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 심장 손상은 외상으로 사망한 환자에서 가장 많이 간과되는 손상이다. 둔상이나 관통상으로 생존하는 환자는 드물며 그리고 발생률은 아직 명확하지가 않다. 많은 수의 환자에서 긴급 또는 응급수술을 요하며 또한 사망률이 매우 높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2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흉부외상으로 심장손상을 입은 응급 흉부 절개술을 한 26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남자가 17명, 여자가 9명이고 평균나이는 $45.3{\pm}16.2$세($17{\sim}80$세)였다. 13명(50%) 환자는 자동차 사고, 5명(19%)의 환자는 오토바이사고로 손상을 입었다. 6명(23%)의 환자는 칼에 의해, 2명(8%)의 환자는 작업 중 높은 곳에서 떨어져서 손상을 받았다. 손상 받은 심장은 우심방 12예(46%), 좌심방 1예(4%), 우심실 5예(19%), 좌심실5예(19%) 그리고 두 곳의 심장손상이 2예(7%)였다. 진단은 12예의 환자에서는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14예의 환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하였다. 입원에서 수술실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89.2{\pm}86.7$분($10{\sim}335$)이었고, 평균 진단시간은 $51.3{\pm}13.6$분(5-280)이었다. 외상인자로 개정 외상 계수, 글라스고우 혼수 계수의 평균이 $6.7{\pm}0.8,\;12.8{\pm}2.8$이었다. 사망률은 12%였다. 결론: 심장손상으로 인한 사망률은 매우 높다. 높은 관심과, 적극적이고 신속한 진단, 그리고 즉각적이고 적절한 외과적인 치료가 환자의 생존율 높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Cardiac injuries are the most commonly overlooked injuries in patients who die from trauma. Patients who survive blunt cardiac rupture or penetrating injuries are rare and the incidence is not well defined. Many patients require urgent or emergency operations and operative mortality is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러나 될 수 있으면 cell saver를 준비하여 출혈된혈액을 cell saver를 이용하여 적혈구를 환자에게 재수혈하려고 노력하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후 중환자실로 이송하여 치료를 하였으며, 다발성장기 손상이나 저산소증이 있었던 환자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환자는 수술 2일째 일반 병동으로 이송하여 치료하였으며, 수술 후 7일째 심장 초음파를 시행하여 심장상태와 심낭내 혈종유무를 검사하였고, 검사상 문제가 없는 경우 10일째 퇴원하였으나 타 장기 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입원기간이 길어졌다.
  • 심초음파는 과거에는 진단에 많이 이용하지 않았으나, 현재에는 응급실에서 간편히 이용할 수 있고, 심장의 해부학적 손상이나 기능적인 측면을 알 수 있는 유용한 검사로 많이 시행하고 있는데 흉벽을 통 한심 초음파는 흉부손상이 심하거나, 피하기종이 있을 때, 흉관 삽관술, 또는 인공호흡기 거치 시 초음파의 영상이 좋지 않아 정확한 심장기능을 평가하기에는 문제가 있지만, 심낭 내에 혈액성 삼출증의 진단에는 많은 도움이 되고, 경식도 초음파는 경부손상이나, 구강 내 손상환자, 활력 징후가 매우 불안정한 환자에서는 이용하기가 곤란하나, 흉부 손상으로 인한 간섭이 없기 때문에 심장기능을 정확히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수술 후의 환자가 회복 시에 판막의 손상이나, 심장기능을 검사할 수 있어서 많이 이용하고 있고, 심장 손상을 진단할 수 있는 민감도가 90% 이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12]. 본원에서는 흉벽을 통한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경식도를 이용한 심초음파는 이용하지 못했다. 흉부전산화 단층 촬영은 활력 징후가 안정된 환자에서 또는 다발성 장기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유용한 검사이며, 혈흉이나, 폐좌상, 골절, 횡격막, 종격동 등 다른 손상부위를 알 수 있으며, 심장 손상으로 혈종이 심낭 내의 존재 유무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 둔상의 경우에는 흉부 단층 촬영을 하여 진단된 경우가 많았는데 이것은 다른 장기의 손상을 같이 검사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진단이 되면 빠른 시간 내에 수술실로 이송하여 수술을 시행하였고, 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모든 환자에서 정중흉골 절개를 통하여 심장에 도달하여 출혈부위를 손으로 압박하거나 혈관감자을 이용하여 지혈 후 손상부위를 봉합할 수 있었다. 수술 시 모든 환자에서 cell saver을 이용하지는 았는데, 응급상황에서 준비가 안 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대상 데이터

