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 알코올 중독에서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식품 조성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Food Including Hovenia dulcis on Acute Alcohol Intoxic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8, 2011년, pp.1107 - 1112  

최근호 (삼성제약(주)) ,  김종관 (네오팜) ,  권승택 (네오팜)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에 알코올 해독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매실 및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혼합되어진 새로운 식품 조성물의 항알코올 기능에 대한 효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알코올 독성 경감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식품 조성물인 SAC-1을 흰쥐에게 투여한 후 알코올을 섭취시켰을 때 혈중 알코올 농노의 저하가 헛개나무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손상의 지표인 GOT, GPT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어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조직에서 산화적 손상으로 효능을 살펴본 결과는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혈장과 간 조직에서 모두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otal glutathione의 감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SAC-1은 알코올성 조직 손상에서 충분한 보호 작용을 나타낼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SAC-1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단독 사용에 비해서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SAC-1이 알코올 해독에 좋은 천연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결과로 추측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SAC-1은 알코올로 인해 유도되어지는 조직 손상 및 숙취 증상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consumption of alcohol leads to many side-effects such as malnutrition, liver disease, and neuronal disorders and many investigators have tired to identify methods for preventing the side-effects of drinking.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a new food component, SAC-1,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에 알코올 해독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매실 및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혼합되어진 새로운 식품 조성물의 항알코올 기능에 대한 효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알코올 독성 경감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식품 조성물인 SAC-1을 흰쥐에게 투여한 후 알코올을 섭취시켰을 때 혈중 알코올 농노의 저하가 헛개나무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손상의 지표인 GOT, GPT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어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알코올대사 활성화를 통한 혈중 알코올 농도의 감소와 알코올대사 과정상에서 나타나는 활성 산소 및 알코올의 2차 대사 산물에 의한 간 손상을 억제하는 활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최근 알코올성 간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진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새로운 식품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이 조성물의 알코올 독성 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효능을 확인하고 알코올성 장애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소재 및 치료제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코올은 인간에게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알코올은 식품 또는 약품으로 간주되며, 인간이 사회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윤활유 역할, 즉 기분전환제 또는 정신자극제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1). 그러나 현대사회의 복잡성과 계속적인 스트레스로 말미암아 통계적으로 알코올의 소비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알코올과 관련된 질병에는 무엇이 있는가? 알코올은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7 kcal/g의 비교적 높은 열량을 함유하고 있지만, 이 높은 열량으로 인한 식사량의 감소는 알코올성 영양 부족 상태를 초래시키며, 다량의 알코올이나 만성적인 알코올의 섭취는 소화관 점막을 손상시키고 이로 인한 영양소 흡수 장애와 동시에 영양 결핍이 문제가 되며, 모든 장기와 조직에 대해서 유독한 효과를 발휘한다. 간괴사, 췌장염, 심근증, 간 또는 신경 장애, 결핵, 암유발 등이 알코올과 관련된 질병에 속하는데, 이중에서 알코올로 인한 간장애는 가장 심각하면서도 알코올성 질병의 근원적 발병 원인에 해당되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2,3) 또한, 알코올에 의한 간조직의 손상은 여러 가지 대사 경로 즉, 지질, 탄수화물, 호르몬, 핵산 등의 대사를 교란시켜 생체 내 대사 균형을 파괴시켜 건강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4,5)
알코올 해독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과 이를 포함한 새로운 식품 조성물의 항알코올 기능에 대한 효능을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는 기존에 알코올 해독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매실 및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혼합되어진 새로운 식품 조성물의 항알코올 기능에 대한 효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알코올 독성 경감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식품 조성물인 SAC-1을 흰쥐에게 투여한 후 알코올을 섭취시켰을 때 혈중 알코올 농노의 저하가 헛개나무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손상의 지표인 GOT, GPT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어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조직에서 산화적 손상으로 효능을 살펴본 결과는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혈장과 간 조직에서 모두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otal glutathione의 감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SAC-1은 알코올성 조직 손상에서 충분한 보호 작용을 나타낼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SAC-1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단독 사용에 비해서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SAC-1이 알코올 해독에 좋은 천연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결과로 추측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SAC-1은 알코올로 인해 유도되어지는 조직 손상 및 숙취 증상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HB. 2009. Alcoholic liver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53: 275-282. 

