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화되지 않은 생활하수 유입과 활발한 어패류 해상 양식으로 유기물 오염이 국지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가막만에서 다모류군집의 구조적 특성과 서식처 교란 정도에 따른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1999년 9월과 2000년 2월에 실시되었고 퇴적물의 입도, 유기물 함량, 산휘발성황화물, 용존산소 등을 포함한 저서환경과 대형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1999년 하계 조사에서 북서내만역과 국동항 인근정점의 표층퇴적물내 유기물 함량은 만의 중부나 입구역에 비해 최대 3배 가까이 높았다. 특히 해수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북서내만역의 저서환경은 빈산소 수괴 형성과 황화물의 고농도 발생에 의해 극도로 악화된 상태였다. 2000년 동계 조사에서 북서내만역의 용존산소농도는 정상적으로 회복된 상태였지만 표층퇴적물 내에는 여전히 많은 양의 유기물과 황화물이 존재하였다. 하계에 조사된 28개 정점 가운데 북서내만역의 5개 정점에서는 생물이 전혀 출현하지 않았으며 이를 제외한 23개 정점에서 총 119종의 다모류가 평균 900 $ind./m^2$의 밀도로 출현하였다. 전반적으로 종수는 만의 입구와 중앙부에서 높았고 개체 밀도는 유기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동항 인근과 만 입구의 가두리 양식장 근처에서 높았다. 하계 밀도 분포를 좌우한 우점종은 잠재적 유기물 오염 지표종인 Aphelochaeta monilaris와 Lumbrineris longifolia 등이었다. 동계에 조사된 북서내만역과 만 중부의 12개 정점에서는 총 81종의 다모류가 채집되었고 평균 개체 밀도는 2,802 $ind./m^2$로 하계에 비해 다소 증가한 양상이었다. 하계에 무생물구역이었던 정점들은 선소에 인접한 정점을 중심으로 Capitella capitat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와 Dipolydora socialis 등에 의해 우점되고 있었으며 만의 중상부와 중앙부에서는 Euchone alicaudata와 Praxillella affinis 등이 우점하였다. 하계와 동계 다모류군집 각각에 대한 다차원척도법(MDS) 분석 결과, 두 계절 모두 채집 정점의 지형학적 위치에 따라 그룹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그룹의 형성은 퇴적물 특성과 같은 자연적 요소보다는 빈산소수괴의 발생과 소멸, 유기물 함량의 상대적 농도 분포와 같은 교란적 요소의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서 인위적 교란의 정도가 가막만 전체에 분포하는 다모류군집의 구조적 특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in Gamak Bay where excessive organic matters from untreated sewage effluents and fish and shellfish farming activities have been accumulated in certain regions. Such en...

Keyword

참고문헌 (66)

  1. 김동명, 2003. 생태계모델을 이용한 가막만의 영양염 거동 특성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12(7): 745-751 

  2. 김동명, 2005. 가막만 COD 거동 및 분포 특성 평가를 위한 생태계 모델링. 한국환경과학회지, 14(9): 835-842 

  3. 김동선, 김상우, 2003. 진동만의 빈산소수괴 형성기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8(2): 177-186 

  4. 김동성, 제종길, 신상호, 2000. 가막만의 중형저서생물을 활용한 오염모니터링. 한국수산학회지, 33(4): 307-319 

  5. 김용현, 신현출, 임경훈, 2005. 남해안 여자만의 저서 다모류 군집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8(6): 399-412 

  6. 김정배, 이상용, 유준, 최양호, 정창수, 이필용, 2006.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4): 216-224 

  7. 김학균, 이삼근, 안경호, 윤성화, 이필용, 이창규, 조은섭, 김정배, 최희구, 김평중. 1998. 한국연안의 적조-최근 적조의 발생원인과 대책. 국립수산진흥원, 부산, 292pp 

  8. 노일현, 윤양호, 김대일, 박종식, 2006. 가막만 표층퇴적물중 유기물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1): 1-13 

  9. 마채우, 홍성윤, 임현식, 1995. 득량만의 저서동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8(5): 503-516 

  10. 박종식, 윤양호, 2003. 와편모조류 Cyst 분포에 의한 한국 남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1. 가막만 와편모조류 Cyst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6(2): 151-156 

  11. 박종식, 윤양호, 노일현, 2004.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에 의한 한국 남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2. 가막만 주상퇴적물 중 유기물 및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분포특성에 의한 해양환경변화 추정.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7(4): 164-173 

