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Hovenia dulcis Thumb Leaves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11, 2007년, pp.1371 - 1376  

박선희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은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어온 헛개나무 잎을 이용하여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헛개나무 잎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Ames test로 검색한 결과,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그 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었으며,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직접 변이원인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와 간접변이원인 benzo(a)pyrene(B(a)P)의 돌연변이 유발성을 크게 저해하였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분획물들도 유의성 있는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헥산, 클로르포름, 부탄올 분획물의 경우는 물 분획물보다 MNNG와 B(a)P에 대해서 더 큰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의 사람의 암세포주인 HT29와 HepG2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를 MTT assay로 검토한 결과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헥산, 클로로포름 분획물들이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사람의 정상 간세포인 Chang cell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헛개나무 잎은 발암물질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Hovenia dulcis Thumb leav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and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cancer cells were studied. On antimutagenicity as evaluated by Ames test, the extract and fractions of Hovenia dulcis Thumb leaves had no effect on the mutagenicity by themselv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에서와 같이 시료와 농도에 관계없이 14% 이하의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시료농도 100 ug/mL 첨가 시 Chang 세포에 대해서는 헛개나무 잎 추출물 및 분획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 증식 저해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헛개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이 사람의 간암세포 HepG2와 결장암 세포 HT29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Table 5에서와 같이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두 암세포에 대한 저 해효과가 높았으며 이 같은 효과는 첨가되는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면서 증가하였다.
  • 이와 같이 헛개나무의 근피, 수피, 열매에 대해서는 생리활성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지며 그 효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잎에 대한 생리활성 효과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잎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헛개나무 잎으로부터 메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을 조제하여 Ames test로서 항돌연변이원성을 확인한 후 사람의 암세포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merican Cancer Society. 1997. Cancer facts and figures 

  2. Singleton P, Sainsbury D. 1987. Dictionary of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3. Doll R, Pert R. 1997. The cause of cancer. J Natl Cancer Inst 66: 1191-1195 

  4. Kada T, Inoue T, Morita K, Namiki M. 1986. Dietary desmutagens. In Genetic toxicology of the diet. Knudsen I, ed. Alan R. Liss Inc., New York. p 245 

  5. Micozzi MS, Tangrea JA. 1989. General introduction; relation for the nutritional prevention of cancer. In Nutrition and cancer prevention. Moon TE, Micozzi MS, e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p 3 

  6. Ong TM, Whong WZ, Stewart S, Brockman HE. 1986. Chlorophyllin; a potent antimutagen against environmental and dietary complex mixture. Mutat Res 173: 111-115 

  7. Murakami A, Jiwajinda S, Ohigashi H. 1992. Screening for in vitro antitumor promoting activities of edible plants from Thailand. Cancer Letters 95: 139-146 

  8. Zhang Y, Talalay P, Cho CG, Posner GH. 1992. An anticarcinogenic protective enzyme from brocoli. Pro Natl Acad Sci USA 89: 2399-2403 

  9. Yang CS, Brady JF, Hong JY. 1992. Dietary effects on cytochrome p450: xenobiotic metabolism and toxicity. FASEB J 6: 737-744 

  10. John TP, Sharad SS, Mohammad SS, Robert TT, Yogesh C. 1998. Mechanisms of anticarcinogenic properties on curcumin; the effect of curcumin on glutathione linked detoxification enzymes in rat liver. Int J Biochem Cell Biol 30: 445-456 

  11. Jang M, Cai L, Udeani GO, Slowing KV, Thomas CF, Beecher CW, Fong HH, Farnsworth NR, Kinghorn AD, Mehta RG, Moon RC, Pezzuto JM. 1997.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 natural product derived from grapes. Science 275: 218-220 

  12. Goodman GE, Yen YP, Cox TC, Crowlny J. 1987. Effect of verapamil on in vitro cytotoxin and vinblastine in human tumor cell. Cancer Res 47: 2295-2304 

  13. Kim HJ, Lee IS, Lee KR. 1999. Antimutagenic & anticancer effects of Ramaria botrytis rick extrcts. J Kor Soc Food Sci Nutr 28: 1321-1325 

  14. An SW, Kim YG, Kim MG, Lee BI, Lee SH, Kwon HI, Hwang B, Lee HY. 1999. Comparison of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humb and Alnus japonica Steud. K J Medical Corp Sci 7: 263-268 

  15. Kim MG, Chung YT, Lee JH, Park YS, Shin MK, Kim DH, Lee HY. 2000.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humb from Korea and China. K J Medical Corp Sci 8: 225-233 

  16.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 173-215 

  17. Green LM, Reade JL, Ware CF. 1984. Rapid colometric assay for cell viability; Application to the quantitation of cytotoxic and growth inhibitory lymphokines. J Immunological Methods 70: 257-263 

  18. Laemmli UK. 1970. Cleavage of the structural protein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227: 680-683 

  19. Hwangbo HJ, Ham SS. 1999.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ster scaber root ethanol extract. Kor J Food Sci Technol 31: 1065-1070 

  20. Gelboin HV. 1980. Benzo(a)pyrene metabolism, activation carcinogensis; role and regulation of mixed function oxidases and related enzymes. Physiol Rev 60: 1107-1166 

  21. Ji JH, Kim MN, Chung CK, Ham SS. 2000.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ster scaber root ethanol extract. Kor J Food Sci Technol 29: 322-328 

  22. Moon SH. 2002. Inhibitory effct of persimmon leaves on the mutagenicity in spore rec assay and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Kor J Food & Nutr 15: 23-28 

  23. Park KY, Kim SH, Suh MJ, Chung HY. 1991. Effects of garlic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rcinoma cells. Kor J Food Sci Technol 23: 370-3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