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가막만의 2005년과 2006년 동계 저서환경 및 대형저서다모류군집구조
Benthic Environments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in the winter of 2005-2006 in Gamak Bay,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3 no.1, 2008년, pp.67 - 82  

윤상필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팀) ,  김연정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팀) ,  정래홍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팀) ,  문창호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홍석진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팀)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팀) ,  박종수 (국립수산과학원 환경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한 환경개선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막만에서 저서환경과 대형다모류 군집구조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는 2005년 2월과 2006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생물학적, 무생물학적 변수들을 측정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측정된 총 10개의 환경변수 가운데 연간 차이가 유의하였던 변수는 용존산소(DO), 강열감량(IL), 그리고 산휘발성황화물(AVS)이었다. 특히, 강열감량은 2005년에 비해 2006년에 1.5배, 산 휘발성황화물은 3배 낮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북부내만역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저서다모류는 두 번의 조사에서 총 95종이 채집되었다. 출현종수, 개체 밀도, 그리고 다양도의 연도 간 변화 양상은 만 내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북부내만역에서는 2005년 보다 오히려 2006년에 더 적은 수의 다모류가 채집되었지만 일부 우점종의 우점도가 2006년에 현저히 감소함으로써 다양도는 증가하였다. 반면, 만의 중부역에서는 출현종수, 개체 밀도, 그리고 다양도가 2006년에 모두 증가하였다. 만의 입구역에서는 이러한 변수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2005년의 우점종은 기회종 또는 유기물 오염지표종으로 알려진 Lumbrineris longifolia, Capitella capitata, Mediomastus californiensis,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등으로 주로 북부내만역에 분포하였다. 한편, 2006년에는 Euchone alicaudata, L. longifolia, Paraprionospio pinnata, Flabelligeridae sp. 등이 우점하였으며 주로 만 중앙부에 분포하는 종들이 많았다. 전체자료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저서다모류군집은 크게 5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이는 채집 정점의 지리적 위치 그리고 북부내만역 정점들에서 관찰된 2005년과 2006년 사이의 변화가 반영된 결과였다. BIO-ENV 분석을 통해 저서다모류군집의 시 공간적 구조 변화와 연관성이 가장 높은 환경변수를 알아본 결과, 단일변수로는 총유기탄소(TOC; ${\rho}=0.52$), 산휘발성황화물(${\rho}=0.49$) 등이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총유기탄소, 산휘발성황화물, 분급도, 그리고 수온의 조합(${\rho}=0.60$)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가막만의 저서환경 및 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연간 비교 결과는 최근의 집중적인 환경개선 노력이 만 전반에 걸쳐 그리고 특히 북부내만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in Gamak Bay where various environmental quality improvement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in recent years. Field surveys were carried out in February, 2005 and February, 2006 and twenty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한 환경개선사업이 이뤄지고 있는 무엇에서 어떤 것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연구인가?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한 환경개선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막만에서 저서환경과 대형다모류 군집구조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는 2005년 2월과 2006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생물학적, 무생물학적 변수들을 측정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총 20개 정점을 선정한 이유는? 가막만의 동계 저서환경과 다모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20개 정점을 선정하고 2005년 2월과 2006년 2월에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Fig. 1).
그간 빈산소 수괴 형성과 함께 가막만의 북부내만역에서 가장 문제시 되어오던 유기물 오염(신, 1995; Koo et al., 2004; 노 등, 2006; 윤 등, 2007) 상황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며 이 문제에 주목하고자 한 이유는? 본 연구가 수행된 시기(2005년과 2006년)는 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환경개선사업들이 집중된 시기로서 그 동안 가막만에서 수행되어오던 환경개선사업들이 마무리되거나(준설과 어장정화사업) 또는 새롭게 시작되는(어장정화사업과 하수종말처리장) 중요한 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간 빈산소 수괴 형성과 함께 가막만의 북부내만역에서 가장 문제시 되어오던 유기물 오염(신, 1995; Ko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정배, 이상용, 유준, 최양호, 정창수, 이필용, 2006.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4): 216-224 

  2. 노일현, 윤양호, 김대일, 박종식, 2006. 가막만 표층퇴적물중 유기 물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1): 1-13 

  3. 박용안, 1984. 광양만의 퇴적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9(1): 82-88 

  4. 신현출, 1995. 가막만의 저서다모류군집. 한국해양학회지, 30(4): 250-261 

  5. 윤상필, 정래홍, 김연정, 김성수, 이재성, 박종수, 이원찬, 최우정, 2007. 가막만의 저서환경과 다모류군집 특성.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2(4): 287-304 

  6. 이규형, 1992. 가막만의 해수유동 패턴.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8(2): 117-131 

  7. 이규형, 조규대, 1990. 가막만의 수온과 염분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3(1): 25-39 

  8. 이연규, 황진연, 정규귀, 1995. 가막만 표층퇴적물 특성 및 점토 광물. 한국지구과학회지, 16(6): 477-488 

  9. 해양수산부, 2001. 환경관리해역 시범해역관리 시행계획 수립연구 -가막만 환경보전해역 관리시행계획(안) 

  10. 해양수산부, 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389pp. 

