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접근을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f the Creativity as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0 no.1, 2011년, pp.39 - 55  

정옥분 (고려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임정하 (고려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정순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경은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박연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ity and education practice of creativity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nts were 425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round the greater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창의성의 정의는 무엇인가? 창의성은 능력일 수도 있고(Feldhusen & Treffinger, 1986), 개인적 특성일 수도 있으며(MacKinnon, 1962), 인지적 과정일 수도 있고(Boden, 1992), 여러 요소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Sternberg & Lubart, 1991; Urban, 1995). 최근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창의성의 정의는 새롭고 유용한 산물을 산출해낼 수 있는 개인의 능력(Barron, 1988; Hennessey & Amabile, 1988)이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새로움이란 통상적이지 않고 기발하며 독창적인 것으로, 지금까지는 없었던 어떤 새로운 요소가 나타났는가를 의미한다.
전문가들이 창의성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에 대해서 의견이 분분한 이유는 무엇인가? 전문가들 또한 창의성의 정의에 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하다.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그 정의가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이다. 창의성은 능력일 수도 있고(Feldhusen & Treffinger, 1986), 개인적 특성일 수도 있으며(MacKinnon, 1962), 인지적 과정일 수도 있고(Boden, 1992), 여러 요소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Sternberg & Lubart, 1991; Urban, 1995).
청년기란 인지적, 개인적으로 어떤 시기인가? 한편 청년기는 인지적으로는 형식적 조작기로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해지는 시기일 뿐 아니라 개인적으로는 부모의 세계로부터 벗어나고 초기 성인기로 전환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다시 검토하고 변화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 속에서 창의성이 발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승호, 김양숙, 이순정. (2001). 중학교 창의성교육의 실태, 문제점 및 발전방향. 교육평가연구, 14(2), 71-107. 

  2. 김경은, 이화선, 김은아, 최인수. (2006). 유아 창의성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요구도 조사 -만 2세, 5세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생활과학, 10, 167-187. 

  3. 성은현. (2006). 문화와 창의성. 인하대학교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아시아 교육의 기적-가정, 학교 그리고 문화적 맥락에서의 아동발달. 2006. 10.28. 

  4. 송인섭, 김혜숙. (1999). 창의성 개념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암시적 창의성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 연구, 13(3), 93-117. 

  5. 이강열. (1998). 창의성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연구논총, 제7집, 경기도교육연구원. 

  6. 전경원. (1997). 창의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1(2), 223-253. 

  7. 정은이. (2003). 개별.협동학습에 따른 창의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7(1), 281-297. 

  8. 정옥분, 김경은, 박연정. (2005). 청소년과 교사가 지각하는 창의성교육의 실태조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1), 29-53. 

  9. 정혜인. (2004). 평가 방법을 달리한 학업성취도와 창의력 요소간의 상관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한국교육개발원. (2001). 창의성 계발교육 실태분석 및 전략구안. 

  11. 한기순. (2000). 창의성의 영역한정성과 영역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연구. 영재교육연구, 10(2), 47-69. 

  12. Anderson, C. (2006). The long tail : How endless choice is creating unlimited demand. London: Random House Business 

  13. Baer, J. (1991). Creativity and divergent thinking: A task-specific approach. Hillsdale, NJ: Erlbaum. 

  14. Baer, J., & Kaufman, J. C. (2008). Gender differences in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2, 75-106. 

  15. Baer, M., & Oldham, G. R. (2006). The curvilinear relation between experienced creative time pressure and creativity: Moderating effects of openness to experience and support for creativ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 963-970. 

  16. Barron, F. (1988). Putting creativity to work.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 Press. 

  17. Boden, M. A. (1992). The creative mind. London: Abacus. 

  18. Chan, D. W., & Chan, L. (1999). Implicit theories of creativity: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 characteristics in Hong Kong.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2, 185-195. 

  19.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13-338). Cambridge, UK: University Press. 

  20. Dacey, J. S. (1989). Fundamentals of creative thinking. Lexington, MA: D. C. Heath. 

  21. Dacey, J. S., & Lennon, K. H. (2004). Understanding creativity. CA: Jossey-Bass. 

  22. Dewett, T. & Gruys, M.L. (2007). Advancing the case for creativity through graduate business education.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2(2), 85-95. 

  23. Driver, M. (2001). Fostering creativity in business education: Developing creative classroom environments to provide students with critical workplace competencies.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77(1), 28-33. 