  12. 박흥식, 최진우, 이형곤, 2000. 통영 인근 가두리 양식장 지역의 저서동물군집 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3(1): 1-8 

  13. 신현출, 1995. 가막만의 저서다모류군집. 한국해양학회지, 30(4): 250-261 

  14. 신현출, 김용현, 2002. 득량만 저서다모류군집의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1): 20-31 

  15. 신현출, 윤성명, 고철환, 2001. 울산만과 온산만 저서동물군집의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6(3): 180-189 

  16. 윤양호, 2000.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특성 2. 수질환경과 엽록소 a량의 변동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9(5): 429-436 

  17. 이규형, 1992. 가막만의 해수유동 패턴.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8: 117-131 

  18. 이연규, 윤양호, 김종규, 한경호, 이규형, 신현출, 조현서, 최상덕, 이문옥, 2006. 가막만-자연환경과 산업. 국립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47pp 

  19. 이필용, 1993. 원문만에서 저산소 수괴의 출현과 계절적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26(4): 392-400 

  20. 임경훈, 신현출, 2005. 진해만 북부해역 저서다모류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환경생물학회지, 23(3): 238-249 

  21. 임현식, 박경양, 1998.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2. 여름철 빈산소 수괴의 출현과 저서동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1(3): 343-352 

  22. 임현식, 최진우, 2001. 남해안 소리도 주변 연성저질 해역의 저서동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4(3): 225-237 

  23. 임현식, 홍재상, 1997.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3.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0(2): 175-187 

  24. 임현식, 박흥식, 최진우, 제종길, 1999. 남해 앵강만 조하대 연성 저질 저서동물 군집. 한국해양학회지-바다, 4(1): 80-92 

  25. 임현식, 제종길, 최진우, 이재학, 1991. 여자만에서의 여름철 저서 동물의 분포. 해양연구, 13(2): 31-46 

  26. 임현식, 최진우, 제종길, 이재학, 1992. 진해만 양식장 밀집해역의 저서동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5(2): 115-132 

  27. 정래홍, 홍재상, 이재학, 1997.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 중 저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 및 계절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0(5): 730-743 

  28. 정래홍, 임현식, 김성수, 박종수, 전경암, 이영식, 이재성, 김귀영, 고우진, 2002. 남해안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4): 235-246 

  29. 최우정, 박청길, 이석모, 1994. 진해만의 빈산소 수괴 형성에 관한 수치실험. 한국수산학회지, 27(4): 413-433 

  30. 최진우, 유옥환, 이우진, 2003. 광양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하계 공간분포양상. 한국해양학회지-바다, 8(1): 14-28 

  31. 최진우, 서진영, 이창훈, 류태권, 성찬경, 한기명, 현상민, 2005. 남해특별관리해역인 마산만에서 동계 및 하계에 출현하는 대형 저서동물 군집의 공간분포 양상. Ocean and Polar Res., 27(4): 381-395 

  32. 해양수산부, 1998.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317pp 

  33. Caddy, J. 1993. Toward a comparative evaluation of human impacts on fishery ecosystems of enclosed and semi-enclosed seas. Rev. Fish. Sci., 1: 57-96 

  34. Cardoso, P.G., M.A. Pardal, A.I. Lillebo, S.M. Ferreira, J.C. Marques and D. Raffaelli, 2004. Dynamic changes of seagrass assemblages under eutrophication and implications for recovery. J. Exp. Mar. Biol. Ecol., 302: 233-248 

  35. Choi, J.W. and C.H. Koh, 1984.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19: 153-162 

  36. Clarke, K.R. and R.M. Warwick, 1994.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Plymouth Marine Laboratory, UK, 144 pp 

  37. Cloern, J.E., 2001. Our evolving conceptual model of the coastal eutrophication problem. Mar. Ecol. Prog. Ser., 210: 223-253 

  38. Como, S., P. Magni, D. Casu, A. Floris, G. Giordani, S. Natale, G.A. Fenzi, G. Signa and G. De Falco, 2007.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macrofauna distribution along a human-modified inlet in the Gulf of Oristano (Sardinia, Italy). Mar. Pollut. Bull., 54: 733-744 

  39. Conlan, K.E., S.L. Kim, H.S. Lenihan and J.S. Oliver, 2004. Benthic changes during 10 years of organic enrichment by McMurdo Station, Antarctica. Mar. Pollut. Bull., 49: 43-60 

