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등온증폭법을 이용한 Clostridium difficile 검출
Detec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9, 2012년, pp.1326 - 1330  

인예원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하수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양승국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세욱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LAMP)을 이용하여 Clostridium difficile을 검출하고자 하였다. LAMP 수행을 위하여 선택적인 타깃 유전자로 C. difficile의 16S ribosomal RNA를 타깃으로 하여 primer set를 구성하였다. 5개의 primer set(BIP, FIP, B3, F3, LF, PF)를 이용하여 TcdA와 TcdB toxin이 모두 양성인 균주, TcdA와 TcdB toxin이 모두 음성인 균주와 식품 분리균주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LAMP는 80분 이내의 시간이 필요하며 thermocycler와 같은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결과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생산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method for the detec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The tested target gene was 16S ribosomal RNA. Five different LAMP primer sets were designed, and LAMP was performed. All primer sets targeting the 16S rRNA gene (B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LAMP)을 이용하여 Clostridium difficile을 검출하고자 하였다. LAMP 수행을 위하여 선택적인 타깃 유전자로 C.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식중독 균으로 인정되고 있는 C. difficile에 대하여 LAMP에 의한 검출가능성을 타진하고자 16S rRNA 유전자를 타깃으로 하는 서로 다른 primer set를 구성하여 검출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ID of primer sets tested. 3)Strain was isolated from beef.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lostridium difficile이 햄버거 패티 등을 조리 시 일반적인 조리시간이나 온도에 사멸되지 않고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원인 식품으로는 고기, 야채, 즉석식품 등 다양한 식품이 제시되고 있다(9,10). 또한 C. difficile은 열 저항을 가지는 포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햄버거 패티 등을 조리 시 일반적인 조리시간이나 온도에 사멸되지 않고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조리된 즉석편의 식품이나 냉장 식품, 샐러드에서도 포자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germinate 되어 CDAD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다(11,12).
Clostridium difficile이란 무엇인가? Clostridium difficile은 혐기성 그람 양성 간균으로 아포를 생성하며 설사 입원 환자의 주요한 원인균이다. 1978년 항생제와 연관된 C.
염기서열 분석에 이용되는 유전자는 무엇이 있는가? 염기서열 분석은 미생물 동정의 최종적인 방법이 되며 이 때 이용되는 유전자는 16S rRNA, 16S-23S rRNA ITS(internally transcribed spacer), 65 kDa heat-shock protein gene(hsp65), RNA polymerase-subunit gene(rpoB)이다(13). 이 중 16S rRNA 유전자는 모든 박테리아에 존재하며 보존부위 및 변이부위를 가지고 있어 미생물 계통분류에 이상적인 유전자로 미생물 동정에도 많이 연구되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arson HE, Price AB, Honour P, Borriello SP. 1978. Clostridium difficile and the aetiology of pseudomembranous colitis. Lancet 1: 1063-1066. 

  2. Lee YJ, Choi MG, Lim CH, Jung WR, Cho HS, Sung HY, Nam KW, Chang JH, Cho YK, Park JM, Kim SW, Chung IS. 2010. Change of Clostridium difficile colitis during recent 10 years in Korea. Korean J Gastroenterol 55: 169-174. 

  3. Ricciardi R, Rothenberger DA, Mandoff RD, Baxter NN. 2007. Increasing prevalence and severity of Clostridium difficile colitis in hospitalized 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Arch Surg 142: 624-631. 

  4. Pepin J, Valiquette L, Cossette B. 2005. Mortality attributable to nosocomial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sease during an epidemic caused by hyper virulent strain in Quebec. CMAJ 173: 1037-1042. 

  5. Tae CH, Jung SA, Song HJ, Kim SE, Choi HJ, Lee M, Hwang Y, Kim H, Lee K. 2009. The first case of antibiotic-associated colitis by Clostridium difficile PCR ribotype 027 in Korea. J Korean Med Sci 24: 520-524. 

  6. O'Connor JR, Johnson S, Gerding DN. 2009.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aused by the epidemic BI/NAP1/027 strain. Gastroenterology 136: 1913-1924. 

  7. Rodriguez-Palacios A, Staempfli HR, Duffield T, Weese JS. 2007. Clostridium difficile in retail ground meat, Canada. Emerg Infect Dis 13: 485-487. 

  8. Songer JG. 2004. The emergence of Clostridium difficile as a pathogen of food animals. Anim Health Res Rev 5: 321-326. 

  9. McDonald LC. 2009. Surveillance for Disease and Sources of Infection: Initiatives at the Federal Level and International. Division of Healthcare Quality Promotio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tlanta, GA, USA. 

  10. FDA. 2010. Draft Guidance for Industry an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ff-Establish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In Vitro Diagnostic Devices for the Detec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November 29, 2010.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ew Hampshire, MD, USA. 

  11. Gould LH, Limbago B. 2010. Clostridium difficile in food and domestic animals: a new foodborne pathogen? Clin Infec Dis 51: 577-582. 

  12. Lawley R. Clostridium difficile-a food safety hazard? http://www.foodsafetywatch.com/public/617.cfm 

  13. Patel JB, Leonard DG, Pan X, Musser JM, Berman RE, Nachamkin I. 2000. Sequence-based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um species using the MicroSeq 500 16S rDNA bacterial identification system. J Clin Microbiol 38: 246-251. 

  14. Harmsen D, Rothganger J, Frosch M, Albert J. 2002. RIDOM: Ribosomal differentiation of medical microorganisms database. Nucleic Acids Res 30: 416-417. 

  15. Lemee L, Dhalluim A, Testelin S, Mattrat MA, Maillard K, Lemeland JF, Pons JL. 2004. Multiplex PCR targeting tpi (triose phosphate isomerase), tcdA (toxinA), and tcdB (toxin B) genes for toxigenic culture of Clostridium difficile. J Clin Microbiol 42: 5710-5714. 

  16. Matamouros S, England P, Dupuy B. 2007. Clostridium difficile toxin expression is inhibited by the novel regulator TcdC. Mol Microbiol 64: 1274-1288. 

  17. Braun V, Hundsberger T, Leukel P, Sauerborn M, von Eichel-Steiber C. 1996. Definition of the single integration site of the pathogenicity locus in Clostridium difficile. Gene 181: 29-38. 

  18. Cohen SH, Tang YJ, Silva J Jr. 2000. Analysis of the pathogenicity locus in Clostridium difficile strains. J Infect Dis 181: 659-663. 

  19. Mori Y, Nagamine K, Tomita N, Notomi T. 2001. Detection of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eaction by turbidity derived from magnesium pyrophosphate format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289: 150-154. 

  20. Notomi T, Okayama H, Masubuchi H, Yonekawa T, Watanabe K, Amino N, Hase T. 2000.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of DNA. Nucl Acid Res 28: e63. 

  21. Kato H, Yokoyama T, Kato H, Arakawa Y. 2005. Rapid and simple method for detecting the toxin B gene of Clostridium difficile in stool specimens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J Clin Microbiol 43: 6108-6112. 

  22. Noren T, Alriksson I, Andersson J, Akerlund T, Unemo M. 2011. Rapid and sensitive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test for Clostridium difficile detection challenges cytotoxin B cell test and culture as gold standard. J Clin Microbiol 49: 710-7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