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를 이용한 타블렛 조성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흰쥐의 비만 억제에 미치는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Kimchi Tablet Composition in Rats Fed High-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12, 2007년, pp.1529 - 1536  

공연희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홍식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연옥 (한국식품연구원) ,  최상윤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결건조된 김치분말을 주성분으로 하여 부형제로 glucose, 고춧가루, 식이섬유소 등을 혼합하여 제조된 김치 타블렛 제조용 조성물(KTC)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주령의 SD계 수컷 흰쥐를 식이에 따라 정상대조군, 고지방식이군, 고지방 식이에 KTC 5%와 10% 첨가군의 4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고 체중, 피하지방, 혈당, 혈 중 지질 농도, 간조직의 지질 농도와 HMG-CoA reductase 활성,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능 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지방 식이에 KTC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흰쥐의 혈중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치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혈액내 지방의 축적을 저해하였고, 복부 피하지방의 양은 KTC 5%, 10% 첨가군이 고지방군에 비해 13.6%, 21.3% 감소시켰다(p<0.05). 또한 간과 심장, 고환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농도는 KTC 첨가군이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HMG-CoA reductase 활성 및 혈당 농도를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KTC가 흰쥐의 비만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besity effects of kimchi tablet composition (KTC) were investigated with male Sprague-Dawley rats fed high-fat diet for 8 weeks. Fifty rats were classified to 4 groups: normal diet (ND), high fat diet (HFD), HFD+KTC 5% and HFD+KTC 10% for feeding experiments.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fi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김치는 보관이 용이 하지 못하고 냄새 등으로 인하여 휴대 및 상용에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결건조한 김치 분말에 부형제로 glucose, 고춧가루, 식이섬유소 등을 혼합하여 김치 타블렛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흰쥐를 이용하여 이의 항비만 효과를 체중, 피하지방, 혈당, 혈중 지질 농도, 간조직의 지질 농도와 HMG-CoA reductase 활성,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능 등을 측정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5)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에 함유된 활성성분 중에서 무엇이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춘다고 보고되어 있는가? 김치에 함유된 활성성분 중 고춧가루의 capsaicin 과 dehydrocapsaicin은 부신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백색지방 조직에서 지방분해를 촉진시켜 생체의 에너지 소비기관인 갈색지방세포에서의 열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체지방을 분해 연소시켜 체내 지방축적량을 감소시킨다(5). 또한 sitosterol, Smethylcystein sulfoxide와 김치 발효 시 생성되는 젖산균들은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춘다고 보고되어 있으며(6), 김치 속의 식이섬유소는 칼로리가 없고 포도당뿐만 아니라 단백질, 지질의 흡수율을 감소시킨다(7). 아울러 김치재료 중 마늘은 인체의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키고 간에서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방해하며 혈장의 지질 농도를 낮추는데, 이는 마늘의 allicin이 CoA와 반응하여 지방의 생합성에 필요한 -SH기를 차단함으로써 acetyl기의 전이를 방해한다(8).
비만증은 무엇인가? 비만은 2차적으로 여러 퇴행성 질환의 유발과 깊은 관련이 있어 최근 커다란 건강문제로 대두되었다(1). 비만증은 지방 세포의 수와 크기 증대에 따라 과도하게 기관 혹은 피하에 집중적으로 지방이 축적되는 것으로 혈청콜레스테롤 농도의 상승과 LDL 콜레스테롤 농도의 상승이 직접적인 주요 인자에 속한다(2,3).
김치의 장점은 무엇인가? 김치는 열량이 낮고 식이섬유와 비타민, 무기질의 함량이 높아 한국인의 식단에서 식이섬유를 비롯한 비타민과 무기질의 주요 공급원의 하나이며(4), 재료에 함유된 성분들과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대사산물은 당뇨병 및 혈관질환과 관련된 성인병 예방 및 체중조절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치에 함유된 활성성분 중 고춧가루의 capsaicin 과 dehydrocapsaicin은 부신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백색지방 조직에서 지방분해를 촉진시켜 생체의 에너지 소비기관인 갈색지방세포에서의 열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체지방을 분해 연소시켜 체내 지방축적량을 감소시킨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백희영, 문현경, 최영선, 안윤옥, 이홍규, 이승욱. 1997. 한국인의 식생활과 질병.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2. Casteli WP, Garrison RI, Wilson PWF, Abbott RD, Kalousdia NS, Kanel WB. 1986.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lipoprotei-ncholesterol levels. The Framingram Study. JAMA 256: 2835-2845 

