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통합적 예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Pre-Parent Education Program on the College Students' Parenting Knowledge and Their Parenting Self-Efficacy원문보기
본 연구는 미래의 부모가 될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녀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과 같은 태도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됨의 동기, 자녀의 발달에 따른 양육지식과 기술, 의사소통 기술, 사회적 지원체계 이용하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대상은 254명의 대학생으로 117명은 실험집단에, 138명은 비교집단에 배치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하였으며, 12주간의 프로그램 실시 후 사후검사가 이루어졌다. t검증, Cronbach's ${\alpha}$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는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생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이 높았다.
본 연구는 미래의 부모가 될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녀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과 같은 태도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됨의 동기, 자녀의 발달에 따른 양육지식과 기술, 의사소통 기술, 사회적 지원체계 이용하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대상은 254명의 대학생으로 117명은 실험집단에, 138명은 비교집단에 배치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하였으며, 12주간의 프로그램 실시 후 사후검사가 이루어졌다. t검증, Cronbach's ${\alpha}$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는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생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이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pre-parent education program on the college students' parenting knowledge and theirs parenting self-efficacy.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recognizing the motivation for parenthood, the apprehension of the parenting knowledg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pre-parent education program on the college students' parenting knowledge and theirs parenting self-efficacy.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recognizing the motivation for parenthood, the apprehension of the parenting knowledge and skill according to the children's development, communication skill and using the support system. The subject were 254 college students. one hundred sevente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one hundred thirty eight did not. Before the inaugurating program, the pretest was done, and for 12-weeks period, the program was proceeded. After the intervention, all the subjects were tested. The data were analyzed in SPSS Win 9.0 program by t-test and Cronbach's ${\alpha}$. As a result, the colleg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in the parenting knowledge and their parenting self-efficac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pre-parent education program on the college students' parenting knowledge and theirs parenting self-efficacy.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recognizing the motivation for parenthood, the apprehension of the parenting knowledge and skill according to the children's development, communication skill and using the support system. The subject were 254 college students. one hundred sevente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one hundred thirty eight did not. Before the inaugurating program, the pretest was done, and for 12-weeks period, the program was proceeded. After the intervention, all the subjects were tested. The data were analyzed in SPSS Win 9.0 program by t-test and Cronbach's ${\alpha}$. As a result, the colleg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in the parenting knowledge and their parenting self-efficac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 예비 부모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녀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과 같은 태도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대학생의 양육 지식과 양육효능감은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이다.
5회기부터 10회기는 신체적, 사회정서적, 인지적 발달 영역으로 나누어, 각 주제별로 양육지식과 실천방안을 각 1회기씩 실시한다. 마지막 2회기에서는 의사소통 기술과 주변 자원 지원 이용하기, 바람직한 부모역할을 위한 계획서를 작성해 보고, 부모로서의 양육효능감을 확인해 본다.
본 연구는 부모역할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통합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예비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녀 양육 지식과 양육 효능감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 연구의 대상은 254명의 대학생으로, 실험집단에 117명, 비교집단에 138명이 참여하였다.
가설 설정
따라서 본 연구에서 예비 부모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녀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과 같은 태도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대학생의 양육 지식과 양육효능감은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이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설계는 전후검사 비교집단 실험설계로, 두 집단 모두에게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처치로 실험집단에게는 통합적 예비부모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비교집단에게는 실시하지 않은 후, 두 집단에게 사후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아동발달에 관한 선행연구(유안진, 2002; 정옥분, 2002; Berk, 1996, 2000; Jaffe, 1997; Shaffer, 2000, 2002)를 기초로 부모역할에 필요한 양육 지식을 태아기, 영아기, 유아기로 나누었다. 태아기 지식은 9문항으로 구성하고, 영유아기는 사회정서 영역과 인지 영역, 신체 영역으로 나누어 각 시기별로 중요한 양육 지식을 선정한 후, 아동학 박사학위소유자 5인이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넷째, 태아 및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양육지식뿐 아니라 양육방법을 통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양육지식을 실제 생활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의미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부모됨의 동기 인식하기, 자녀의 발달 단계에 따른 부모 역할의 인지와 기술 익히기,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주변 자원 이용하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매주 1회씩 총 12주 간 실시하며, 각 회기는 2시간에 걸쳐 진행된다. 매 회기는 전반부(50분), 휴식(10분), 후반부(50분)로 구성된다.
