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슬 추출물의 Clostridium difficile에 대한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9 no.5 = no.195, 2007년, pp.564 - 568  

정선미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  최수임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  박상민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  허태련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장염 유발균인 C, difficile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항균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40여 가지 생약재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C. difficile에 대한 생육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우슬, 희첨, 황백은 1,000 ppm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우슬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AJNEA)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의 최소저해농도(MIC)는 $625{\mu}g/mL$였다. 또한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JNEA의 유산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B. longum, L. helveticus와 S. thermophilus를 제외한 나머지 균주들에 대해서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우슬 추출물은 C. difficile 관련 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제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thanolic extracts of 40 specie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were examin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Among the 43 screened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Achyranthes Japonica Nakai (AJN), 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 and Phelloedend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ifficilee 대한 생장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장내 유익균인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새로운 C. difficile 치료제 또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장염 유발균인 C. difficilee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한 천연항균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40여 가지 생약재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C. difficile 대한 생육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우슬, 희첨, 황백은 1,000 ppm 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우슬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AJNEA) 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의 최소저해농도(MIC)는 625 pg/mL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항염증 및 항균 효과가 알려진 40여 가지의 생약재를 선정하여 대장염의 원인균인 C. difficile 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고,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낸우슬에 대하여 C. difficilee 대한 생장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장내 유익균인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새로운 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elly CP, Pothoulakis C, Lamont JT. Clostridium difficile colitis. New Engl. J. Med. 330: 257-262 (1994) 

  2. McFarland LV, Mulligan ME, Kwok RY, Stamm WE. Nocosomial acquisi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New Engl. J. Med. 320: 204-210 (1989) 

  3. Bartlett JG. Clostridium difficile: history of its role as an enteric pathogen and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about the organism. Clin. Infect. Dis. 18: 5265-5275 (1994) 

  4. Cartmill TD, Panigrahi H, Worsley MA, McCann DC, Nice CN, Keith E. Management of diarrhoea due to Clostridium difficile. J. Hosp. Infect. 27: 1-15 (1994) 

  5. Freeman J, Wilcox MH. Antibiotics and Clostridium difficile. Microbes Infect. 1: 377-384 (1999) 

  6. Ackermann G, Loffler B, Tang-Feldman YJ, Cohen SH, Silva J, Rodloff AC. Cloning and expression of Clostridium difficile toxin A gene(tcdA) by PCR amplication and use of an expression vector. Mol. Cell. Probe 18: 271-274 (2004) 

  7. Pothoulakis C. Effect of Clostridium difficile toxins on epithelial cell barrier. Ann. NY Acad. Sci. 915: 347-356 (2000) 

  8. Anderson TL, McGregor A. Evaluation of the clearview Clostridium difficile toxin A test and various selective culture media in comparison with the cytotoxin assay for the diagnosis of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arrhoea. Pathology 35: 244-247 (2003) 

  9. Lyerly DM, Saum KE, Macdonald DK, Wilkins TD. Effects of Clostridium difficile toxins given intragastrically to animals. Infect. Immun. 47: 349-352 (1985) 

  10. Lee JY, Yoon YM, Roh HC, Kim JM. Nuclear factor-kappa B activation and chemokine genes expression in HT-29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n response to Clostridium difficile toxin A stimulation. J. Bacteriol. Virol. 35: 217-226 (2005) 

  11. Marcone MF, Jahaniaval F, Aliee H, Kakuda Y.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chyranthes bidentata seed. Food Chem. 81: 7-12 (2003) 

  12. Kiso Y, Suzuki Y, Konno C, Hikino H, Hashimoto I, Yagi Y. Liver-protective drugs. 3. The viability of the oriental medicines, 38. Application of cart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lesion in mice for screening of liver protective crude drugs. Shoyakugaku Zasshi 36: 238-244 (1982) 

  13. Shimomura H, Sashida Y, Nakata H. Plant growth regulating activities of crude drugs and medicinal plants. Shoyakugaku Zasshi 35: 173-179 (1981) 

  14. Kim JC, Choi GJ, Lee SW, Kim JS, Chung KY, Cho KY. Screening extracts of Achyranthes japonica and Rumex crispus for activity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ic fungi and control of powdery mildew. Pest Manag. Sci. 60: 803-808 (2004) 

  15. Son KH, Hwang JH, Lee SH, Park JH, Kang SJ, Chang SY, Lee KS.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20-hydroxyecdysone from Achyranthes radix. Korean J. Pharmacogn. 30: 335-339 (1999) 

  16. Gavidson PH, Parish ME.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Chicago 43: 148-152 (1989) 

  17. Shin DH, Kim MS, Han JS.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ir fractionates against foodborn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08-816 (1997) 

  18. Cai H, Choi SI, Lee YM, Heo TR. Antimicrobial effects of herbal medicine extracts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537-542 (2002) 

  19. Park MG, Jeong GS, In MJ.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20- 426 (2004) 

  20. D'Souza AL, Rajkumar C, Cooke J, Bulpitt J. Probiotics in prevention of antibiotic-associated diarrhoea: meta analysis. Brit. Med. J. 324: 1361-1364 (2002) 

  21. Surawicz CM. Probiotics, antibiotic-associated diarrhoea and Clostridium difficile diarrhoea in human. Best Pract. Res. Cl. Ga. 17: 775-783 (2003) 

  22. Tasteyre A, Barc MC, Karjalainen T, Bourlioux P, Collignon A. Inhibition of in vitro cell adherence of Clostridium difficile by Saccharomyces boulardii. Microb. Pathogenesis 32: 219-225 (2002) 

  23. Van-Niel CW, Feudtner C, Garrison MN, Christakis DA. Lactobacillus therapy for acute infectious diarrhoea in children: a meta analysis. Pediatrics 109: 678-684 (2002) 

  24. Araki T, Shinozaki T, Irie Y, Miyazawa Y. Trial of oral administration of Bifidobacterium breve for the prevention of rotavirus infection. Kansenshogaku Zasshi 73: 305-310 (1999) 

  25. Lee YJ, Yu WK, Heo TR. Identification and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of Bifidobacterium and Lacto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heathy infant faeces. Int. J. Antimicrob. Ag. 21: 340-246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