  3. Rifkind BM. 1986. Diet, plasma cholesterol and coronary heart diease. J Nutr 116: 1578-1580 

  4.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Crit Rev Food Sci Nutr 34: 175-183 

  5. Watanabe T, Kawada T, Iwai K. 1987. Enhancement by capsaic in of energy metabolism in rat through secretion of catecholamine from adrenal medulla. Agric Biol Chem 51: 75-79 

  6. Kim MK, Jung HJ. 1998. Antimicrobial activity of exracts from spices on lactic acid bacteria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5: 81-87 

  7. Kay RM, Truswell AS. 1977. Effect of citrus pectin on blood lipids and fecal steroid excretion in man. Am J Clin Nutr 30: 171 

  8. Stacy P, William SH. 1993. Garlic supplementation and lipoprotein oxidation susceptibility. Lipids 28: 475-477 

  9.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1956.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 497-509 

  10. Barriada-Pereira M, Concha-Grana E. 2003.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versus Soxhlet extraction in the analysis of 21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plant. J Chromatography A 1008: 115-122 

  11. Allain CC, Poon LS, Chan CSG, Richman W, Fu PC. 1974. Enzymatic determination of total serum cholesterol. Clin Chem 20: 470-475 

  12. Shapiro DJ, Nordstorm JL, Rodwell VW, Mitschelen JJ. 1974. 3-Hydroxy-3-methyl 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in rat liver and in L-cell fibroblasts. Biochem Biophys Acta 370: 369-371 

  13. Kim YJ. 1999. Physiological properties of Kimchi.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 59-65 

  14. Lee YO, Park KY, Cheigh HS. 1996. Antioxidative effect of kimchi with various fermentation period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ground meat. J Korean Soc Food Nutr 25: 261-266 

  15. Yoshika M, St-Pierre S, Drapeau V, Dionne I, Doucet E, Suzuki M, Tremblay A. 1999. Effects of red pepper on appetiet and energy intake. Br J Nurt 82: 115-123 

  16. Kim JY, Lee YS. 1997. The effects of kimchi intake on lipid contents of body and mitogen response of spleen lymphocyte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200-1207 

  17. Kawada T, Hagigara K, Iwai K. 1986. Effects of capsaici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fat diet. J Nutr 116: 1272-1278 

  18. Yoshioka M, St-Pierre S, Drapeau V, Dionne I, Doucet E, Suzuki M, Tremblay A. 1999. Effects of red pepper on appetiet and energy intake. Br J Nutr 82: 115-123 

  19. Kim HJ, Kwon MJ, Song YO. 2000.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of Korean cabbage Kimchi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hospholipid of rabbit fed 1%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00-907 

  20. Kwon MJ, Song YS, Song YO. 1998. Antioxidative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on rabbits fed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189-1196 

  21. Jang JY, Lee MK. 1998. Effect of on serum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diet induced cholesterol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11-1216 

  22. Stubbs CD, Smith AD. 1984. The modification of mammalian membrane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in relation to membrane fluidity and function. Biochem Biophys Acta 179: 89-96 

  23. Morimoto C, Tsujita T, Okuda H. 1997. Epinephrine-induced lipolysis in rats fat cells from visceral and subcutaneous sites role of hormone-sensitive and lipid droplets. J Lipid Res 38: 132-138 

  24. Kim HJ, Kwon MJ, Seo JM, Kim JK, Song SH, Suh HS, Song YO. 2004. The effect of 3-(4-hydroxyl-3',5'-dimethoxyphenyl) propionic acid in Chinese cabbage Kimchi on lowering hypercholesterol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52-58 

  25. Gurr MI. 1988. Lipid metabolism in man. Proceedings of Nutrition Society 47: 1128-1131 

  26. Yao T, Sato M, Kobayashi Y, Wasa T. 1985. Amperometric assays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by the combined use of immobilized cholesterol esterases and cholesterol oxidant reactors and peroxidase electrode in a flow injection system. Anal Biochem 149: 387-391 

  27. Stein Y, Dabach Y, Hollander G and Stein O. 1990.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activity in hamster plasma increased by fat and cholesterol rich diets. Biochem Biophys Acta 1042: 138-145 

  28. Stehbens WE. 1986. An appraisal of cholesterol feeding in experimental atherogenesis. Prog Cardiovas Dis 29: 107- 128 

  29. Hulcher H, Oleson WH. 1973. Simplified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HMG-Co A reductase. J Lipid Res 14: 625-631 

  30. Sheo HJ. 1999. Effects of gastric on the blood lipid and other serum component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39-11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