  2. Lee EH, Chyun JH. 2005. Effects of beta-carotene supplementation on lipid peroxide level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alcoholic fatty liver rats. Korean J Nutr 38: 289-296. 

  3. Rouach H, Clement M, Ofanelli MT, Nordmann R. 1983. Hepatic lipid peroxidation and mitochondrial susceptibility to peroxidative attacks during ethanol inhalation and withdrawal. Biochim Biophys Acta 753: 439-444. 

  4. Baillie M. 1971. Alcohol and liver. Gut 12: 222-229. 

  5. Szilagyi A. 1986. Liver diseases in the alcoholic. Can Fam Physician 32: 1938-1941. 

  6. Lieber CS. 1994. Alcohol and the liver. Gastroenterology 106: 1085-1105. 

  7. Gaudineau C, Beckman R, Cederbaum AI, Hinson JA, Pessayre S, Lemasters JJ. 2002. Mechanism of hepatotoxicity. Toxicol Sci 65: 166-176. 

  8. Albano E, Tomasi A, Goral-Gatti L. 1987. Free radical metabolism of alcohols by rat liver microsome. Free Radic Res Commun 3: 243-249. 

  9. Liber CS. 2004. CYP2E1:ASH to NASH. Hepatol Res 28: 1-11. 

  10. Guengerich FP. 1992. Human cytochrome P450 enzymes. Life Sci 50: 1471-1478. 

  11. Bucher TH, Redetzki H. 1951. The assay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Klin Wochenschr 29: 615-619. 

  12. Retiman S, Frankel SA. 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cid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8: 58-63. 

  13. Yagi K. 1976. A simple fluorometric assay for lipid peroxidation in blood plasma. Biochem Medica 15: 212-216. 

  14. Lee YJ, Pantuck CB. 1993. Effects of ginseng on plasma level of ethanol in the rat. Planta Med 59: 17-19 

  15. Kim MG, Chung YT, Lee HY. 2000. Hepatic detoxificai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humb from Korea and China. Kor J Medical Corp Sci 8: 225-233. 

  16. Kim TJ, Lee MJ, Kang HM, Kim KS, Lee SH, Cho IH, Lee HH. 2002. Saeng-Maek-San, a medicinal herb complex, protects liver cell damage induced by alcohol. Biol Pharm Bull 25: 1451-1455. 

  17. Kim SY, Kim HP, Lee MK, Kim SH, Moon A, Han HM, Huh H, Kim YC. 1993 The effect of betaine on the CCl4 induced toxicity in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Yakhak Hoeji 37: 499-503. 

  18. Kim SK, Kim YC. 1996. The effect of repeated betaine treatment on hepatotoxicity and cytochrome P450 dependent drug metabolizing enzyme system. Yakhak Hoeji 40: 449-450. 

  19. Jin DC, Jeong SW, Park PS. 2010. Effects of green tea extract on acute ethanol 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Kor J Food Science 39: 343-349 

  20. Choi SW, Kang WW, Osawa T, Kawakishi S.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 crysanthemin from black rice hull. Food Biotechnol 3: 233-238. 

  21. Sheo HJ, Lee MY, Chung DL. 1990.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gastric secretion in rats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liver damage of rabbits. J Korean Soc Food Nutr 19: 21-26. 

  22. Coudray C, Richard MJ, Faure H, Favier A. 1993. A blood and liver lipid peroxide status after chronic ethanol administration in rats. Clin Chim Acta 219: 35-45. 

  23. Litov RE, Gee DL, Downey JE, Tappel AL. 1981. The role of peroxidation during chronic and acute exposure to ethanol as determined by pentane expiration in the rat. Lipids 16: 52-63. 

  24. Ko BS, Jang JS, Hong SM, Kim DW, Sung SR, Park HR, Lee JE, Jeon WK, Park S. 2006. Effect of new remedies mainly comprised Hovenia dulcis Thumb on alcohol degradation and liver protection in Sprague-Dawley mal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28-834. 

  25. Haliwell B. 1994.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 Personal view. Nutr Rev 52: 253-26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