  40. Diaz, R.J., 2001. Overview of Hypoxia around the World. J. Environ. Qual., 30(2): 275-281 

  41. Diaz, R.J. and R. Rosenberg, 1995. Marine benthic hypoxia: a review of its ecological effects and the behavioural responses of benthic macrofauna. Oceanogr. Mar. Biol. Annu. Rev., 33: 245-303 

  42. Diaz-Castaneda, V. and L.H. Harris, 2004. Bio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polychaete fauna from soft bottoms of Bahia Todos Santos, Baja California, Mexico. Deep-Sea Res. Part II, 51: 827-847 

  43.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J. Sediment. Petrol., 27: 3-26 

  44. Frouin, P., 2000. Effects of anthropogenic disturbances of tropical softbottom benthic communities. Mar. Ecol. Prog. Ser., 194: 39-53 

  45. Gray, J.S., R.S. Wu and Y.Y. Or, 2002. Effects of hypoxia and organic enrichment o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Mar. Ecol. Prog. Ser., 238: 249-279 

  46. Hong, J.S., 1987. Summer oxygen deficiency and benthic biomass in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J. Oceanol. Soc. Korea, 22: 246-256 

  47. Hong, J.S. and J.H. Lee, 1983. Effects of the pollution on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18(2): 169-179 

  48.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edited by Carver, R.E., Willey-Inter Science. pp. 49-67 

  49. Kang, S.W., 1991. Circulation and pollutant dispersion in Masan-Jinhae Bay of Korea. Mar. Pollut. Bull., 23: 37-40 

  50. Koo, B.J., J.G. Je and S.H. Shin, 2004. Benthic pollution assessment based o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Gama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26(1): 11-22 

  51. Lim. H.S., R.J. Diaz, J.S. Hong and L.C. Schaffner, 2006. Hypoxia and benthic community recovery in Korean coastal waters. Mar. Pollut. Bull., 52: 1517-1526 

  52. Lambshead, P.J.D., H.M. Platt and K.M. Shaw, 1983. The detection of differences among assemblages of marine benthic species based on an assessment of dominance and diversity. J. Nat. Hist., 17: 859-874 

  53. Morrisey, D.J., L. Howitt, A.J. Underwood and J.S. Stark, 1992. Spatial variation in soft-sediment benthos. Mar. Ecol. Prog. Ser., 81: 197-204 

  54. Nickell, L.A., K.D. Black, D.J. Hughes, J. Overnell, T. Brand, T.D. Nickell, E. Breyer and M.S. Harvey, 2003. Bioturbation, sediment fluxes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 around a salmon cage farm in Loch Creran, Scotland. J. Exp. Mar. Biol. Ecol., 285-286: 221-233 

  55. Paine, R.T. and S.A. Levin, 1981. Intertidal landscapes: disturbance and the dynamics of pattern. Ecol. Monogr. 51: 145-178 

  56.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 Rev., 16: 229-311 

  57. Petraitis, P.S., R.E. Latham and R.A. Niesenbaum, 1989. The maintenance of species diversity by disturbance. Q. Rev. Biol., 64: 393-418 

  58. Rhoads, D.C., 1974. Organism-sediment relations on the muddy sea floor. Oceanogr. Mar. Biol. Annu. Rev., 12: 263-300 

  59. Rosenberg, R., B. Hellman and B. Johansson, 1991. Hypoxic tolerance of marine benthic fauna. Mar. Ecol. Prog. Ser., 79: 127-131 

  60. Rosenberg, R., H.C. Nilsson and R.J. Diaz, 2001. Response of benthic fauna and changing sediment redox profiles over a hypoxic gradient. Estuar. Coast. Shelf Sci., 53: 343-350 

  61. Seliger H, J.A. Boggs and W.H. Biggley, 1985. Catastrophic anoxia in the Chesapeake Bay in 1984. Science 228: 70-73 

  62.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25pp 

  63. Shepard, F.P., 1954. Nomenclature based on sand-silt-clay ratios. J. Sediment. Petrol., 24: 151-158 

  64. Snelgrove, P.V.R. and C.A. Butman, 1994. Animal-sediment relationship revised: cause versus effect. Oceanogr. Mar. Biol. Annu. Rev., 32: 111-177 

  65. Sokal, R. and F.J. Rohlf, 1995. Biometry. Freeman, New York, 887pp 

  66. Tsutsumi, H., 1987. Population dynamics of Capitella capitata (Polychaeta; Capitellidae) in an organically polluted cove. Mar. Ecol. Prog. Ser., 36: 139-1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