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청북도 청주시 것대산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Geotdae, Cheongju-si, Chungcheongbuk-do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0 no.5, 2007년, pp.451 - 460  

정태영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박철하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윤희빈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이귀용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안찬기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이경수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김경태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우성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유주한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것대산에는 79과 199속 266종 35변종 5품종 등 총 306분류군의 식물이 조사되었다. 남사면부에는 붉은병꽃나무, 참빗살나무, 황새냉이, 붉나무, 때죽나무, 작살나무, 길마가지나무, 올괴불나무 등이, 북사면의 경우 아까시나무, 떡갈나무, 밤나무, 갈참나무, 뽕나무, 생강나무, 회잎나무, 노린재나무, 미나리아재비, 점나도나물, 세잎양지꽃이 조사되었다. 성상별 분포의 경우 교목류는 굴참나무, 가죽나무 등 27분류군, 아교목류는 오리나무, 산뽕나무 등 29분류군, 관목류은 싸리, 개암나무 등 47분류군, 초본류는 각시붓꽃, 대사초 등 173분류군, 덩굴류는 인동, 청미래덩굴 등 3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호랑버들 등 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귀화식물은 오리새 등 총 16분류군이었다. 자연파괴도와 귀화율은 약 6.0%, 5.2%로 분석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승마, 물박달나무, 붉은병꽃나무, 홀아비꽃대 등 26분류군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struct the data base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offer the raw data for obtaining the genetic resources.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06 taxa; 79 families, 199 genera, 266 species, 35 varieties and 5 form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7 taxa; S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충청북도 청주시 것대산 일대 분포하는 식물상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산림생태계 내 유전자원 보전의 기초 자료 제공과 더불어 생물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중요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rgin, T.M., L.B. Best, K.E. Reemark and K.J. Koehler. 2000. Effects fo landscape structure on nest predation in roadsides of a midwestern agroecosystem: a multiscale analysis. Landscape Ecology 15: 131- 143 

  2. Chungcheongbuk-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2001. The native plants in Mt. Baekwoon & Mt. Bakdal pp. 218 (in Korean) 

  3. Cowling, R.M. and M.J. Samways. 1995 Predicting global patterns of endemic plant species richness. Biodiversity Letters 2: 127- 131 

  4. Kang, S.J. and A.K. Kwak. 1998. Study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Chungcheongbuk-province. J. Kor. Biota 3: 1-55 (in Korean) 

  5.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Korean J. Environ. Biol. 18(1): 163-198 (in Korean) 

  6. Kim, T.W., S.H. Chun, K.H. Kand and J.I. Jeon. 1993. Flora of Mt. Choryong, Mt. Baekhwa and Mt. Gunja in Kwesangun, Chungchongbukdo. Seoul Nat'l Univ., Coll. of Agric. and Life Sciences, Bull. of the Kwanak Arb. 13: 37-62 (in Korean) 

  7.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4.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Plan for Abating the Threats from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pp. 326 (in Korean) 

  8. Kwon, H.G., W.S. Shin and J.J. Kim. 2003. The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urban forest benefits using delphi survey method. J. Korean For. Soc. 92(4): 355-361 

  9. Lee, H.S. 1991. Flora of vascular plants on Mt. Uam. The Bulltein of Institute of Basic Science Seowon University 4: 11-32 (in Korean) 

  10. Lee, H.S. 1994.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on the Mt. Uam. The Bulltein of Institute of Basic Science Seowon University 8: 21-38 (in Korean) 

  11. Lee, H.S. 1995.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n Cheognwon-gun. The Bulltein of Institute of Basic Science Seowon University 9: 41- 73 (in Korean) 

  12.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pp. 990 (in Korean) 

  13. Lee, T.B. 1983.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in Korea. Seoul Nat'l Univ., Coll. of Agric. and Life Sciences. Bull. of the Kwanak Arb. 4: 71-113 (in Korean) 

  14. Noss, R.F. 1999. Assessing and monitoring forest biodiversity: a suggest framework and indicator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5: 135-146 

  15. Paik, W.K. 2001. The status of endemic plants in Korea and conservation. Proceeding of symposium on forest genetic resources. pp. 66-99 (in Korean) 

  16.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p. 371 (in Korean) 

  17. Richardson, D.M., P. Pysek, M. Rejmanek, M.G. Barbour, F.D. Panetta and C.J. West. 2000. Naturalized and invasion of alien plants: concepts and definition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6: 93-107 

  18. Stohlgren, T.J., Y. Otsuki, C.A. Villa, M. Lee and J. Belnap. 2001. Patterns of plant invasions: a case example in native species hotspots and rare habitats. Biological Invasions 3: 37-50 

  19. Wilson, K.A., M.I. Westphal, H.P. Possingham and J. Elith. 2005. Sensitivity of conservation planning to different approaches to using predicted species distribution data. Biological Conservation 122: 99- 112 

  20.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 69-83 (in Korean) 

  21. You, J.H., Y.H. Jin, H.W. Jang, H.W. Cho, J.H. Han, and C.H. Lee. 2003a. Vascular plants of Mt. Midong in Chungcheongbuk-do. Kor. J. Env. Eco. 17(2): 112-122 (in Korean) 

  22. You, J.H., Y.H. Jin, H.W. Jang, D.W. Lee, H.B. Yun, G.Y. Lee and C.H. Lee. 2003b. The flora of Mt. Baekwoon in Chungcheongbukdo. Kor. J. Env. Eco. 17(3): 210-223 (in Korean) 

  23. You, J.H., Y.H. Jin, H.W. Jang, H.W. Cho, D.S. Kim and C.H. Lee. 2004a. Resource Plants of Mt. Midong in Chungcheongbuk-do, Korea. Korean J. Plant. Res. 17(2): 122-134 (in Korean) 

  24. You, J.H., Y.H. Jin, H.W. Jang, H.W. Cho, D.W. Lee, H.B. Yun and C.H. Lee. 2004b. The flora of Mt. Bakdal in Chungcheongbuk-do, Korea. Korean J. Plant. Res. 17(2): 169-182 (in Korean) 

  25. You, J.H., S.G. Jung, I.H. Park, G.Y. Lee, C.K. Ahn, H.W. Cho and C.H. Lee. 2006. Classification by characteristics of flora in Mt. Joryeong, Geosan-gun, Chungcheongbuk-do. Korean J. Plant. Res. 19(4): 459-47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