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설계방식 분석 - P대학 공학설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Design Pattern of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0 no.3, 2007년, pp.5 - 20  

이은화 (부산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  배원병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설계모형에 기초하여 기계공학부의 전공교육과정 중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설계방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Drake & Burns(2004)가 제시한 교육과정 조직요소간의 관계모형과 Toohey(1999)의 대학교육과정 설계유형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교육과정의 조직요소간의 관계와 설계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조직요소간의 관계는 각 과목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설계의 구체적 정보, 주제와 주요 개념의 순서로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고, 공학설계에 관련된 기초기능, 범학문적 기능과 고급 기능을 순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둘째, 분석대상인 창의적 공학설계, 설계 및 제작과제와 졸업설계 및 제작과제의 교육과정 설계유형은 프로젝트, 탐구, 문제 중심설계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교육내용들 간의 연계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esign pattern on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P University based on the curriculum design model. For this study, the relation model between organizational factors by Drake & Burns(2004) and university curriculum design pattern Toohey(1999) were used as a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끝으로, 4학년 과목인 ‘졸업설계 및 제작과제’ 과목은 ‘창의적 공학설계’와 ‘설계 및 제작과제’의 체험을 바탕으로 지식과 기술을 종합한 실제설계, 즉 capstone design을 수행하여 현장설계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목표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설계모형에 기초하여 대학 전공교육과정 중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설계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학설계 교육과정은 공학인증제가 실시된 이후 설계능력 강화를 위하여 고안된 교과목으로 인문설계, 요소설계, 캡스톤 디자인 설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계열을 갖추도록 요구된다.
  •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설계모형에 기초하여 P대학 기계공학부의 전공교육과정 중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설계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Drake & Burns(2004)가 제시한 교육과정 조직요소간의 관계모형과 Toohey(1999)의 대학교육과정 설계유형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 다음으로, 3학년 과목인 ‘설계 및 제작과제’에서는 3-5명으로 팀을 구성하여 팀원들이 자유로운 토론을 통하여 새로운 설계 제품대상을 정하고, 설계제품에 대하여 특허 및 문헌조사, 개념 설계, 상세 설계, 재료선택, 원가분석 등 시제품 제작을 제외한 설계의 전 과정을 체험하게 한다. 이 과목의 목표는 공학설계 실무에 필요한 종합적 사고, 공학도구 활용능력 배양, 제작과정에 대한 이해, 상품화 설계에 대한 이해, 협동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기르는 데에 있다. 또한 과제 수행에 도움이 되도록 기업현장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프로젝트 기획 및 팀 운영, 공학 계산도구 활용, 마케팅, 제품설계, 재료선택 및 제품제작, 품질관리 등에 대한 연 6회의 특강을 실시한다.
  • 그 중 전공교육과정은 대학교육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전공교육과정은 전공분야 특유의 지적인 체계를 습득하고, 직업에 관련된 일(work)을 할 수 있는 능력과 특성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에서 전공(major)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1877년 죤스 홉킨스 대학이었다(전성연, 199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대학 교육과정의 편성 구조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일반적인 대학 교육과정의 편성 구조는 전공교육과정, 교양교육과정, 일반선택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전공교육과정은 대학교육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의 조직요소의 선정은 그 목표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조직요소의 선정은 교육목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교육목표가 자신감 향상이라면 가치가 조직요소로 선정될 것이고, 공학이론의 이해라면 그에 관련된 지식이 조직요소가 될 것이다.
교육과정의 조직요소는 어떠한 것들을 가리키는가? 우선, 교육과정의 조직요소는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지식, 기능, 가치를 가리킨다. 조직요소의 선정은 교육목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현석, 이경섭(1999). 교육과정 설계상의 주요 쟁점 분석. 교육과정연구, 17(1) : 137-165 

  2. 금은주(2001). 문제중심학습 가정과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고등학교 가족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대현, 김석우(2005).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4. 김대현, 이은화(2005). 대학교육과정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교육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32(2) : 217-246 

  5. 산업자원부(2002) 산업기술인력 수급종합대책. 2002년 6월 

  6. 안덕선(2005). 의학교육과 자기주도적 학습-Problem Based Learning-. 명강의를 위한 교수법세미나 발표자료 부산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7. 오만록(1999). 구성주의에 근거한 문제중심 학습(PBL)이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전성연(1995). 대학의 교육과정과 수업. 서울: 학지사 

  9. 정혜영(2001). 문제중심학습(PBL)이 청소년 소비자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가정과 '소비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황정규(1991). 교육학의 성격과 교육학 교육. 한국교육학회, 29(3) : 1-10 

  11. Boyer, E. L.(1987). College: The Undergraduate Experience In America.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12. Drake, S. M.(1995). Connecting Learning Outcomes to Integrated Curriculum. Orbit, 26(1) : 28-32 

  13. Drake, S. M.(1998). Creating Integrated Curriculum: Proven Ways To Increase Student Learning. Thousand Oaks, CA: Corwin 

  14. Drake, S. M.(2000).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Curriculum Handbook.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5. Drake, S. M. & Burns, R C.(2004).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ASCD) 

  16. Savery, J. R. & Duffy, T. M.(1995).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5(5) : 31-38 

  17. Stratemeyer, F., et al.(1963). Developing a Curriculum for Modern Living. Columbia Univ 

  18. Taba, R. W.(1962).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Harcourt, Brace and World 

  19. Toohey, S.(1999). Designing Course for Higher Education. The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 Open University Press 

  20. Woods, D. K.(1985). Problem-Based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D. Boud(Ed.) Problem-Based Learning in Education for The Professions. Kensington. NSW: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Society of Australasia 

  21. Zais, R S.(1976). Curriculum: Principles and Foundations. New York: Harper & Row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