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NASA의 우주 연구 프로그램에 따른 미소 중력하에서의 연소 특성 및 화재 안전 연구 개괄
Survey on a Research for Fire Safety in Space with the Understanding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Microgravity based on NASA's Space Research Program 원문보기

한국추진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11 no.3 = no.40, 2007년, pp.65 - 72  

손채훈 (세종대학교 기계항공우주공학부) ,  손영진 (현대자동차 환경기술연구소 연료전지개발팀)

초록

화재는 인류가 우주 여행을 하거나 우주에서 체류하고자 할 경우, 특히 조심해서 신경을 써야 할 부분이다. 지구상에서와는 달리, 우주에서는 화재를 피하여 외부로 도망을 칠 수도 없고, 진화를 위해 소방서에 도움을 요청할 수도 없다. 따라서 최선책은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우주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그 화염의 행태가 지구상에서와는 다른 양상을 띄게 된다. 그 이유는, 지구상에 있는 모든 물질에 작용하는 중력이 우주에서는 없거나 작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소 중력하에서의 화염의 행태에 대하여 중요한 부분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인 우주 탐사선과 우주 정거장 등에서 화염을 방지, 감지, 진화하는 연구에 대하여 미국 NASA의 FPDS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하여 소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re is one of important checkpoints in crewed exploration systems, where men inhabit in space. In space, astronaut can't escape from fire out of a spacecraft and not expect any help of fire fighters, either. Accordingly, the best way to stand against fire is to prevent it. But, when fire occurs in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중에서도 중요한 부분으로는 오랜 기간 우주에 머물게 될 우주인의 건강 및 안전을어떻게 보장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미소 중력하에서의 화재에관한 연구는 우주인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기술이며, 이를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그 세 가지는 FPDS 로서 각각 Fire Prevention(화재 예방), Detection(감지), and Suppression(진화)을 일컫는다.
  • 본 논문에서는 미소 중력하에서의 연소 현상이 지구상에서와 다른 형태를 보이는 것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세 가지 과제와 관련한 기술을 정의하고, 그방법론을 정립함으로써 화재 방지와 재료의 발화성, 화재 신호 및 감지, 진화 등의 분야에서어떠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는가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세 가지 과제와 관련한 기술을 정의하고, 그방법론을 정립함으로써 화재 방지와 재료의 발화성, 화재 신호 및 감지, 진화 등의 분야에서어떠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는가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각 분야에서 언급되는 생산물 혹은 전달물(deliverables)들은 향후 우주 탐사선혹은 우주 정거장 등에서 필요한 물건으로 정의된다.
  • 따라서 미소 중력하에서는 유체의 유동, 물질 전달, 열전달 등이 지구상에서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이에 따라 미소 중력하에서의 화염 역시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행해져 왔다口-5].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미소 중력하에서의 화염에 관한 연구를 인류가 안전하게 우주를 여행할 수 있도록 응용하는 것[1]에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 본 특집논문에서는 미소 중력하에서의 화염거동의 특징과 화재 안전에 대한 연구 결과를간략히 소개하였다. 미소 중력하에서는 지구 중력하에서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더〕, 이는 대류의 영향이 거의 없어지거나 작아지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Ruff, G. A., Urban, D. L., and King, M. K., "A Research Plan for Fire Prevention, Detection, and Suppression in Crewed Exploration Systems," AIAA paper 2005-0341, 2005 

  2. Sacksteder, K. R., "The Implications of Experimentally Controlled Gravitational Accerlerations for Combustion Science," 2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bustion, The Combustion Institute, 1990, pp.1589-1597 

  3. Law, C. K. and Faeth, G. M.,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combustion in microgravity," Progress in Energy and Combustion Science, Vol. 20, 1994, pp. 65-113 

  4. NASA TM-106858, Microgravity Combustion Science: 1995 Program Update, 1995 

  5. Nomura, H., Ujiie, Y., Rath, H. J., Sato, J., and Kono, M. "Experimental Study on High Pressure Droplet Evaporation Using Microgravity Conditions," 2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bustion, The Combustion Institute, 1996, pp.1267-1273 

  6. Ronney, P. D., "A Perspective on the Role of Microgravity in Combustion Research," Combustion and Flame, Vol. 116, 1999, pp. 317-318 

  7. Sohn, C. H., Kim, J. S., Chung, S. H., and Maruta, K., "Nonlinear Evolution of Diffusion Flame Oscillations Triggered by Radiative Heat Loss," Combustion and Flame, Vol. 123, 2000, pp.95-106 

  8. Urban, D. L. and King, M. K., "NASA's Microgravity Combustion Research Program: Past and Future," Combustion and Flame, Vol. 116, 1999, pp.319-320 

  9.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Technical Standard 6001, Flammability, Odor, Offgassing, and Compatibility Requirements and Test Procedures for Materials in Environments That Support Combustion, 1998 

  10. Olson, S. L. "Mechanisms of Microgravity Flame Spread Over a Thin Solid Fuel: Oxygen and Opposed Flow Effects," Combus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 76, 1991, pp.233-249 

  11. Mcgrattan, K. B., Kashiwagi, T., Baum, H. R., and Olson, S. L., "Effects of Ignition and Wind on the Transition to Flame Spread in a Microgravity Environment," Combustion and Flame, Vol. 106, 1996, pp. 377-391 

  12. Prasad, K., Olson, S. L., Nakamura, Y., and Kashiwagi, T., "Effect of Wind Velocity on Flame Spread in Microgravity," 29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bustion, The Combustion Institute, 2002, pp. 2553-2560 

  13. Son, Y. and Ronney, P. D., "Radiation-Driven Flame Spread over Thermally Thick Fuels in Quiescent Microgravity Environments," 29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bustion, The Combustion Institute, 2002, pp. 2587-2594 

  14. Lange, K. E., Duffield, B. E., Jeng, F. F., and Campbell, P. D., "Exploration Spacecraft and Space Suit Internal Atmosphere Pressure and Composition," 2005 Bioastronautics Investigators' Workshop, Galveston, Texas, January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