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삼 가공중 azoxystrobin, fenhexamid 및 cyprodinil농약의 감소율
Reduction Rate of Azoxystrobin, Fenhexamid and Cyprodinil during Ginseng Processing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9 no.5 = no.195, 2007년, pp.575 - 579  

임무혁 (식품의약품안전청) ,  권광일 (식품의약품안전청) ,  박건상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이경진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장문익 (식품의약품안전청) ,  윤원갑 (서울향료(주)) ,  최우종 (식품의약품안전청) ,  유광수 (식품의약품안전청) ,  홍무기 (식품의약품안전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홍삼 및 농축액의 합리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을 위한 과학적인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인삼 재배 시에 사용 등록된 농약 3종(azoxystrobia, fenhexamid, cyprodinil)을 인삼포에 직접 살포하여 수확한 수삼을 홍삼과 농축액으로 직접 제조하였다. 수확한 수삼에 azoxystrobin 0.12 ppm, fenhexamid 0.19 ppm, cyprodinil 1.78 ppm이 잔류하였으며 농약이 잔류된 수삼을 원료로 홍삼 및 농축액으로 가공하여 각 제품의 농약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fenhexamid의 경우 홍삼에 0.54 ppm, 홍삼농축액에서 1.93 ppm이 잔류하였다. Azoxysoobin은 홍삼에서 0.24 ppm, 홍삼농축액에서 0.81 ppm이 잔류하여 가공단계를 거치면서 증가하였다. 그러나 cyprodinil의 경우 1.78 ppm이 잔류된 수삼이 홍삼으로 가공되면서 1.49 ppm으로 감소하였으나 홍삼농축액에서는 3.66 ppm으로 증가하였다. 농약이 잔류된 수삼을 이용하여 홍삼과 농축액 제조시 azoxystrobin, fenhexamid, cyprodinil의 감소계수(dry base)는 홍삼에서 0.66, 0.94, 0.28, 홍삼농축액에서 3.25, 4.94, 1.01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cquire scientific data for establishing the maximum residue limits (MRLs) of pesticides in Korean red ginseng and its extract. Pesticides (azoxystrobin, fenhexamid, cyprodinil) were applied to a cultivated field of ginseng, and the fresh ginseng was harvested and proc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10>를 제외하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삼 재배시 사용되는 농약 3종(Miex- amid, azoxystrobin, cyprodinil)에 대하여 홍삼 및 홍삼농축액으로가공중 잔류된 농약의 변화를 조사하고, 연구결과를 과학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홍삼 및 농축액의 합리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을 위한 과학적인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인삼 재배 시에 사용 등록된 농약 3종(azoxystrobin, fenhexamid, cyprodinil)을 인삼포에 직접 살포하여 수확한 수삼을 홍삼과 농축액으로 직접 제조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러나 당시에 설정된 diaanon 등 11종 농약은 가공 시에도 잘 분해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9)이었으나 이후에 새롭게 등록된 농약들은 쉽게 분해되는 농약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기준 적용원칙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적용원칙은 잔류된 농약이 분해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가공과정 중 단순한 수분 증감에 따른 계수를 적용하였다. 수삼을 이용하여 건삼과 농축액을 제조할 경우 잔류 된 농약의 상당량이 감소된다는 연구 결과(10)를 볼 때 홍삼 및 농축액 제조공정에서 상당량이 분해되거나 제거되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AF. Ginseng Industry Act. Notification No. 1238.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ry Republic of Korea. Gwacheon, Korea (1996) 

  2. KFDA. Health Functional Foo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45-55 (2006) 

  3. Roh SW, Kim HH, Ku YC, Jo JS, Pyon JY.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s in ginseng gardens in Korea. Korean J. Weed Sci. 22: 350-358 (2002) 

  4. Kim HK, Lee KS. Effect of coverings on the growth of ginseng and the persistency of procymidone in growing soils. Korean J. Environ. Agric. 21: 24-30 (2002) 

  5. Park CG, Seo YT, Lee JG, Han TS, Kang KY, Kim G, Kim YH, No KB, Ryu KJ, Moon YH, Son HJ, You JH, Lee KS, Lee SK, Lee YD, Heo JH, Hwang YC. Biochemistry and Uses of Pesticide. Shinil Book Publication, Seoul, Korea. pp. 10-30 (1994) 

  6. Joint FAO/WHO meeting on pesticide residues, Pesticide residues in food - Toxicological and environmental core assessment groups. Rome, Italy (1995) 

  7. MHW. Notification No. 1995-4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Korea (1995) 

  8. KFDA. Foo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149 (2004) 

  9. Kim TK, Kim JE. Extra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ginseng by microwave. J. Food Hyg. Saf. 14: 365-371 (1999) 

  10. Im MH, Kwon KI, Park KS, Choi DM, Chang MI, Jeong JY, Lee KJ, Yun WK, Hong MK, Woo GJ. Study on reduction factors of residual pesticides in processing of ginseng (I). Korean J. Pesticide Sci. 10: 22-27 (2006) 

  11. KCPA. Safe Use Standards of Pesticides.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Seoul, Korea (2004) 

  12. KFDA. Notification No. 2006-1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6) 

  13. Yang SJ, Woo Ks, Yoo JS, Noh YH, Lee JS, Jeong HS. Change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with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21-525 (2006) 

  14. Ha DC, Lee JW, Do JH, Park CK, Ryu GH. Drying rate and physicochemical charateristics of dried ginseng root at different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41-746 (2004) 

  15. Ha DC, Ryu GH. Chemical components of red, white, and extruded root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47- 254 (2005) 

  16. Sung HS, Yang CB. Effect of ethanol concentration on saponin composition of red ginseng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227-231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