YB, Kim GE, Lee JH. 1994.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4. separ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Nutr 23: 792-798 

  17. Lee KH, Ryul SH, Lee YS, Kim YM, Moon GS. 2005. Change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on the Chungkukjang preparation by adding drained boiling wat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63-170 

  18. Yang JL. 2000. Antiatherogenic effect of Chungkukjang.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p 1-152 

  19. Lee CH, Moon SY, Lee JC, Lee JY. 2004.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products extracts for application of animal produ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405-410 

  20. Chang SM, Nam SH, Kang MY. 2002. Screening of the antioxidantive activity, antimutagenicity and mutagenicity of the ethanolic extracts from legu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115-1122 

  21. Benvenuti S, Pellati F, Melegari M, Bertelli D. 2004. Polyphenols, anthocyanins, ascorbic acid,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ubus, ribes, and aronia. J Food Sci 69: FCT164-169 

  22. Chung CY, Toyomizu M. 1968. Studies on discoloration of fish products: V. Mechanism of rusting in amino acid reducing sugar-lipid system. Bull Japan Soc Fish 34: 857-861 

  23. Hayase F, Kato H. 1984. Antioxidative components of sweet potatoes. J Nutr Sci Vitamin 30: 37-42 

  2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25.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6.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e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7. Kim SS, Kim SK, Ryu MK, Cheigh HS. 1983. Studies on the color improvement of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using various Aspergillus oryzae strains.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1: 67-7 

  28. Kim SH, Yang JL, Song YS. 1999.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ungkukjang. Food Ind Nutr 4: 40-46 

  29. Gramza A, Khokhar S, Yoko S, Swiglo AG, Hes M, Korczak J.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tea extracts in lipids and correlation with polyphenol content. Eur J Lipid Sci Technol 108: 351-362 

  30. Ryu BM, Sugiyama K, Kim JS, Park MH, Moon GS. 2007. Studies on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usijang, fermented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7-14 

  31. Jing H, Kitts DD. 2000.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and cytotoxic properties of glucose-lysine and fructose-lysine Maillard reaction products. Food Res Int 33: 509-51 

  32. Esaki H, Onozaki H, Kawakishi S, Osawa T. 1996. New antioxidant isolated from tempeh. J Agric Food Chem 44: 696-700 

  33. Gramza A, Korczak J. 2005. Tea constituents (Camellia sinensis L.) as antioxidants in lipid systems. Trends Food Sci Technol 16: 351-358 

  34. Huang SW, Frankel EN.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tea catechins in different lipid systems. J Agric Food Chem 45: 3033-3038 

  35. Choi YB, Sohn HS. 1998. Isoflavone content in Korean fermented and unfermented soyb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45-750 

  36. Kim JS, Yoon S. 1999. Isoflavone content and ${\beta}$ -glucosidase activity of the soybeans, meju, and do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05-1409 

  37. Hahm TS, King DL, Min DB. 1993. Food antioxidants. Foods Biotechnol 2: 1-1 

  38. Pokorny J. 1991. Natural antioxidants for food use. Trends Food Sci Technol 9: 223-240 

  39. Cui CB, Oh HS, Park JC, Nam KB, Lee DS, Ham SS. 2004.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functional food manufactured from fermented soybean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1: 3214-3220 

  40. Yang JH, Mau JL, Ko PT, Huang LC. 2000.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soybean broth. Food Chem 71: 249-25 

  41. Xu J, Chen S, Hu Q.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 pigment and extracts from black sesame seed (Sesamum indicum L.). Food Chem 91: 79-83 

  42. Rhi JW, Shin HS. 1993.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extract obtained from green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759-763 

  43.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44. Shon MY, Kim SH, Nam SH, Park SK, Sung N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green and fermented tea extracts. J Life Sci 14: 920-924 

  45. Yoon SR, Lee MH, Kim HK, Lee GD. 2006. Change in functional properties by extraction condition of roasted Pleurotus eryng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62- 270 

  46. Cooney RV, Ross PD, Bartolini GL. 1986. N-nitrosation and N-nitration of morpholine by nitrogen dioxide: Inhibition by ascorbate, glutathione and ${\alpha}$ -tocopherol. J Agric Food Chem 35: 83-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