3, 4회기는 출생 전 태아기에 요구되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임신과 태교를 통해 전달한다. 5회기부터 10회기는 신체적, 사회정서적, 인지적 발달 영역으로 나누어, 각 주제별로 양육지식과 실천방안을 각 1회기씩 실시한다. 마지막 2회기에서는 의사소통 기술과 주변 자원 지원 이용하기, 바람직한 부모역할을 위한 계획서를 작성해 보고, 부모로서의 양육효능감을 확인해 본다.
우선 학기 초인 2003년 3월 2째 주에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수강 신청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간에 자녀양육 지식이나 자녀양육 효능감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모교육을 수강하는 학생 집단과 일반 교양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주일에 2시간씩 12회기, 총 24시간의 통합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2003년 6월 1째 주에 부모교육을 수강한 대학생 집단과 수강하지 않은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9.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 연구의 대상은 254명의 대학생으로, 실험집단에 117명, 비교집단에 138명이 참여하였다. 이 중 실험집단은 12주에 걸쳐 부모됨의 동기 인식하기, 자녀의 발달 단계에 따른 부모 역할의 인지와 기술 익히기,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주변 자원 이용하기 등으로 구성된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 시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중 실험집단은 12주에 걸쳐 부모됨의 동기 인식하기, 자녀의 발달 단계에 따른 부모 역할의 인지와 기술 익히기,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주변 자원 이용하기 등으로 구성된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 시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1점)’, ‘별로 그렇지 않다’, ‘반반이다’, ‘대체로 그렇다’, ‘정말 그렇다(5점)’의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순천 지역의 대학생 255명으로, 남학생이 93명(36.2%), 여학생이 162명(63.8%)으로 여학생이 더 많았다. 통합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는 교양강좌를 수강한 실험집단은 117명(45.
본 연구는 부모역할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통합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예비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녀 양육 지식과 양육 효능감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 연구의 대상은 254명의 대학생으로, 실험집단에 117명, 비교집단에 138명이 참여하였다. 이 중 실험집단은 12주에 걸쳐 부모됨의 동기 인식하기, 자녀의 발달 단계에 따른 부모 역할의 인지와 기술 익히기,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주변 자원 이용하기 등으로 구성된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성능/효과
또한 이들은 자녀를 잘 이해하고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을 좀 더 원활하게 이끄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반면에 양육 효능감이 낮은 어머니는 통제적이고 강압적이고 체벌적이며, 아동을 학대하는 경향이 많고, 자녀에 대한 이해정도가 낮으며, 부모역할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으로는 자녀의 발달에 따른 부모역할이나 의사소통 기법과 같은 기술적 측면과 더불어 바람직한 아동관의 형성과 같은 태도가 요구된다(전선영, 2001).
그 결과 태교 영역은 9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문항 간 내적 일치도에 의한 신뢰도 Cronbach's α는 .64이며, 9점에서 36점의 응답범위를 갖는다.
셋째, 태아 및 영유아기에 나타나는 신체적, 사회 정서적, 인지적 발달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부모로 하여금 자녀의 전인적 발달을 통합적으로 이끌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넷째, 태아 및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양육지식뿐 아니라 양육방법을 통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양육지식을 실제 생활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의미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부모됨의 동기 인식하기, 자녀의 발달 단계에 따른 부모 역할의 인지와 기술 익히기,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주변 자원 이용하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우선 프로그램 실시전의 사전 검사 결과는 표 4와 같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 점수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서, 두 집단 간의 양육 지식과 양육 효능감 수준은 프로그램 실시 전에는 유사하였다. 대학생의 양육지식은 태교 영역 지식의 경우 약 31점, 신체 영역 지식은 25점, 사회정서 영역 지식 14점, 인지 영역 지식 7점 정도로 나타나서, 가능 점수와 비교한 결과 대학생의 태교 영역 지식은 상당히 높은 편으로 나타났고, 신체 발달 영역 지식도 높은 편이었다. 그에 비해 인지영역 지식 점수는 중간값인 7.
