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대학생이 생각하는 한국과 미국의 암묵적 창의성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mplicit Creativity of Korea and America Recogniz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17 no.2, 2007년, pp.365 - 391  

성은현 (호서대학교) ,  류형선 (성균관대학교) ,  하주현 (건양대학교) ,  이정규 (한국교육개발원) ,  한순미 (가톨릭대학교) ,  한윤영 (숙명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한국 대학생의 한국과 미국에 대한 암묵적 창의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의 4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으로 다중 응답하게 하였고, 빈도 분석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한국의 대학생들은 한국의 창의성 특성에 대하여 인지적 특성, 인성적 특성, 문화적 특성, 연구개발분야, 예술분야 등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창의성 이론과 비슷한 방식으로 창의성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의 경우, 사회문화적 배경과 같은 환경적 특성은 창의적 특성, 비창의적 특성 모두에 비중 있게 차지하였다. 셋째, 미국의 창의성을 개인주의적인 성향에 초점을 두어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비해 한국적 창의성에서는 공동체의식이 창의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f보다는 미국의 문화가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더 유리한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섯째, 한국의 전통문화는 문화의 고유성과 우수성 그리고 현대적 활용 가능성 측면에서 창의적 특성으로 인식되었다. 여섯째, 창의적 인물은 대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예술가, 경영자, 통치자, 과학자 순으로 인식되었다. 일곱째, 창의적 인물의 특성에 나타난 양 국가의 창의적 특성 비교에서 한국보다는 미국의 특성이 더 많이 반영되었으며, 이는 미국문화에 보다 익숙한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인물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창의성 연구에서 동양적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찾았으며, 특히 전통문화와 전통재창조, 동양적 가치관 등이 서양에는 없는 우수한 문화자원이며 창의성을 지원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제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previous study to investigate recognition gap of creativity between Korea and America, this study has examined Korean university students' implicit creativity toward Korea and America. The research method using in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subject wer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he...

주제어

참고문헌 (21)

  1. 김혜숙 (1998). 다원적 접근에 기초한 창의성 진단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 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박병기?강현숙 (2006). 한국 창의성 조망. 교육심리연구. 21(1). 233-264 

  3. 박용헌 (1967). 창조를 위한 인간교육: 창의성의 기원과 그 교육방안. 교육학연구. 5(2). 15-24 

  4. 성은현 (2004). 어머니의 내외통제성과 창의적 가정환경 및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3). 79-93 

  5. 성은현 (2006). 문화와 창의성. 인하대학교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 - 아시아 교육의 기적-가정, 학교 그리고 문화적 맥락에서의 아동 발달. 2006.10.28 

  6. 송인섭, 김혜숙 (1999). 창의성 개념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암시적 창의성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3). 93-117 

  7.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Westview Press 

  8.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s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Dunn, J. A., Zhang, X. Y, & Ripple, R. E. (1988).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and American performance on divergent thinking tasks. New Horizons, 29, 7-20 

  10. Feldman, D. H. (1999),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J.,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Jellen, H. U. & Urban, K. (1989). Assessing creative potential Worldwide: The first cross-cultural application of the test for creative thinking-drawing production (TCT-DT). Gifted Education, 6(2). 78-86 

  12. Kim, K. H. (2005). Learning From Each Other: Creativity in East Asian and American Education. Creative Research Journal, 17(3) 

  13. Ng, A. K. (2003). A Cultural Model of Creative and Conforming Behavior.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5(2-3). 223-233 

  14. Pornrungrj, C. (1992). A comparison of creativity test score between Thai children in a Thai culture and Thai-American children who were born and reared in an American culture. Unpubished Doctoral Dissertation. Illinois State University. Normal 

  15. Rudowicz, E., & Yue, X.D. (2002). Compatibility of Chinese and Creative Personalitie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4(3-4). 387-394 

  16. Rudowicz. E.. Lok. D., & Kitto. J. (1995) Use of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in an eaploratory study of creativity in Hong Kong primary school children: A cross-Cultural comparison. Journal of Psychology, 30. 417-430 

  17. Runco, M. A., & Johnson, D. J. (2002). Parents' and Teachers' Implicit Theories of Children's Creativity: A Cross-Cultural Perspectiv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4 (3-4). 427-438 

  18.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7). 677-688 

  19.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9). The concept of creativity: Prospects and paradigms.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Stremikis. B. A. (2002).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of successful women musician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4(1). 85-92 

  21. Zha, P., Walczyk J. J., Griffith-Ross, D. A., Tobacyk, J. J., & Walczyk, D. F. (2006). The Impact of Culture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on the Creative Potential and Achievement of American and Chinese Adult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8(3). 355-3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