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 절리계 모사를 통한 대규모 암반비탈면 파괴블록크기 추정방법
Estimation Method of Key Block Size on a Large Scale Rock Slope by Simulation of 3-D Rock Joint System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3 no.10, 2007년, pp.97 - 107  

김동휘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정혁일 (서영엔지니어링 지반터널설계실) ,  김석기 (바우컨설탄트 지반터널부) ,  이우진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류동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규모 암반비탈면은 소규모 암반비탈면과 달리 파괴블록의 크기를 사면전체로 가정했을 경우 비합리적인 안정성 평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즉, 파괴블록의 크기에 따라서 안전율, 절리면 강도정수 등이 변하기 때문에 대규모 비탈면의 경우에는 공학적인 방법으로 파괴 가능 블록크기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부지의 절리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절리의 방향성(joint orientation) 및 절리간격(joint spacing) 통계분석, 3차원 절리발생 강도(joint intensity)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 3차원 절리계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파괴가능 블록(failure block) 크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파괴유발이 우려되는 블록은 33개가 관찰되었으며, 최소크기 1.4m, 최대크기 38.7m, 평균크기 15.2m로 나타났다. 또한, 3차원 절리계 생성과정에서 발생되는 절리자료를 활용하여 확률론적해석, 2, 3차원 불연속체해석 등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urate evaluation of the slope stability by assuming failure block as the entire slope is considered to be apposite for the small scale slope, whereas it is not the case for the large scale slope. Hence, appropriate estimation of a failure block size is required since the safety factor and the jo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암반 비탈면의 합리적인 안정성 평가를 위해 총 28회의 3차원 절리계모사결과를 이용하여 파괴블록크기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부지의 절리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절리의 방향성 및 절리간격 통계분석, 3 차원 절리발생강도 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 3차원 절리계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파괴가능 블록크기를 산정하는 방법과 3차원 절리계 생성과정에서 발생되는 절리 자료를 활용하여 암반비탈면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0 의 값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q의 값을 추정하기 위해서 3차원 절리계에 대한 시추공 샘플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두 번째로 파괴블록의 크기는 절리면 강도정수(joint strength parameter)0]] 영향을 미친다. 역사적으로 "암반 역학(rock mechanics)” 이라는 주제가 태동했을 때부터 비탈면 활동에 대한 안전율 산정을 위해 사용된 많은 식들은 Mohr Coulomb 파괴기준(万 =c + a-ntane)5] 강도 정수인 점착력(cohesion, c) 및 마찰Zhiction angle, <j>) 을 사용하였다.
  • 이와 같이 Poisson process에 의해 절리가 발생한다는 모델은 일반적으로 Enhanced Beacher model에서 채택한 가정이다. 절리군별 절리 간격에 대한 음지수 분포가설이 통계학적 검증에서 기각된다면, 절리 발생의 독립성 가정, 즉 Poisson process에 의해 절리가 발생한다는 가정은 재고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류동우, 김연민, 이희근 (2002a), '입체해석학적 접근법에 의한 암반 절리 크기 및 밀집도의 통계적 분석에 관한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12권 1호, pp.10-18 

  2. 류동우, 김영민, 이희근 (2002b), '암반 절리 방향성 자료의 통계적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12권 1호, pp.19-30 

  3. 조태진, 원경식, 이창섭 (2004), '암반 내부에서의 절리분포 예측을 통한 사면해석', 2004 한국암반공학회추계학술발표회, pp.23-32 

  4. Barton, N.R. (1973). 'Review of a new shear strength criterion for rock joints', Engng Geol., 7, pp.287-332 

  5. Barton, N.R. (1976). 'The shear strength of rock and rock joi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and Geomachanics Abstracts. 13(10), pp.1-24 

  6. Barton, N., Bandis., and Bakhtar, K. (1985). 'Strength, deformation and conductivity of rock joi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and Geomachanics Abstracts, 22(3), pp.121-140 

  7. Dershowitz, W. S. and Herda, H. (1992), 'Interpretation of fracture spacing and intensity', 33rd US. Symp. on Rock Mechanics, Santa Fe, N. Mexico, AA Balkema, Rotterdam, pp.757-766 

  8. Fisher, N. I., Lewis, T., and Embleton, B. J. J. (1993), Statistical Analysis of Spherical Data, Cambridge Univ. Press, pp.329 

  9. Fisher, R. (1953), 'Dispersion on a sphere', Proceeding of Royal Society of London, A217, pp.295-305 

  10. Grossmann, N. F. (1985), 'The bivariate normal distribution on the tangent plane at the mean attitude', Proc. Int. Symp. on Fundamentals of Rock Joints, pp.3-11 

  11. Hoek, E., and Bray, J. W. (1981), Rock slope engineering, 3rd Ed., Institution of Mining and Metallurgy, London 

  12. Kulatilake, P. H. S., and Wu, T. H. (1984), 'The density of discontinuity trraces in sampling window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ol.21, pp.345-347 

  13. Ladanyi, B., and Archambault, G. (1970). 'Simulation of shear behavior of a jointed rock mass', Proc. 11th Symp. Rock Mech., AIME, New York, pp.105-125 

  14. Lu, P., and Latham, J. P. (1999), 'Developments in the assessment of in-situ block size distribution of rock masses', Rock Mech. Rock Engng., 32(1), pp.29-49 

  15. Pahl, P. J. (1981), 'Estimating the mean length of discontinuity trace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ol.18, pp.221-228 

  16. Priest, S. D., and Hudson, J. A. (1981), 'Estimation of discontinuity spacing and trace length using scanline survey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ol.18, pp.183-197 

  17. Priest, S. D. (1993), Discontinuity Analysis for Rock Engineering, Chapman & Hall, pp.473 

  18. Sen, Z., and Eissa, E. A (1992), 'Rock Quality Charts for Log-noramlly Distributed Block Size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ol.29, No.1, pp.1-12 

  19. Stephens, M. A. (1974), 'EDF statistics of goodness of fit and some comparisons', J Amer. Statist. Assoc., Vol. 69, pp.730-737 

  20. Wang, L. G., Yamashita, S., Sugimoto, F., Pan, C., and Tan, G. (2003), 'A methodology for predicting the in-situ size and shape distribution of rock blocks', Rock Mech. Rock Engng., 36(2), pp.121-1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