  11. Belan, T.A., 2003. Benthos abundance pattern and species composition in conditions of pollution in Amursky Bay (the Peter the Great Bay, the Sea of Japan). Mar. Pollut. Bull., 46: 1111-1119 

  12. Beukema, J.J., 1991. Changes in composition of bottom fauna of a tidal-flat area during a period of eutrophication. Mar. Biol., 111: 293-301 

  13. Borja, A., I. Muxika and J. Franco, 2006. Long-term recovery of soft-bottom benthos following urban and industrial sewage treatment in the Nervin estuary (southern Bay of Biscay). Mar. Ecol. Prog. Ser., 313: 43-55 

  14. Brown, J.R., R.J. Gowen and D.S. McLusky, 1987. The effect of salmon farming on the benthos of a Scottish sea loch. J. Mar. Biol. Ecol., 109: 39-51 

  15. Clarke, K.R. and M. Ainsworth, 1993. A method for linking multivariate community structure to environmental variables. Mar. Ecol. Prog. Ser., 92: 205-209 

  16. Clarke, K.R. and R.M. Warwick, 1994.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Plymouth Marine Laboratory, UK, 144 pp 

  17.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J. Sediment. Petrol., 27: 3-26 

  18. Gowen, R.J. and N.B. Bradbury, 1987. The ecological impact of salmonid farming in coastal waters: a review. Oceanogra. Mar. Biol. Annu. Rev., 25: 563-533 

  19. Gray, J.S., R.S. Wu and Y.Y. Or, 2002. Effects of hypoxia and organic enrichment o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Mar. Ecol. Prog. Ser., 238: 249-279 

  20.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edited by Carver, R.E., Willey-Inter Science. pp. 49-67 

  21. Karakassis, I., E. Hatziyanni, M. Tsapakis, and W. Plaiti, 1999. Benthic recovery following cessation of fish farming: a series of successes and catastrophes. Mar. Ecol. Prog. Ser., 184: 205-218 

  22. Koo, B.J., J.G. Je and S.H. Shin, 2004. Benthic pollution assessment based o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Gama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26(1): 11-22 

  23. Kraufvelin P., B. Sinisalo, E. Leppkoski, J. Mattila and E. Bonsdorff, 2001. Changes in zo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fter pollution abatement from fish farms in the Archipelago Sea (N. Baltic Sea). Mar. Environ. Res., 51: 229-245 

  24. Lambshead, P.J.D., H.M. Platt and K.M. Shaw, 1983. The detection of differences among assemblages of marine benthic species based on an assessment of dominance and diversity. J. Nat. Hist., 17: 859-874 

  25. Munari, C., S. Modugno, F. Ghion, G. Castaldelli, E.A. Fano, R. Rossi and M. Mistri, 2003. Recovery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Valli di Comacchio, northern Adriatic Sea, Italy. Oceanol. Acta, 26: 67-75 

  26.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 Rev., 16: 229-311 

  27. Pereira P.M.F., K.D. Black, D.S. McLusky and T.D. Nickell, 2004. Recovery of sediments after cessation of marine fish farm production. Aquaculture, 235: 315-330 

  28. Rosenberg, R., 1976. Benthic faunal dynamics during succession following pollution abatement in a Swedish estuary. Oikos, 27: 414-427 

  29. Rosenberg, R., S. Agrenius, B. Hellman, H.C. Nilsson and K. Norling, 2002. Recovery of marine benthic habitats and fauna in a Swedish fjord following improved oxygen conditions. Mar. Ecol. Prog. Ser., 234: 43-53 

  30. Savage, C., R. Elmgren, and U. Larsson, 2002. Effects of sewagederived nutrients on an estuarine macrobenthic community. Mar. Ecol. Prog. Ser., 243: 67-82 

  31.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25pp 

  32. Shepard, F.P., 1954. Nomenclature based on sand-silt-clay ratios. J. Sediment. Petrol., 24: 151-158 

  33. Simboura, N., A. Zenetos, P. Panayotidis and A. Makra, 1995. Changes i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along a environmental pollution gradient. Mar. Pollut. Bull., 30: 470-474 

  34.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35. Smith, J. and S.E. Shackley, 2006. Effects of the closure of a major sewage outfall on sublittoral, soft sediment benthic communities. Mar. Pollut. Bull., 52: 645-658 

  36. Tapp, J.F., N. Shillabeer and C.M. Ashman, 1993. Continued observations of the benthic fauna of the industrialised Tees estuary, 1979-1990. J. Exp. Mar. Biol. Ecol., 172: 67-80 

  37. Warwick, R.M., 1993. Environmental impact studies on marine communities: pragmatical considerations. Aust. J. Ecol., 18: 63-80 

  38. Weston, D.P., 1990. Quantitative examina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changes along an organic enrichments gradient. Mar. Ecol. Prog. Ser., 61: 233-2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