  • 1997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흉부외상으로 인한 심장 손상을 입은 26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심장 손상의 원인으로 둔상과 관통상이 주원인이며, 관통상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가 칼에 의한 자상이고 둔 상의 경우 교통사고가 가장 많았다.

데이터처리

  • 통계분석은 SPSS (SPSS for window 12.0. SPSS inc.)로 T-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p-value 0.05 이하를 통계적 유의 수준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igler LH. Traumatic injury to the heart: incidence of its occurrence in 42 cases of severe accidental bodily injury. Am Heart J 1945;30:459-78 

  2. Maenza RL, Seaberg D, D''Amico F. A meta-analysis of blunt cardiac trauma: ending myocardial confusion. Am J Emerg Med 1996;14:237-41 

  3. Feghali NT, Prisant LM. Blunt myocardial injury. Chest 1995;108:1673-7 

  4. Pretre R, Chilcott M. Blunt trauma to the heart and great vessels. N Engl J Med 1997;336:626-32 

  5. Kim TY, Jung TE, Lee DH, Lee JC, Han SS. Cardiac rupture after blunt chest trauma.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1998;31:255-61 

  6. Baum VC. The patient with cardiac trauma. J Cadiotho and Vasc Ane 2000;14:71-81 

  7. Skoularigis J, Essop MR, Sareli P. Usefulness of transesophageal echocardio-cardiography in the early diagnosis of penetrating stab wounds of the heart. Am J Cardiol 1994;73:407-9 

  8. Demetriades D, van der Veen BW. Penetrating injuries of the heart: experience over two years in South Africa. J Trauma 1983;23:1034-41 

  9. Healey MA, Brown R, Fleiszer D. Blunt cardiac injury: Is this diagnosis necessary? J Trauma 1990;30:137-46 

  10. van Wijngaarden MH, Karmy-jones R, Talwar MK, Simonetti V. Blunt cardiac Injury: a 10-year institutional review. Injury 1997;28:51-5 

  11. Biffi WL, Moore FA, Moore EE, Sauaia A, Read RA, Burch JM. Cardiac enzymes are irrelevant in the patient suspected myocardial contusion. Am J Surg 1994;168:523-8 

  12. Catorie P, Orliaguet G, Liu N, Guerrini P Beydon L, Bonnet F. Systematic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for detection of mediastinal lesions in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J Trauma 1995;38:96-102 

  13. Estrera AS, Schreiber JT. Management of the cardiac trauma. Cardiol Clin 1984;2:239-56 

  14. Mayrose J, Jehle DV, Moscati R, Lerner EB, Abrams BJ. Comparison of staples Versus sutures in the repair of penetrating cardiac wounds. J Trauma 1999;46:441-3 

  15. Williams JB, Silver DG, Law HL. Successful management of heart rupture from blunt trauma. J Trauma 1981;21:534-7 

  16. Campbell NC, Thomson SR, Muckart DJJ. Meumann CM, Van Middelkoop I, Botha JBC. Review of 1198 cases of penetrating cardiac trauma. Br J Surg 1997;84:1737-40 

  17. Mittal V, McAleese P, Young S, Cohen M. Penetrating cardiac injuries. Am Surg 1999;65:444-8 

  18. Martin TD, Flynn TC, Rowlands BJ, et al. Blunt cardiac rupture. J Trauma 1984;24:287-90 

  19. Mattox K, Von Koch B, Beall AC Jr, et al. Logistic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in the treatment of the wounded heart. Circulation 1975;52-1:2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