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 대파의 잔류농약 가공 및 감소계수 연구
On the Processing and Reduction Factors of Several Pesticides with Welsh Onion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3 no.4, 2009년, pp.249 - 255  

박소연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강혜림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고광용 (CJ 제일제당 식품안전 센터) ,  길근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임무혁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국) ,  이규승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우리나라에서 파에 등록되어 사용중인 농약 중 pyridalyl, kresoxim-methyl, spinosad, flufenoxuron, difenoconazole, metconazole, tebufenozide를 시험농약으로 하여 건조계수와 가공계수를 구하기 위해 파에 대한 2군데 포장시험을 수행하여 $60^{\circ}C$에서 건조한 후 건조 전후 차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고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파의 평균 수분 함량은 건조 전은 89.3%, 건조 후는 10.2%이였으며, 2포장의 평균 가공계수는 pyridalyl은 7.24, kresoxim- methyl은 2.85, spinosad은 7.43, flufenoxuron은 3.17, difenoconazole은 4.38, metconazole은 2.40, tebufenozide은 8.13으로 나타났고, 2포장의 평균 감소계수는 pyridalyl은 0.87, kresoxim-methyl은 0.35, spinosad은 0.88, flufenoxuron은 0.38, difenoconazole은 0.52, metconazole은 0.29, tebufenozide 0.98로 나타나 전반적인 농약잔류량은 건조하는 과정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calculate the processing and reduction factor between fresh and dry Welsh onion which was widely used as a dried agricultural ingredient of food in Korea. 7 pesticides such as pyridalyl, kresoxim-methyl, spinosad, flufenoxuron, difenoconazole, metconazole, and tebufenozide were test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 파에 사용되는 17성분을 제외한 농약 대부분이 MRL 설정 되어 있지 않은 것이 많아 건조농산물 중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가공 과정 중에 감소, 농축에 의하여 실제로 섭취하게 되는 농약의 양을 정확하게 알려면 가공과정 중의 농약의 가공 및 감소계수를 고려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가공 농산물 중의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공 및 감소계수를 산출하여 실제 섭취되는 건조농산물 중에서의 잔류농약 농도를 알아보고 과학적인 가공 및 감소계수 산출 연구를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 사용 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농업에서 농약의 사용은 작물의 해충이나 병, 잡초의 방제에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식량증산은 물론 농산물의 품질 향상과 노동력 절감에 의한 생산비 저하에 중요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농약은 병균, 해충, 잡초 등 생물을 방제하는 역할로 합성화합물에 따라 차이가 있을 뿐 자체 고유독성을 가지고 있다.
건조농산물의 농약 잔류량 기준에 대하여 문제가 되는 부분은 무엇인가? 또한 건조채소류는 과거에는 자연산 채취에 의존하였으나, 자생지의 식생 변화에 의한 채취량 감소와 채취인력 부족 및 기피에 의해 재배위주로 공급형태가 전환되고 있으며,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재배면적도 급증하고 있다(Hong et al, 1999). 이러한 건조 농산물에 대한 관심과 수요 증가가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농약잔류허용 기준은 신선농산물 위주로 되어 있으며, 건조농산물은 고추, 양파, 파, 당근, 무(뿌리), 마 등 10작물에 대하여 50성분의 농약에 대한 기준만 설정된 실정이다(식품공전, 2009). 건조농산물에 대한 잠정기준원칙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건조농산물 중에서는 신선농산물의 기준에 수분함량의 감량을 고려하여 적용하고 있다(식품공전, 2009).
농약 살포의 문제점은? 하지만 농약은 병균, 해충, 잡초 등 생물을 방제하는 역할로 합성화합물에 따라 차이가 있을 뿐 자체 고유독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농약을 살포하거나, 농약이 살포된 포장이나 시설에서 작업하는 농민에 대한 위해성은 물론이고 잔류농약이 과다하게 존재하는 농산물이나 식품을 장기간 섭취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건강 위해성을 초래할 수도 있다. 더구나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한 소비자의 식생활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와 사시사철 각종 채소 과일을 섭취할 수 있고 이러한 농산물을 가공한 다양한 가공식품이 크게 증가하면서 식품의 잔류농약 오염과 같은 안전성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김 등,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im, K. I., Kim, H. T., Kyung, K. S., Jin, C. W., jeong, C. H., Ahn, M, S., Sim, S. W., Yun, S. S., Kim, Y. J., Lee, K. G., Lee, K. D., Lee, W. J. and Lim, J. B. (1998) Monitoring of pesticides of red pepper with time and drying mehtods. Jour, Agr. Sci. Chungbuk Nat'l Univ 15, 23-27 

  2. Hong J. G., Ham S. S., Park C. H., Jang G. J., Kim W. B., (1999)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Wild Edible Greens Jinsol, Seoul, Korea. 5-26 

  3. 경기성 (2006) 건조농산물 감소게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보고서 

  4. 국민영양조사결과보고서 (1998) 보건 복지부 

  5. 김광일, 김흥태, 경기성, 진충우, 정찬희, 안명수, 심석원, 윤상순, 김윤정, 이광구, 이기두, 이원재, 임정빈(2006) 충북지역 산지 고추와 유통 고춧가루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농약과학회지 10(1):15-21 

  6. 김정한, 심재한 (2004) 농산물별 농약감소지수 산출 연구, 식약청연구보고서 8-2권 

  7. 농림부 (2006) 농림부 통계자료, 2005 채소류가공현황 

  8. 식품의 농약잔류허용기준 (고시 2008-80호 포함)(2009.02.05) 

  9. 농약과학지침서. 한국작물보호협회. 2007 

  10. 서희재 (1997) 고추가공중의 잔류농약 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식품공전, 별책 7. 일반시험법, p.3, 식품의약품안전청, 2002 

  12. 식품공전 (2009) 

  13. 이은영, 노현호, 박영순, 강경원, 이광헌, 박효경, 권찬혁, 임무혁, 경기성 (2009) 구기자와 대추 중 잔류농약의 건조에 따른 가공계수 및 감소계수. 농약과학회지 13(3):159-164 

  14. 임무혁, 권광일, 박건상, 최동미, 장문익, 정지윤, 이경진, 유원갑, 홍무기, 우건조 (2006) 인삼 가공 중 잔류농약의 감소계수 연구. 농약과학회지 10(1):22-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