5점에 못 미쳐 가장 낮은 양육지식을보였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양육효능감은 25.6점 정도로 나타나 중간값인 21점과 비교해보면, 중간보다 약간 높은 정도를 나타내었다.
요약하면 대학생의 태교 영역의 양육지식은 상당히 높은 편이나 인지 영역에 관한 양육지식은 부족하였고, 중간 정도의 양육효능감을 지니고 있었다.
프로그램 실시 후의 사후검사 결과 표 5에서와 같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양육 지식 중 3가지 영역과 양육효능감에서 차이가 있었다. 우선 실험집단의 태교 영역 지식은 32.
프로그램 실시 후의 사후검사 결과 표 5에서와 같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양육 지식 중 3가지 영역과 양육효능감에서 차이가 있었다. 우선 실험집단의 태교 영역 지식은 32.2점으로 비교집단의 31.4점보다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신체영역에 관한 양육 지식에서도 실험집단은 25.
74점보다 높았다. 또한 실험집단의 양육효능감은 26.33점으로 비교집단의 양육효능감인 25.39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한 대학생의 양육태도가 보다 애정적이며 자율적으로 변화했다는 연구(이병래, 2003)나 발달이론, 부모역할, 의사소통 등에서 보다 인지도가 높아졌다는 연구(전선영, 2001)와 유사한 것으로, 통합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태교 지식, 신체 영역 지식, 사회정서 영역 지식 및 양육효능감을 높일 수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자녀 양육 지식과 양육 효능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대학생을 비롯한 예비 부모 교육에서 사용되기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후속연구
따라서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덜어주고, 출산율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부모를 위한 국가적인 다양한 정책적 지원(최정신, 공인숙, 2003)과 더불어 부모교육 등을 통해 부모나 예비 부모에게 자녀 양육 지식이나 양육 효능감을 키워 주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어머니를 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김정원, 이기숙, 1999; 도현심, 유명희, 1996; 도현심, 권정임, 박보경, 홍성흔, 홍주영, 황영은, 2003)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다양한 대상에게 부모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대학생을 비롯한 예비부모들에게 교양과정 수업 등을 통해 실시될 수 있으며, 예비부모에게 올바른 양육지식과 양육태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의 효과는 단기적으로 측정된 것이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장기적 효과를 탐구하고, 그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양육 지식 측정 도구 중, 사회정서영역과 인지영역의 신뢰도가 낮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척도의 문제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우선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의 효과는 단기적으로 측정된 것이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장기적 효과를 탐구하고, 그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양육 지식 측정 도구 중, 사회정서영역과 인지영역의 신뢰도가 낮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척도의 문제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는 어떤 형태의 가족구조가 증가하고 있는가?
이러한 출산율 하락의 원인으로는, 만혼화, 독신의 증가와 더불어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들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하여 핵가족화, 소 가족화, 한부모 가족이나 독신 가구, 계부모와 계자녀로 구성된 혼합가족 등과 같은 다양한 가족구조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가족 구조가 다양해지고 가족 내에 거주 하는 성인의 수가 줄어들면서 과거와 같이 가정 내에서 부모역할을 자연스럽게 전수 받을 가능성이 줄어들고 있다.
출산율 하락은 어떠한 문제를 일으키는가?
이러한 출산율 저하는 사망률 감소와 맞물려, 사회의 고령화를 초래한다. 이는 15세~64세의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반면 노령인구 부양을 위한 연금과 의료비 등의 사회복지비 부담은 늘어나게 되어 국가 재정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출산율 저하는 실제적으로 일해야 할 노동력의 부족을 야기하고 노동연령의 평균연령을 상승시켜 국제 경쟁력 저하를 초래하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이처럼 출산율 저하는 중대한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부모들을 위한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
따라서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덜어주고, 출산율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부모를 위한 국가적인 다양한 정책적 지원(최정신, 공인숙, 2003)과 더불어 부모교육 등을 통해 부모나 예비 부모에게 자녀 양육 지식이나 양육 효능감을 키워 주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어머니를 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김정원, 이기숙, 1999; 도현심, 유명희, 1996; 도현심, 권정임, 박보경, 홍성흔, 홍주영, 황영은, 2003)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다양한 대상에게 부모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