  24. Feldhusen, J. F., & Treffinger, D. J.(1986).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in gifted education. Debuque, IO:Kendall/Hunt. 

  25. Gangemi, J. (2006). Creativity comes to B-school. Business Week. March 26. 

  26. Gardner, H. (1993). Creating minds. New York: Basic Books. 

  27. Haensly, P., Reynolds, C. R. & Nash, W. R. (1986). Giftedness: Coalescence, context, conflict, and commitment. In R. J. Sternberg, & Davidson, J. E.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Helson, R., Roberts, B. W., & Agronick, G. S. (1995). Enduringness and change in creative personality and the prediction of occupational creat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1173-1183. 

  29. Hennessey, B. A., & Amabile, T. M. (1988). Story-telling: A method for assessing children's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2, 235-246. 

  30. Hong, Y., Morris, M., Chiu, C., & Benet-Martinez, V. (2000). Multicultural minds: A dynamic constructivist approach to culture and cogni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709-720. 

  31. Kim, K. H. (2005). Learning from each other: Creativity in East Asia and American education. Creative Research Journal, 17(3), 337-347. 

  32. Lim, W., & Plucker, J. (2001). Creativity through a lens of social responsibility: Implicit theories of creativity with Korean sample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5, 115-130. 

  33. Lubart, R. (1990) Creativity and cross-cultural var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25, 39-59. 

  34. MacKinnon, D.(1962). The nature and nurture of creative talent. American Psychologist, 17, 484-495. 

  35. McGregor, J., Arndt, M., Berner, R., Rowley, I., & Hall, K. (2006), The world's most innovative companies, Business Week, April 24, 62-74. 

  36. Mott, P. E. (1972).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organizations. New York: Harper & Row. 

  37. Niu, W., & Sternberg, R. J. (2002). Contemporary studies on the concept of creativity: The east and the west.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6, 269-288. 

  38. Paletz, S. & Peng, K. (2008). Implicit theories of creativity across cultures: Novelty and appropriateness in two product domain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9, 286-302. 

  39. Peng, K., Ames, D., & Knowles, E. (2001). Culture and human inference: Perspectives from three traditions. In D. Masumoto (Ed). Handbook of culture and psychology. 243-263.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0. Pinard, M. C., & Allio, R. J. (2005), Innovations in the classroom: improving the creativity of MBA students, Strategy & Leadership, 33(1), 49-51. 

  41. Plucker, J. (1999). The vineyard of measurement: Is the wine old? Are the bottles new? A review of advanced applications of curriculum-based measurement. Contemporary Psychology, 44, 197-199. 

  42. Richards, R. (1999). Everyday creativity. In M. A. Runco, & S. R. Pritzker(Ed.), Encyclopedia of Creativity. Academic Press. 

  43. Richards, R. (2007). Everyday creativity and new views of human natur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Press. 

  44. Rossiman, T., & Horn, J. (1971). Cognitive, motivational and temperamental indicants of creativity and intelligence.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9, 265-286. 

  45. Runco, M. A., & Johnson, D. J. (2002). Parents' and teachers' implicit theories of children's creativity: A cross-cultural perspectiv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4(3), 427-438. 

  46. Runco, M. A., & Richards, R. (Eds.). (1998). Eminent creativity, everyday creativity, and health. Norwood, NJ: Ablex. 

  47. Selden, G. L., & Vardis, H. (2005) Benchmarking survey on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MBA programs. Retrieved in http://www.creativefocus.net/WEBPDFs/Reportcardstudy-new.pdf 

  48. Shalley, C. E., Gilson, L. L., & Blum, T. C. (2000). Matching creativity requirements and the work environment: Effects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s to lea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2), 215-223 

  49. Sternberg, R. J. (1985).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creativity, and wisdo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 607 - 627. 

  50. Sternberg, R. J. (2003). WICS as a model of giftedness, High Ability Studies, 14(2), 109-138. 

  51.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4, 1-31. 

  52.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7), 677-688. 

  53. Unsworth. K. (2001). Unpacking creativity. The Acade my of Management Review, 26(2), 289-297. 

  54. Urban, K. K. (1995). Creativity: A component approach model. A paper presented at the 11th. World Conference in Hong Kong, July 31-Aug, 4, 1995. 

  55. Yue, X. D., & Rudowicz, E. (2002). Perception of the most creative Chinese by undergraduates in Beijing, Guangzhou, Hong Kong, and Taipei.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6, 88-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